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를로 퐁티

연구분야 : A020407 인문학 > 역사학 > 서양사 > 프랑스사
A030406 인문학 > 철학 > 서양철학 > 서양근대프랑스철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0160

STNet ID : 1002992

한자 :
프랑스어 : Merleau-Ponty, Maurice
프랑스어 : Maurice Merleau-Ponty
기타 : 모리스 메를로 퐁티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폴 리쾨르 (1913-2005) [Ricoer, Paul]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Lyotard, Jean Francois]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후설 () [Husserl, Edmund]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장 폴 사르트르 (1905-1980) [Sartre, Jean Paul]

자연주의 심리학에 대한 현상학의 비판 -현상학적 심리학적 환원에 대한 해명을 중심으로-

The Phenomenological Criticism of the Naturalistic Psychology: Concentrating on the Clarific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Psychological Reduction

현상학과 현대철학 | 50 | 2011 | 철학

김훈 소설에 나타난 몸담론 -「화장」을 중심으로

Body discourse in Kim Hoon's short story - focusing on 「 Hwajang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훈 소설에 나타난 몸담론 -「화장」을 중심으로

Body discourse in Kim Hoon's short story - focusing on 「 Hwajang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선의 미학: 시선에 관한 현상학적 반성

Aesthetics of the Seeing-in the Phenomenological Reflection to the Seeing

철학연구 | 89 | 2010 | 철학

시선의 미학: 시선에 관한 현상학적 반성

Aesthetics of the Seeing-in the Phenomenological Reflection to the Seeing

철학연구 | | 89 | 2010 | 철학

현상학적 예술 교육에 관한 소묘

An Outline of Phenomenological Aesthetic Education

철학연구 | 114 | 2010 | 철학

현상학적 예술 교육에 관한 소묘

An Outline of Phenomenological Aesthetic Education

철학연구 | 114 | | 2010 | 철학

도덕과 교육과정의 생명윤리 영역 비판과 현상학적 재구성: Merleau-Ponty 몸의 현상학을 토대로

The Criticism and Phenomenological Reconstruction for the Bioethics in Moral Education Curriculum : on the Foundation of the Phenomenology of body in Merleau-Ponty

초등도덕교육 | 34 | 2010 | 윤리교육학

도덕과 교육과정의 생명윤리 영역 비판과 현상학적 재구성: Merleau-Ponty 몸의 현상학을 토대로

The Criticism and Phenomenological Reconstruction for the Bioethics in Moral Education Curriculum : on the Foundation of the Phenomenology of body in Merleau-Ponty

초등도덕교육 | | 34 | 2010 | 윤리교육학

몸의 지리성에 대한 현상학적 검토와 지리교육적 함의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Geographicality of Body and Its Geography Educational Implication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18 | 3 | 2010 | 지리학

몸의 지리성에 대한 현상학적 검토와 지리교육적 함의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Geographicality of Body and Its Geography Educational Implication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18 | 3 | 2010 | 지리학

기술적 대상(l'objet technique)의 존재 : 디지털 이미지의 존재론을 위한 예비적 고찰

L'Être de l'objet technique : la recherche préparatoire pour l'ontologie de l'image digitale

미학예술학연구 | 32 | 2010 | 기타예술체육

기술적 대상(l'objet technique)의 존재 : 디지털 이미지의 존재론을 위한 예비적 고찰

L'Être de l'objet technique : la recherche préparatoire pour l'ontologie de l'image digitale

미학예술학연구 | 32 | | 2010 | 기타예술체육

메를로-퐁티의 언어 현상학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Language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메를로-퐁티의 언어 현상학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Language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앙리의 몸 철학과 후기 메를로-퐁티의 살 개념과 키아슴

The Philosophie du corps chez Henry et le concept de chair et le chiasme du dernier Merleau-Ponty

철학∙사상∙문화 | 13 | 2012 | 기타인문학

녹색 몸 신학의 방법론적 탐구

A Methodological Study on Green Body Theology

신학논단 | 64 | 2011 | 기타기독교신학

한의학 진단의 현상학과 근대적 시선 생경하게 하기

Phenomenology of Korean Medical Diagnosis and Defamiliarization of the Modern Gaze

한국문화인류학 | 45 | 3 | 2012 | 역사학

후설의 타자이론에 대한 하이데거의 비판, 영향 그리고 대응전략

Heidegger’s Criticism on Husserl’s Theory of Other, its After-effects, and Countermeasures from Husserl

현상학과 현대철학 | 49 | 2011 | 철학

Political Phenomenology as a New Paradigm in the Study of Politics: An Intellectual Odyssey

정치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정치현상학: 한 지적 모험의 서사

현상학과 현대철학 | 49 | 2011 | 철학

Repetition-Juxtaposition-Difference: Warhol, Merleau-Ponty, and the chiasmatic inscriptions of postmodernism events

반복-병치-차이: 워홀, 메를로-퐁티, 그리고 포스트모던 사건의 교착적 각인

인문과학연구 | 13 | 2010 | 기타인문학

Repetition-Juxtaposition-Difference: Warhol, Merleau-Ponty, and the chiasmatic inscriptions of postmodernism events

반복-병치-차이: 워홀, 메를로-퐁티, 그리고 포스트모던 사건의 교착적 각인

인문과학연구 | | 13 | 2010 | 기타인문학

현상학적 공간구성에서 ‘깊이’지각 -후설의 ‘촉발적 부조’와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여로’

The Perception of 'Depth' in the Phenomenological Constitution of Space : Husserl's 'affective relief' and Merleau-Ponty's 'perceptive itinerary'

인문논총 | 64 | 2010 | 기타인문학

현상학적 공간구성에서 ‘깊이’지각 -후설의 ‘촉발적 부조’와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여로’

The Perception of 'Depth' in the Phenomenological Constitution of Space : Husserl's 'affective relief' and Merleau-Ponty's 'perceptive itinerary'

인문논총 | | 64 | 2010 | 기타인문학

하이데거와 메를로-퐁티의 ‘공간’ 개념 -정위(定位)와 원근(遠近)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Concept of the Spatiality in Heidegger and Merleau-Ponty -A Comparative Study: the Orientation and the Perspective-

현대유럽철학연구 | 24 | 2010 | 서양철학

하이데거와 메를로-퐁티의 ‘공간’ 개념 -정위(定位)와 원근(遠近)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Concept of the Spatiality in Heidegger and Merleau-Ponty -A Comparative Study: the Orientation and the Perspective-

현대유럽철학연구 | | 24 | 2010 | 서양철학

메를로-퐁티의 기능하는 자연

La Nature Fonctionnante chez Maurice Merleau-Ponty

현상학과 현대철학 | 48 | 2011 | 철학

신체 이미지와 거식증 : 메를로-퐁티의 신체의 현상학과 라캉의 정신 분석학을 중심으로

Body image and Anorexia

한국여성철학 | 15 | 2011 | 여성철학

현대 공간디자인에서의 현상학적 특징과 가능성 -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ossibilities in the contemporary spatial design - From the Viewpoint of Phenomenology of Perception of M. Merleau-Ponty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2 | 2011 | 디자인

심신문제를 통해 본 메를로-퐁티의 몸 이론

Merleau-Ponty’s Theory of Body Viewed in terms of the Mind-body Problem

철학사상 | 39 | 2011 | 철학

라깡의 응시에 비추어 본 메를로-퐁티의 가시적인 것의 깊이

La profondeur dans le Visible chez Merleau-Ponty et le regard chez Lacan

현대정신분석 | 12 | 1 | 2010 | 기타인문학

라깡의 응시에 비추어 본 메를로-퐁티의 가시적인 것의 깊이

La profondeur dans le Visible chez Merleau-Ponty et le regard chez Lacan

현대정신분석 | 12 | 1 | 2010 | 기타인문학

메를로-퐁티의 ‘육화된 의식’ -애매하고 모호한 인간 존재-

Merleau-Ponty’s ‘Embodied Consciousness’

철학사상 | 43 | 2012 | 철학

발달 심리학과의 대화를 통한 메를로–퐁티의 타자경험의 현상학의 변용과 발전

The Modification and Development of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Experience of Others through Dialog between Merleau-ponty and Development Psychology

현상학과 현대철학 | 52 | 2012 | 철학

자유의 문제: 메를로-퐁티와 사르트르

The Problem of Freedom: Merleau-Ponty and Sartre

철학연구 | 123 | 2012 | 철학

메를로-퐁티 현상학으로 본 부석사 공간 연구

A Study on Space of Pu Sok Sa through Merleau-Ponty's Phenomenology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1 | 3 | 2012 | 디자인

질서와 진보의 교차적 동학으로서의 실존철학적 변증법: 메를로-퐁티의 견해를 바탕으로

The Dialectic Politics as the Intersecting Dynamics of Order and Progress

한국정치학회보 | 45 | 4 | 2011 | 정치외교학

교감 이론으로서 메를로퐁티의 ‘상호 엮임’

Merleau-Ponty’s Intertwining as a Theory of Communion

영어영문학 | 57 | 4 | 2011 | 영어와문학

세계와 깊이: 메를로-퐁티와 세잔의 회화를 중심으로

The World and The Depth: Concentrated on Merleau-Ponty and Cezanne’s Painting

철학논총 | 67 | 1 | 2012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