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동일성

연구분야 : B120000 사회과학 > 교육학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987

한자 : 自己同一性
영어 : self-identity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정체성 () [ 正體性 ]

‘어제런 듯하여라’ 시조와 시간 경험의 교육

The Phrase of Sijo(時調) ‘like yesterday’and the Education of Time Experience

고전문학과 교육 | 24 | 2012 | 인문학

재조일본인의 ‘재경성(在京城) 의식’과 ‘경성’ 표상 -‘한일합방’ 전후시기를 중심으로-

‘Zaikeijo(在京城) consciousness’ and ‘Keijo’ representation in Japanese residents in Chosen(Korea) - Centering o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Chosen-Japan annexation’ -

상허학보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조일본인의 ‘재경성(在京城) 의식’과 ‘경성’ 표상 -‘한일합방’ 전후시기를 중심으로-

‘Zaikeijo(在京城) consciousness’ and ‘Keijo’ representation in Japanese residents in Chosen(Korea) - Centering o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Chosen-Japan annexation’ -

상허학보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1980년대 소설의 도덕적 여성 주체 -『고삐』,「새벽출정」을 중심으로

The Moral Female Subject in the 1980s’ Korean Novels

人文科學硏究 | 30 | 2012 | 기타인문학

‘육체의 복수’—포크너의『압살롬, 압살롬!』에 나타난 성적, 인종적 타자의 귀환

Revenge of the Flesh: The Return of Sexual and Racial Otherness in Faulkner’s Absalom, Absalom!

영어영문학 | 58 | 4 | 2012 | 영어와문학

칸트의 선험론적 자기의식에 대한 비판적 수용 ― 피히테와 셸링의 경우 ―

Critical Reception of Kant's Theory of Self ― the Case of Fichte and Schelling ―

철학∙사상∙문화 | 9 | 2010 | 기타인문학

칸트의 선험론적 자기의식에 대한 비판적 수용 ― 피히테와 셸링의 경우 ―

Critical Reception of Kant's Theory of Self ― the Case of Fichte and Schelling ―

철학∙사상∙문화 | | 9 | 2010 | 기타인문학

하이데거에게서 자립성으로서의 자기동일성 개념

The Concept of Self-identity as Self-subsistence in Heidegger

철학논집 | 24 | 2011 | 철학

알렉세이 슬라뽑스끼의 『나는 내가 아니다 (Я-не Я)』: ‘자기동일성 부정’의 서사

Problem of Self-identity and Narrative Strategy in A.Slapovsky's 『Ya-ne Ya(It's not me)』

노어노문학 | 22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알렉세이 슬라뽑스끼의 『나는 내가 아니다 (Я-не Я)』: ‘자기동일성 부정’의 서사

Problem of Self-identity and Narrative Strategy in A.Slapovsky's 『Ya-ne Ya(It's not me)』

노어노문학 | 22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