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독립혁명

연구분야 : A020405 인문학 > 역사학 > 서양사 > 미국사

클래스 : 사건명/회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8613

한자 : 美國獨立革命
영어 : American Revolution

y03-01 사건명/회담명

장소

미국 (美國)

관련자

조지 워싱턴

일자_t

1975-1983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미국혁명 [American Revolution]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시민 혁명 () [ 市民革命 ]

R1:개념적

hasProcess (과정)

 

 

미국독립전쟁 ()

hasProcess (과정)

 

 

미국 독립 선언 [ 美國獨立宣言 ]

아렌트(H. Arendt)의 연방 평의회 체제와 한국 민주주의

The System of Federal Council in Arendt and the Question of Democracy in Korea

시민사회와 NGO | 8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아렌트(H. Arendt)의 연방 평의회 체제와 한국 민주주의

The System of Federal Council in Arendt and the Question of Democracy in Korea

시민사회와 NGO | 8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미국 연방헌법 수정 제2조 - 무기소지권의 역사적 기원과 의미를 중심으로 -

Searching for the Origins and Meaning of the Second Amendment - Whose Right to Keep and Bear Arms? -

역사와 담론 | 59 | 2011 | 역사학

미국독립혁명기 뉴저지 여성참정권의 기원

The Origins of Women’s Suffrage in Revolutionary New Jersey

미국학 논집 | 43 | 2 | 2011 | 영어와문학

벤자민 프랭클린의『자서전』과 미국혁명: 새로이 정의되는 미국의 정체성

Benjamin Franklin’s Autobiography and the American Revolution: The Newly Defined American Identity

19세기 영어권 문학 | 16 | 2 | 2012 | 영어와문학

역사의 재구성—세즈윅의『린우드가』에 나타난 ‘미국’건국과 여성의 역할

Reconstructing History: Founding ‘America’ and Woman’s Role in Sedgwick’s The Linwoods

영어영문학 | 57 | 2 | 2011 | 영어와문학

미국혁명의 폭력적인 기원: 호손의 「내 친척, 몰리노 소령」을 중심으로

The Violent Origin of the American Revolution in Nathaniel Hawthorne’s “My Kinsman Major Molineux”

미국학 논집 | 43 | 3 | 2011 | 영어와문학

미국 혁명의 공화주의: 고든 우드의 『공화국의 창건』을 중심으로

Republicanism of the American Revolution: Gordon S. Wood’s The Creation of the American Republic

미국사연구 | 35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