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

연구분야 : B010000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890

한자 : 日常生活
영어 : everyday life
영어 : daily life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일상 () [ 日常 ]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비일상 [ 非日常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2 변화(변동) 변화(변동)

일상화 [ 日常化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관련 생활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일상 문화 [ 日常文化 ]

RT_Y (◄관련어)

관련 개념

c02-01 감정 감정

평상심 [ 平常心 ]

曆書의 네트워크 : 왕의 시간과 일상생활

The Network of Almanac: King's Time and Its practical Uses in Everyday Life

영남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曆書의 네트워크 : 왕의 시간과 일상생활

The Network of Almanac: King's Time and Its practical Uses in Everyday Life

영남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1940년대 초반 식민지 만주의 한국 초현실주의 시 연구

A Study on Korean Sur-realism Poems in Colonial Manchuria in Early 1940s

우리문학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 근대 新語 연구(1920년~1936년) -일상·문화적 맥락을 중심으로-

Research of modern neologism in Korea(1920~1936) - Centered on daily life & cultural context -

국어사연구 | 11 | 2010 | 국어사

한국 근대 新語 연구(1920년~1936년) -일상·문화적 맥락을 중심으로-

Research of modern neologism in Korea(1920~1936) - Centered on daily life & cultural context -

국어사연구 | | 11 | 2010 | 국어사

‘감정이입’을 활용한 사회과 수업 실천 전략

Strategies for Practicing Social Studies Class through ‘Empathy’

사회과교육 | 51 | 3 | 2012 | 교육학

대구가톨릭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조교수 푸드마일을 활용한 세계화·지역화 수업 구성 및 적용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eaching Module by Using the Food Mile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18 | 2 | 2010 | 지리학

대구가톨릭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조교수 푸드마일을 활용한 세계화·지역화 수업 구성 및 적용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eaching Module by Using the Food Mile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18 | 2 | 2010 | 지리학

숨기고 싶은 일상의 진실: 윌리엄 호가스의 남녀상열지사

Carnal Truth in Everyday Life: William Hogarth’s Before and After

美術史論壇 | 32 | 2011 | 미술

고전소설 속 여성 생활 문화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 국문장편소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 of Classical Korean Novels as Course Materials to Teach About Ancient Korean Women's Living Culture

韓國古典硏究 | 22 | 2010 | 고전산문

고전소설 속 여성 생활 문화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 국문장편소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 of Classical Korean Novels as Course Materials to Teach About Ancient Korean Women's Living Culture

韓國古典硏究 | | 22 | 2010 | 고전산문

배급과 욕망 사이에서: 1920년대 소비에트 러시아의 소비생활과 광고를 중심으로

Between Distribution and Desire: Consumption Life and Advertisements of the Soviet Russia in the 1920s

러시아연구 | 21 | 2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흐루쇼프의 주택 정책과 소련사회의 일상

Housing Policy under Khrushchev and Soviet Everyday Life

러시아연구 | 20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흐루쇼프의 주택 정책과 소련사회의 일상

Housing Policy under Khrushchev and Soviet Everyday Life

러시아연구 | 20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셰익스피어와 영국의 새

Shakespeare and Birds of Britain

Shakespeare Review | 47 | 4 | 2011 | 영어와문학

『조성당일기(操省堂日記)』를 통해 본 17세기 초 영남 사족의 일상 속의 문화생활

A Daily Life and Culture of a Nobleman in Early 17th Century Joseon’s Kyeongsang Province-A Case in A Diary of Choseongdang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5 | 2012 | 한문비평

『頤齋亂藁』를 통해 본 '朝報'의 유통과 함의

The Distribution and Implications of 'Jobo' Described in 『Yijaenango』

동양한문학연구 | 33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에서 고려인들의 과국적 이동과 과문화적 실천들-재한 고려인들의 생활세계와 문화적 교섭

Transnational Mobility and Transcultural Practices of Koryosaram (CIS Korean) in the Post-Soviet Space-The Lifeworld and Negotiations of Koryosaram in South Korea

사이間SAI | 12 | 2012 | 기타국문학

기 드보르 (G. Debord)의 상황주의운동(1952-1968)

A Study on the Situationist Movement of G. Debord from 1952 to 1968 - Especially on the coherence of Art and Social Revolution for the critique of the everyday life-

역사학연구 | 40 | 2010 | 역사학

기 드보르 (G. Debord)의 상황주의운동(1952-1968)

A Study on the Situationist Movement of G. Debord from 1952 to 1968 - Especially on the coherence of Art and Social Revolution for the critique of the everyday life-

역사학연구 | | 40 | 2010 | 역사학

1960~70년대 비전향장기수와 감옥의 일상사: 비전향장기수의 구술 기억을 따라

A Study on Korean Unconverted Long-term Political Prisoners and Everyday-life in Prison in the 1960s and 1970s: based on their oral history

역사비평 | 94 | 2011 | 역사학

1919년 5~6월에 베이징인의 대사(大事)와 세고(細故): ‘공간’·‘생활’·‘사건’

May Fourth Movement both as a National Event and Personal Experience for Ordinary Beijing Citizens

역사학보 | 213 | 2012 | 역사학

문화적 시민권과 문화연구의 만남에 대한 모색: 공·사 영역의 이분법 극복과 연대의 가능성을 위하여

Cultural citizenship in cultural studies: Reconsidering public/private spheres and social solidarity

언론과 사회 | 18 | 2 | 2010 | 신문방송학

문화적 시민권과 문화연구의 만남에 대한 모색: 공·사 영역의 이분법 극복과 연대의 가능성을 위하여

Cultural citizenship in cultural studies: Reconsidering public/private spheres and social solidarity

언론과 사회 | 18 | 2 | 2010 | 신문방송학

거주시설 성인 지적장애인의 일상에 관한 연구 -생활시간조사를 활용한 일상생활활동과 상호작용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Daily Lives of the Disabled in Residential Facilities -Focusing on Daily Life Activities and Interactions by the Daily Time use Method-

한국사회복지학 | 62 | 1 | 2010 | 사회복지학

거주시설 성인 지적장애인의 일상에 관한 연구 -생활시간조사를 활용한 일상생활활동과 상호작용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Daily Lives of the Disabled in Residential Facilities -Focusing on Daily Life Activities and Interactions by the Daily Time use Method-

한국사회복지학 | 62 | 1 | 2010 | 사회복지학

학교 통일교육의 현재아 미래 -평화와 안보의 발전적 통섭을 위하여-

A study on 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public education for unification -For the developmental consilience of peace and security

북한학연구 | 8 | 1 | 2012 | 북한

자유와 소비의 시대, 그리고 냉소주의의 시작: 대한민국, 1990년대 일상생활의 조건

A Decade of Freedom and Consumption, and the Onset of Cynicism: The Republic of Korea, Its Conditions of Everyday Life in the 1990s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88 | 2010 | 사회학

자유와 소비의 시대, 그리고 냉소주의의 시작: 대한민국, 1990년대 일상생활의 조건

A Decade of Freedom and Consumption, and the Onset of Cynicism: The Republic of Korea, Its Conditions of Everyday Life in the 1990s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 88 | 2010 | 사회학

규방가사에 나타난 가사노동의 의미와 ‘일상성’의 문제

A Study on Ordinariness of Women through Kyubanggasas -focusing on various meaning of houseworks-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규방가사에 나타난 가사노동의 의미와 ‘일상성’의 문제

A Study on Ordinariness of Women through Kyubanggasas -focusing on various meaning of houseworks-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상생활에서 창의적 사고하기’를 통한 창의성 교육의 개발과 효과검증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education through creative thinking in daily life

창의력교육연구 | 12 | 1 | 2012 | 교육심리학

국민기초생활수급 여성독거노인의 일상생활 연구

The study of daily life of aged women living alone who receive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보건사회연구 | 30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국민기초생활수급 여성독거노인의 일상생활 연구

The study of daily life of aged women living alone who receive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보건사회연구 | 30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한부모가정 아동의 방과 후 일상생활 실태 연구

A Research on Actual Condition for Daily Lives after School of Single Parent`s Children

아동교육 | 19 | 3 | 2010 | 유아교육

한부모가정 아동의 방과 후 일상생활 실태 연구

A Research on Actual Condition for Daily Lives after School of Single Parent`s Children

아동교육 | 19 | 3 | 2010 | 유아교육

『고향』의 재현 양식과 서술 방법

The Style of Representation and the Narrative Method in Kohyang

한국언어문학 | 77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사족층의 시조와 일상성 담론

The Joseon Gentry's Discourses on Allteglichkeit and People's Daily Lives through their Sijo Works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사족층의 시조와 일상성 담론

The Joseon Gentry's Discourses on Allteglichkeit and People's Daily Lives through their Sijo Works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맞벌이부부의 일상활동 정서와 행복 : 플로우(Flow)경험을 중심으로

Dual-Earner Couple’s Emotional Experiences in Everyday Life And Happiness: An Investigation into the Flow Experiences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16 | 4 | 2012 | 사회과학일반

1970년대 여성노동자의 여가시간을 둘러싼 투쟁

Korean Female Workers’ Struggle on Leisure Time in the 1970s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85 | 2010 | 사회학

1970년대 여성노동자의 여가시간을 둘러싼 투쟁

Korean Female Workers’ Struggle on Leisure Time in the 1970s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 85 | 2010 | 사회학

북한의 국가사회주의, 그리고 일상의 불확정성과 가능성

North Korea’s State Socialism, and the Indeterminacy and Possibilities of Everyday life

통일인문학 | 49 | 2010 | 기타인문학

북한의 국가사회주의, 그리고 일상의 불확정성과 가능성

North Korea’s State Socialism, and the Indeterminacy and Possibilities of Everyday life

통일인문학 | 49 | | 2010 | 기타인문학

셰익스피어의 꽃과 일상생활

Shakespeare's Flowers and Everyday Life

Shakespeare Review | 47 | 3 | 2011 | 영어와문학

한국ㆍ중국ㆍ일본ㆍ대만 유아의 일상생활 비교

A comparison of the daily lives of children in Korea, China, Japan and Taiwan

유아교육연구 | 32 | 2 | 2012 | 교육학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과 인권의 사회적 구성

The Everyday Life of People and Social Construction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북한학연구 | 7 | 1 | 2011 | 북한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인터넷 문화: 유학 그리고 중국인 되기

The Internet Culture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 Studying abroad and Being Chinese

사회과학연구 | 25 | 1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박태원 방송소설의 아동 표상 연구 -전시체제기 일상성과 프로파간다 간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ild’s representation in Park Tae Won’s radio broadcasting novels -focusing on intersecting point with dailiness and propaganda in war basis period-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