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麗 後期 武臣政權과 禪宗의 연계성
A Connectedness between the military political power and the Zen[Dhyãna] Buddhism in the latter period of Korean Dynasty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3 |
2010 |
정토학
高麗 後期 武臣政權과 禪宗의 연계성
A Connectedness between the military political power and the Zen[Dhyãna] Buddhism in the latter period of Korean Dynasty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
13 |
2010 |
정토학
禪과 詩에 共存하는 妙悟 一考
The amalgamation of the Zen and the poem and one flavor of spiritual enlightenment
온지논총 |
25 |
2010 |
기타인문학
禪과 詩에 共存하는 妙悟 一考
The amalgamation of the Zen and the poem and one flavor of spiritual enlightenment
온지논총 |
|
25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三門修學과 禪 논쟁의 전개
The Discipline of Three Gat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Zen Argument
한국불교학 |
63 |
2012 |
종교학
사자산문(獅子山門)의 선(禪)과 현대적 의의
Sajasanmoon(Mountain Saja Zen sect)'s Zen and its modern meaning.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
18 |
1 |
2012 |
응용불교학
The New Time Immediacy, the Encounter of Bergson and Nāgārjuna’s Thought
베르그송과 나가르주나의 사유가 만나는 새로운 시간, 卽時
동아시아불교문화 |
10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남종선사상의 경전적 근거와 그 이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thoughts and texts of Southern-seon
禪學(선학) |
30 |
2011 |
응용불교학
「상담(相談) 및 치유(治癒)」에 대한 대승 간화선의 접근(接近)
An Approach for the Mahayana Kan-hua Meditation(看話禪) about Counseling and Healing黙照禪), and Kan-hua Meditation(看話禪).
보조사상 |
36 |
2011 |
종교학
학명의 불교 가사에 나타난 선의 성격과 표현 방식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eon(禪) and it's expression in Hak-Myeong(鶴鳴)'s Buddhist Gasa(佛敎歌辭)
어문학 |
10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학명의 불교 가사에 나타난 선의 성격과 표현 방식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eon(禪) and it's expression in Hak-Myeong(鶴鳴)'s Buddhist Gasa(佛敎歌辭)
어문학 |
|
107 |
2010 |
한국어와문학
불성사상의 수용과 조사선의 형성
Adoption of Buddha-nature and formation of Patriarch-seon in seon-sects
불교학연구 |
32 |
2012 |
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