인삼

연구분야 : C071100 자연과학 > 생물학 > 식물학

클래스 : 식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746

STNet ID : 1000740

한자 : 人蔘
영어 : ginseng

a03-02 식물

학명1

Panax ginseng C.A.Meyer

식물분류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

분포지1

아시아

생지

밭 재배

개화기_t

여름

결실기_t

가을

크기_t

높이 60cm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삼 [ 蔘 ]

N1:종류

hasKind (종류)

 

a03-02 식물 식물

홍삼 [ 紅蔘 ]

R1:개념적

RT (관련어)

 

 

채삼 [ 採蔘 ]

RT (관련어)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개성 () [ 開城 ]

RT (관련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삼토 [ 蔘土 ]

RT (관련어)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삼상 [ 蔘商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삼로 [ 蔘路 ]

RT (관련어)

 

a01-06 인간(직업/지위/역할) 인간(직업/지위/역할)

삼군 [ 蔘軍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고려 인삼 [ 高麗人蔘 ]

조선후기 연행무역과 수출입 품목

Export and Import Goods in the Chosun Envoy Trades

한국실학연구 | 20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연행무역과 수출입 품목

Export and Import Goods in the Chosun Envoy Trades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18세기 江界지역 貢蔘制의 운영과 변화

The 18th century practice of the taxation system in ginseng and its change in Kanggye

조선시대사학보 | 57 | 2011 | 역사학

한국 전근대 의학사 연구 동향

Trends in Research on the History of Medicine in Korea before the Modern Era

의사학 | 19 | 1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