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의식

연구분야 : A030405 인문학 > 철학 > 서양철학 > 서양근대독일철학

클래스 : 인식/의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990

STNet ID : 1000764

한자 : 自己意識
독일어 : Selbstbewusstsein
영어 : self-consciousness

c02-02 인식/의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1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승인 투쟁 [ 承認鬪爭 ]

종교와 몸: 슐라이어마허의 ‘살/몸’ 존재론에 관하여

Religion and the Body: On Schleiermacher's Ontology of the Flesh/Body

해석학연구 | 26 | 2010 | 철학

종교와 몸: 슐라이어마허의 ‘살/몸’ 존재론에 관하여

Religion and the Body: On Schleiermacher's Ontology of the Flesh/Body

해석학연구 | | 26 | 2010 | 철학

행복의 조건과 인정

Conditions of Happiness and Recognition

범한철학 | 63 | 4 | 2011 | 철학

칸트에 있어서 도덕적 구속력의 근거

The Ground for Moral Ought in Kant's Ethics

윤리교육연구 | 21 | 2010 | 윤리교육학

칸트에 있어서 도덕적 구속력의 근거

The Ground for Moral Ought in Kant's Ethics

윤리교육연구 | | 21 | 2010 | 윤리교육학

하이데거의 기초존재론과 자기의식의 문제: 칸트의 자기의식 이론 및 헨리히의 칸트 비판과 관련해서

Heideggers Fundamentalontologie und das Problem des Selbstbewußtseins: Im Zusammenhang mit Kants Selbstbewußtseinstheorie und Henrichs Kantkritik

철학연구 | 91 | 2010 | 철학

하이데거의 기초존재론과 자기의식의 문제: 칸트의 자기의식 이론 및 헨리히의 칸트 비판과 관련해서

Heideggers Fundamentalontologie und das Problem des Selbstbewußtseins: Im Zusammenhang mit Kants Selbstbewußtseinstheorie und Henrichs Kantkritik

철학연구 | | 91 | 2010 | 철학

마음의 실천철학— 우리는 자유로운 마음을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 —

Practical Philosophy of the Mind. How can we get the free mind?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0 | 2011 | 원불교학

1920년 전후 일본 문학자의 조선 여행 -기노시타 모쿠타로, 다니자키 준이치로, 다야마 가타이-

Modern Japanese Writers’ Travel to Chosun During in 1920 off and on

일본어문학 | 58 | 2012 | 일본어와문학

헤겔의 ‘불행한 의식’과 인문적 주체의 역설

Hegelian Unhappy Consciousness and Paradoxes of Humanistic Subject

철학사상 | 36 | 2010 | 철학

헤겔의 ‘불행한 의식’과 인문적 주체의 역설

Hegelian Unhappy Consciousness and Paradoxes of Humanistic Subject

철학사상 | | 36 | 2010 | 철학

완벽주의, 자기비난, 자기의식, 신체불만족 및 신경성 폭식증 증상 간의 관계

The relations among perfectionism, self-criticism, self-consciousness, body dissatisfaction and bulimic symptoms

한국심리학회지:일반 | 30 | 1 | 2011 | 심리과학

윤동주와 자기의식의 진리

Yun Dongju and the Truth of Selfconsciousness

코기토 | 69 | 2011 | 기타인문학

마음과 타자: 데카르트, 칸트, 헤겔의 사유 모델 비교

Mind und Anderes: Vergleich zwischen Denkmodellen der Philosophie von Descartes, Kant und Hegel

철학탐구 | 30 | 2011 | 철학

자유의 문화적 지평

Cultural Horizon of Freedom

윤리연구 | 1 | 76 | 2010 | 학제간연구

자유의 문화적 지평

Cultural Horizon of Freedom

윤리연구 | 1 | 76 | 2010 | 학제간연구

데카르트의 코기토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석

Heidegger Interpretation zum ‘cogito’ des Descartes

철학탐구 | 30 | 2011 | 철학

칸트의 선험론적 자기의식에 대한 비판적 수용 ― 피히테와 셸링의 경우 ―

Critical Reception of Kant's Theory of Self ― the Case of Fichte and Schelling ―

철학∙사상∙문화 | 9 | 2010 | 기타인문학

칸트의 선험론적 자기의식에 대한 비판적 수용 ― 피히테와 셸링의 경우 ―

Critical Reception of Kant's Theory of Self ― the Case of Fichte and Schelling ―

철학∙사상∙문화 | | 9 | 2010 | 기타인문학

중년남성이 지각한 자기의식과 성역할 스트레스가 중년의 위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consciousness and Gender role stress upon Mid-life crisis of Middle-aged male

상담학연구 | 12 | 3 | 2011 | 교육학

자기의식의 가능성 - 칸트와 헤겔을 중심으로

Über die Möglichkeit des Selbstbewüßtseins - In Bezug auf Kant und Hegel

헤겔연구 | 28 | 2010 | 철학

자기의식의 가능성 - 칸트와 헤겔을 중심으로

Über die Möglichkeit des Selbstbewüßtseins - In Bezug auf Kant und Hegel

헤겔연구 | | 28 | 2010 | 철학

무용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자기의식과 신체이미지, 자기효능감 및 무용수행 불안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elf-consciousness of College Majors in Dance on the Body Image, Self-efficacy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한국무용과학회지 | 21 | 2010 | 기타무용

무용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자기의식과 신체이미지, 자기효능감 및 무용수행 불안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elf-consciousness of College Majors in Dance on the Body Image, Self-efficacy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한국무용과학회지 | | 21 | 2010 | 기타무용

선험적 자기의식과 자아의 문제- 칸트의 『순수 이성 비판』을 중심으로 -

Das transzendentale Ich im transzendentalen Selbstbewußtseinin der Kritik der reinen Vernunft

철학연구 | 123 | 2012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