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어문학

연구분야 : A130000 인문학 > 일본어와문학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867

한자 : 日本語文學
영어 : Japanese literature
기타 : 日本語文学

d01-03 분과학문

해당국가

일본 (日本)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어문학 [ 語文學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일본어학 () [ 日本語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일본 문학 [ 日本文學 ]

‘조선/한국전쟁’ 혹은 ‘분열/분단’ ― 기억의 승인을 둘러싸고

'Chosun War/Korean War' or 'Split/Partition' ― in regard to approval of memory

대동문화연구 | 79 | 2012 | 기타인문학

일본 ‘만주’시 속의 대 중국관 : 한국 ‘만주’시와의 비교적 관점에서

日本の‘滿洲’ 詩に現れた中國観の諸様相

현대문학의 연구 | 43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문인협회와 ‘내지인 반도작가’

Joseon literary-man association and 'peninsular Japanese writers'

현대소설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문인협회와 ‘내지인 반도작가’

Joseon literary-man association and 'peninsular Japanese writers'

현대소설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초기 한국 내 일본어 문학의 형성과 문예란의 제국주의 ―『朝鮮』(1908-11)․『朝鮮(満韓)之実業』(1905-14)의 문예란과 그 역할을 중심으로

The Studies on Formation of 'Japanese Literature' in Korea and Japanese Imperialism of 'Literary Art' Section in the Early Modern Times

외국학연구 | 14 | 1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초기 한국 내 일본어 문학의 형성과 문예란의 제국주의 ―『朝鮮』(1908-11)․『朝鮮(満韓)之実業』(1905-14)의 문예란과 그 역할을 중심으로

The Studies on Formation of 'Japanese Literature' in Korea and Japanese Imperialism of 'Literary Art' Section in the Early Modern Times

외국학연구 | 14 | 1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어문학에 나타난 도한 일본인여성

日本語文学にあらわれた渡韓日本人女性

일본연구 | 29 | 2010 | 일본어와문학

일본어문학에 나타난 도한 일본인여성

日本語文学にあらわれた渡韓日本人女性

일본연구 | | 29 | 2010 | 일본어와문학

1910년 전후 한반도 <일본어 문학>과 조선 문예물의 번역

"Japanese Literature" of Korea and Japanese Translation of Joseon's Literature in 1910's

일본근대학연구 | 34 | 2011 | 일본문화학

1910년대 『조선』(『조선급만주』)의 문예면과 ‘식민 문단’의 형성

1910年代の『朝鮮』(『朝鮮及滿洲』)の文芸面と「植民文壇」の形成)の文芸面と「植民文壇」の形成

비교문학 | 52 | 2010 | 인문학

1910년대 『조선』(『조선급만주』)의 문예면과 ‘식민 문단’의 형성

1910年代の『朝鮮』(『朝鮮及滿洲』)の文芸面と「植民文壇」の形成)の文芸面と「植民文壇」の形成

비교문학 | | 52 | 2010 | 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