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사

연구분야 : B089900 사회과학 > 사회학 > 기타사회학

클래스 : 상태/상황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889

STNet ID : 1000756

한자 : 日常事
영어 : an everyday affair

c03-01 상태/상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B02 변화(변동) 변화(변동)

일상화 [ 日常化 ]

풍속·문화론적 (문학) 연구와 개념사의 접속, 일상개념 연구를 위한 試論

The Conjunction of Cultural (Literary) Studies and Conceptual History: an essay to Establish a new research field of cultural concept studies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풍속·문화론적 (문학) 연구와 개념사의 접속, 일상개념 연구를 위한 試論

The Conjunction of Cultural (Literary) Studies and Conceptual History: an essay to Establish a new research field of cultural concept studies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

대한뉴스의 제주기록에 대한 고찰

The Study on the report on Jeju in Daehan(Korea) News

탐라문화 | 37 | 2010 | 기타인문학

대한뉴스의 제주기록에 대한 고찰

The Study on the report on Jeju in Daehan(Korea) News

탐라문화 | | 37 | 2010 | 기타인문학

일상사의 방법론과 해석학적 현상학 -역사주의 이후의 역사주의를 위한 시론-

The Methodology of die Alltagsgeschichte and Hermeneutical Phenomenology: A Sketch for Historicism Comes after Historicism

현상학과 현대철학 | 49 | 2011 | 철학

16세기 夫婦間의 일상사 해결의 양상 - 柳希春과 宋德奉의 경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earance of the marital problem-solving in 16C

동양고전연구 | 46 | 2012 | 기타인문학

북한 주민의 ‘일상의 저항’: 저항 유형과 체제와의 상호작용

Everyday Resistance in North Korea: Types of Resistance and Interaction with the North Korean System

북한학연구 | 7 | 1 | 2011 | 북한

북한연구에 있어 일상생활연구방법의 가능성과 과제

A Study of Everyday Life Approach on North Korean Studies

북한학연구 | 7 | 1 | 2011 | 북한

1920년대 일상생활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에 관한 연구 ―권오설의 옥중서신을 중심으로

A Phenomenological Hermeneutic Study on Every Day'sLife in the 1920's―On the Corresponding Letter Kwon Oh Sul Wrote in the Prison

한국민족문화 | 42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 생활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歐美학계의 일상사 연구경향과 비교의 관점에서

Some Reflections on Kiho Song's Study on Daily Life in Korean History

역사학보 | 213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