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연구분야 :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8847

STNet ID : 9005962

한자 : 金剛經

y02-01 문헌명

장르/유형

경전 (經典)

이론/사상1

공 사상 (空思想)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금강반야경 () [ 金剛般若經 ]

UF (비우선어)

 

 

금강반야바라밀경 () [ 金剛般若婆羅蜜經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귀중본 [ 貴重本 ]

금강저의 인도 신화적 기원과 상징적 원형

Indian Mythical Origin and Symbolic Archetype of Vajra

인도철학 | 33 | 2011 | 철학

니와노 닉쿄(庭野日敬)의 종교협력에 의한 평화의 실천과 일불승의 세계

Nikkyo– Niwano’s Practice of Peace through Interreligious Cooperation and the Realm of the Single Buddha-vehicle (一佛乘)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0 | 2011 | 원불교학

말라르메의 통합적 어휘와 『금강경』의 일합상

Le mot total de Mallarmé et le piṇḍa-grāha du Diamant Sūtra

프랑스어문교육 | 37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普照知讷与四部典籍

보조지눌(普照知訥)과 사부전적(四部典籍)

보조사상 | 35 | 2011 | 종교학

世俗化된 《金剛經》: 「金剛般若波羅蜜經講經文」 小考

Secular 'The Diamond Sutra': The study of 'The Diamond Sutra jiangjingwen'

중국학논총 | 30 | 2010 | 중국문화학

世俗化된 《金剛經》: 「金剛般若波羅蜜經講經文」 小考

Secular 'The Diamond Sutra': The study of 'The Diamond Sutra jiangjingwen'

중국학논총 | | 30 | 2010 | 중국문화학

대승불교의 이미지론 연구

The Study of Image Theory in Mahayana Buddhism

동아시아불교문화 | 6 | 2010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대승불교의 이미지론 연구

The Study of Image Theory in Mahayana Buddhism

동아시아불교문화 | | 6 | 2010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