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와 마음: 현상학 및 언어・심리철학적 접근
Institutions and the Mind: Approaches from Phenomenology and Philosophy of Language and Psychology
행정논총 |
50 |
1 |
2012 |
행정학
제도와 마음: 현상학 및 언어・심리철학적 접근
Institutions and the Mind: Approaches from Phenomenology and Philosophy of Language and Psychology
행정논총 |
50 |
1 |
2012 |
행정학
들뢰즈의 생성의 개념으로 읽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환상성, 패러독스, 그리고 동물 이미지의 잠재성
Fantasy, Paradox and the Virtuality of Animal Images in 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 A Reading from the Deleuzean Concept of Becoming
인문언어 |
12 |
2 |
2010 |
기타인문학
들뢰즈의 생성의 개념으로 읽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환상성, 패러독스, 그리고 동물 이미지의 잠재성
Fantasy, Paradox and the Virtuality of Animal Images in 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 A Reading from the Deleuzean Concept of Becoming
인문언어 |
12 |
2 |
2010 |
기타인문학
자연주의 심리학에 대한 현상학의 비판 -현상학적 심리학적 환원에 대한 해명을 중심으로-
The Phenomenological Criticism of the Naturalistic Psychology: Concentrating on the Clarific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Psychological Reduction
현상학과 현대철학 |
50 |
2011 |
철학
하이데거의 ‘실존’을 벗어난 사르트르의 ‘현존’
Sartre’s ‘Existence’ deviate from Heidegger’s ‘Existenz’
철학논집 |
23 |
2010 |
철학
하이데거의 ‘실존’을 벗어난 사르트르의 ‘현존’
Sartre’s ‘Existence’ deviate from Heidegger’s ‘Existenz’
철학논집 |
23 |
|
2010 |
철학
자연주의 심리학에 대한 현상학의 비판 -현상학적 심리학적 환원에 대한 해명을 중심으로-
The Phenomenological Criticism of the Naturalistic Psychology: Concentrating on the Clarific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Psychological Reduction
현상학과 현대철학 |
50 |
2011 |
철학
다문화 상담에서의 감정이입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
Phenomenological Study about Empathy in Multicultural Counseling
철학 |
112 |
2012 |
철학
신앙체험과 현상학적 해석학 -전기 하이데거 사유의 근본동기에 대한 탐구-
Glaubenserfahrung und die phaenomenogische Hermeneutik
현상학과 현대철학 |
46 |
2010 |
철학
신앙체험과 현상학적 해석학 -전기 하이데거 사유의 근본동기에 대한 탐구-
Glaubenserfahrung und die phaenomenogische Hermeneutik
현상학과 현대철학 |
|
46 |
2010 |
철학
다문화 상담에서의 감정이입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
Phenomenological Study about Empathy in Multicultural Counseling
철학 |
112 |
2012 |
철학
다문화 상담이론에서의 방법론적 토대로서 현상학
Phenomenology as a Methodological Fundament for the Theory of Multicultural Counseling
철학 |
105 |
2010 |
철학
다문화 상담이론에서의 방법론적 토대로서 현상학
Phenomenology as a Methodological Fundament for the Theory of Multicultural Counseling
철학 |
|
105 |
2010 |
철학
심리 세계에 대한 현상학적 환원
On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of Psychological Realm
철학 |
108 |
2011 |
철학
하이데거의 ‘실존’을 벗어난 사르트르의 ‘현존’
Sartre’s ‘Existence’ deviate from Heidegger’s ‘Existenz’
철학논집 |
23 |
2010 |
철학
하이데거의 ‘실존’을 벗어난 사르트르의 ‘현존’
Sartre’s ‘Existence’ deviate from Heidegger’s ‘Existenz’
철학논집 |
23 |
|
2010 |
철학
다문화 상담이론에서의 방법론적 토대로서 현상학
Phenomenology as a Methodological Fundament for the Theory of Multicultural Counseling
철학 |
105 |
2010 |
철학
다문화 상담이론에서의 방법론적 토대로서 현상학
Phenomenology as a Methodological Fundament for the Theory of Multicultural Counseling
철학 |
|
105 |
2010 |
철학
심리 세계에 대한 현상학적 환원
On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of Psychological Realm
철학 |
108 |
2011 |
철학
원초적인 타인경험으로서 ‘강한 응답성’의 구성
Zur Konstruktion einer starken Responsivität als einer primordialen Fremderfahrung
현대유럽철학연구 |
28 |
2012 |
서양철학
작동 개념으로서의 선험성 - 칸트와 후설의 경우
Transcendentality as an Operative Concept - Kant's and Husserl's Cases
칸트연구 |
25 |
2010 |
철학
작동 개념으로서의 선험성 - 칸트와 후설의 경우
Transcendentality as an Operative Concept - Kant's and Husserl's Cases
칸트연구 |
|
25 |
2010 |
철학
작동 개념으로서의 선험성 - 칸트와 후설의 경우
Transcendentality as an Operative Concept - Kant's and Husserl's Cases
칸트연구 |
25 |
2010 |
철학
작동 개념으로서의 선험성 - 칸트와 후설의 경우
Transcendentality as an Operative Concept - Kant's and Husserl's Cases
칸트연구 |
|
25 |
2010 |
철학
원초적인 타인경험으로서 ‘강한 응답성’의 구성
Zur Konstruktion einer starken Responsivität als einer primordialen Fremderfahrung
현대유럽철학연구 |
28 |
2012 |
서양철학
시간공간의 상대성과 인식의 통일성 -카시러의 철학으로 본 상대성이론의 인식론적 의미-
On the Relativity of Time-Space and Its episthemological Significance from the Perspective of E. Cassierer
현상학과 현대철학 |
44 |
2010 |
철학
시간공간의 상대성과 인식의 통일성 -카시러의 철학으로 본 상대성이론의 인식론적 의미-
On the Relativity of Time-Space and Its episthemological Significance from the Perspective of E. Cassierer
현상학과 현대철학 |
|
44 |
2010 |
철학
타자의 배제 - F. 브렌타노와 디그나가의 유명론 -
nyāpoha as Exclusion of the Others - Nominalism of F. Brentano and Dignāga -
철학연구 |
120 |
2011 |
철학
브렌타노 지향성 이념의 해석 문제 -바톡의 입장에 대한 비판-
The Problem of Interpreting Brentano’s Idea of Intentionality: A Critique of Bartok’s View
현상학과 현대철학 |
54 |
2012 |
철학
초기 선불교 선정관의 후설시간론적 해명
An Elucidation of Early Chinese Zen Buddhism on the Basis of Husserl’s Time Theory
현대유럽철학연구 |
28 |
2012 |
서양철학
타자의 배제 - F. 브렌타노와 디그나가의 유명론 -
nyāpoha as Exclusion of the Others - Nominalism of F. Brentano and Dignāga -
철학연구 |
120 |
2011 |
철학
초기 선불교 선정관의 후설시간론적 해명
An Elucidation of Early Chinese Zen Buddhism on the Basis of Husserl’s Time Theory
현대유럽철학연구 |
28 |
2012 |
서양철학
브렌타노 지향성 이념의 해석 문제 -바톡의 입장에 대한 비판-
The Problem of Interpreting Brentano’s Idea of Intentionality: A Critique of Bartok’s View
현상학과 현대철학 |
54 |
2012 |
철학
메를로-퐁티의 언어 현상학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Language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메를로-퐁티의 언어 현상학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Language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시간과 초월로서의 현존재 -칸트의 시간 개념에 대한 하이데거의 이해와 그 존재론적 의의에 관한 소고-
Time and ‘Dasein’ as a Transcendence: Heidegger’s Understanding of the Kantian Notion of Time and Its Ontological Meaning
현상학과 현대철학 |
50 |
2011 |
철학
메를로-퐁티의 언어 현상학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Language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메를로-퐁티의 언어 현상학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Language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초등 역사교육에 있어서 1인칭 역사학습의 가능성 모색
A Search for First Person History Learning in the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인문과학연구 |
30 |
2011 |
기타인문학
시간과 초월로서의 현존재 -칸트의 시간 개념에 대한 하이데거의 이해와 그 존재론적 의의에 관한 소고-
Time and ‘Dasein’ as a Transcendence: Heidegger’s Understanding of the Kantian Notion of Time and Its Ontological Meaning
현상학과 현대철학 |
50 |
2011 |
철학
에디트 슈타인과 중세 스콜라철학의 수용 -제1부- 왜 에디트 슈타인인가? -후설과 더불어, 후설을 넘어서
Edith Stein und die Aufnahme der scholastischen Philosophie des Mittelaters -I. Teil-: Warum Edith Stein?-Mit und über Husserl
현상학과 현대철학 |
48 |
2011 |
철학
세계족과 세계 유전자
Family of Worlds and World-Genes
철학사상 |
38 |
2010 |
철학
세계족과 세계 유전자
Family of Worlds and World-Genes
철학사상 |
|
38 |
2010 |
철학
메를로-퐁티의 기능하는 자연
La Nature Fonctionnante chez Maurice Merleau-Ponty
현상학과 현대철학 |
48 |
2011 |
철학
팬더 현상학에서 나타난 의욕과 동기에 대한 연구
Untersuchungen über das Wollen und das Motiv in der Phänomenologie bei Pfänder
현상학과 현대철학 |
48 |
2011 |
철학
데리다의 후설 분석에 대한 검토(Ⅱ)
A Reconsideration of Derrida’s Analysis of Husserl(Ⅱ)
철학연구 |
119 |
2011 |
철학
후설과 더불어, 후설을 넘어서 - 레비나스의 후설 비판과 지향성의 문제 -
철학논집 |
23 |
2010 |
철학
후설과 더불어, 후설을 넘어서 - 레비나스의 후설 비판과 지향성의 문제 -
철학논집 |
23 |
|
2010 |
철학
심리학과 현상학 -역사를 관찰하는 주관과 역사 안에 실존하는 주관-
Psychologie und Phänomenologie
현상학과 현대철학 |
44 |
2010 |
철학
심리학과 현상학 -역사를 관찰하는 주관과 역사 안에 실존하는 주관-
Psychologie und Phänomenologie
현상학과 현대철학 |
|
44 |
2010 |
철학
폴 리쾨르의 에두르기 철학 : 자기이해의 문제를 중심으로
La philosophie du détour chez Paul Ricoeur : autour du problème de la compréhension de soi
불어불문학연구 |
8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후설의 시간론과 콜링우드 역사인식론의 접점 탐색 -베르그송과의 사상적 연관성을 중심으로-
A Search for the Common Ground of Historical Epistemology between E. Husserl and R. G. Collingwood
인문학논총 |
27 |
2011 |
기타인문학
에디트 슈타인에서 형이상학의 새로운 정초 -스콜라철학과 현상학을 넘어서-
Eine neue Begründung der Metaphysik bei Edith Stein - Eine Überwindung der Scholastik und der Phänomenologie -
현대유럽철학연구 |
22 |
2010 |
서양철학
에디트 슈타인에서 형이상학의 새로운 정초 -스콜라철학과 현상학을 넘어서-
Eine neue Begründung der Metaphysik bei Edith Stein - Eine Überwindung der Scholastik und der Phänomenologie -
현대유럽철학연구 |
|
22 |
2010 |
서양철학
팬더 현상학에서 나타난 의욕과 동기에 대한 연구
Untersuchungen über das Wollen und das Motiv in der Phänomenologie bei Pfänder
현상학과 현대철학 |
48 |
2011 |
철학
데리다의 후설 분석에 대한 검토(Ⅱ)
A Reconsideration of Derrida’s Analysis of Husserl(Ⅱ)
철학연구 |
119 |
2011 |
철학
에디트 슈타인과 중세 스콜라철학의 수용 -제1부- 왜 에디트 슈타인인가? -후설과 더불어, 후설을 넘어서
Edith Stein und die Aufnahme der scholastischen Philosophie des Mittelaters -I. Teil-: Warum Edith Stein?-Mit und über Husserl
현상학과 현대철학 |
48 |
2011 |
철학
데리다의 후설 분석에 대한 검토 (Ⅰ)
A Reconsideration of Derrida’s Analysis of Husserl
철학연구 |
118 |
2011 |
철학
폴 리쾨르의 에두르기 철학 : 자기이해의 문제를 중심으로
La philosophie du détour chez Paul Ricoeur : autour du problème de la compréhension de soi
불어불문학연구 |
8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메를로-퐁티의 기능하는 자연
La Nature Fonctionnante chez Maurice Merleau-Ponty
현상학과 현대철학 |
48 |
2011 |
철학
심리학과 현상학 -역사를 관찰하는 주관과 역사 안에 실존하는 주관-
Psychologie und Phänomenologie
현상학과 현대철학 |
44 |
2010 |
철학
심리학과 현상학 -역사를 관찰하는 주관과 역사 안에 실존하는 주관-
Psychologie und Phänomenologie
현상학과 현대철학 |
|
44 |
2010 |
철학
후설과 더불어, 후설을 넘어서 - 레비나스의 후설 비판과 지향성의 문제 -
철학논집 |
23 |
2010 |
철학
후설과 더불어, 후설을 넘어서 - 레비나스의 후설 비판과 지향성의 문제 -
철학논집 |
23 |
|
2010 |
철학
에디트 슈타인에서 형이상학의 새로운 정초 -스콜라철학과 현상학을 넘어서-
Eine neue Begründung der Metaphysik bei Edith Stein - Eine Überwindung der Scholastik und der Phänomenologie -
현대유럽철학연구 |
22 |
2010 |
서양철학
에디트 슈타인에서 형이상학의 새로운 정초 -스콜라철학과 현상학을 넘어서-
Eine neue Begründung der Metaphysik bei Edith Stein - Eine Überwindung der Scholastik und der Phänomenologie -
현대유럽철학연구 |
|
22 |
2010 |
서양철학
데리다의 후설 분석에 대한 검토 (Ⅰ)
A Reconsideration of Derrida’s Analysis of Husserl
철학연구 |
118 |
2011 |
철학
상상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Phantasy in Husserls Phenomenology
현상학과 현대철학 |
51 |
2011 |
철학
후설의 생활세계론이 초등 역사교육에 주는 함의
Implications of Husserl's Life World Theory for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초등교육연구 |
23 |
4 |
2010 |
교육학
후설의 생활세계론이 초등 역사교육에 주는 함의
Implications of Husserl's Life World Theory for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초등교육연구 |
23 |
4 |
2010 |
교육학
Political Phenomenology as a New Paradigm in the Study of Politics: An Intellectual Odyssey
정치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정치현상학: 한 지적 모험의 서사
현상학과 현대철학 |
49 |
2011 |
철학
Husserl의 현상학과 Schutz의 현상학적 사회학
Husserl’s Phenomenology and Schutz’s Phenomenological Sociology
철학사상 |
42 |
2011 |
철학
선험적 주관의 순환성과 후설 현상학
Circularity of Transcendental Subject and Husserls Phenomenology
철학연구 |
94 |
2011 |
철학
생활세계를 기반으로 한 초등 역사교육의 방향성 모색
Investigation into the Direction of based on the Life World in the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사회과교육 |
49 |
4 |
2010 |
교육학
생활세계를 기반으로 한 초등 역사교육의 방향성 모색
Investigation into the Direction of based on the Life World in the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사회과교육 |
49 |
4 |
2010 |
교육학
엄밀한 학이 아닌 엄연한 지역학으로서 철학-제1부 ― 후설의 후기현상학에서 생활세계개념의 지역학적 개진 ―
Philosophy as Rigorous Regional Studies, not as Rigorous Science, Part One - Developing Life-World Phenomenology in Later Husserl into Transcendental ‘Regional Studies’ -
철학 |
103 |
2010 |
철학
엄밀한 학이 아닌 엄연한 지역학으로서 철학-제1부 ― 후설의 후기현상학에서 생활세계개념의 지역학적 개진 ―
Philosophy as Rigorous Regional Studies, not as Rigorous Science, Part One - Developing Life-World Phenomenology in Later Husserl into Transcendental ‘Regional Studies’ -
철학 |
|
103 |
2010 |
철학
예지와 근원현전 -후설의 <베르나우 원고>를 중심으로-
Protention and Primal Presentation in Husserl’s Bernau Manuscripts
철학사상 |
36 |
2010 |
철학
예지와 근원현전 -후설의 <베르나우 원고>를 중심으로-
Protention and Primal Presentation in Husserl’s Bernau Manuscripts
철학사상 |
|
36 |
2010 |
철학
후설과 키에르케고르: 차이의 극복을 중심으로
Husserl und Kierkegaard: Zum inneren Zusammenhang zwischen beiden
철학연구 |
89 |
2010 |
철학
후설과 키에르케고르: 차이의 극복을 중심으로
Husserl und Kierkegaard: Zum inneren Zusammenhang zwischen beiden
철학연구 |
|
89 |
2010 |
철학
후설의 타자이론에 대한 하이데거의 비판, 영향 그리고 대응전략
Heidegger’s Criticism on Husserl’s Theory of Other, its After-effects, and Countermeasures from Husserl
현상학과 현대철학 |
49 |
2011 |
철학
후설의 현상학 입문 -내적 역사의 제시-
Husserls Einleitung in die Phänomenologie: Innere Historie
현상학과 현대철학 |
51 |
2011 |
철학
현상학적 공간구성에서 ‘깊이’지각 -후설의 ‘촉발적 부조’와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여로’
The Perception of 'Depth' in the Phenomenological Constitution of Space : Husserl's 'affective relief' and Merleau-Ponty's 'perceptive itinerary'
인문논총 |
64 |
2010 |
기타인문학
현상학적 공간구성에서 ‘깊이’지각 -후설의 ‘촉발적 부조’와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여로’
The Perception of 'Depth' in the Phenomenological Constitution of Space : Husserl's 'affective relief' and Merleau-Ponty's 'perceptive itinerary'
인문논총 |
|
64 |
2010 |
기타인문학
후설의 절대의식 -근원의식과의 연관 하에서-
The Absolute Consciousness in Husserl’s Early Writings on Time-Consciousness : In relation to The Primal Consciousness
현상학과 현대철학 |
44 |
2010 |
철학
후설의 절대의식 -근원의식과의 연관 하에서-
The Absolute Consciousness in Husserl’s Early Writings on Time-Consciousness : In relation to The Primal Consciousness
현상학과 현대철학 |
|
44 |
2010 |
철학
세계족과 세계 유전자
Family of Worlds and World-Genes
철학사상 |
38 |
2010 |
철학
세계족과 세계 유전자
Family of Worlds and World-Genes
철학사상 |
|
38 |
2010 |
철학
현상학적 시간론을 통한 현재의 의미 이해와 초등 역사교육에의 실제 적용
Understanding of Significance of Present and Practice of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through Phenomenological Time Theory
교육연구 |
51 |
2011 |
교과교육학
초월론적 자아의 유한성 -후설의‘한계사건’ 분석을 중심으로-
The Finitude of Transcendental I: Husserl’s Analysis of “Limit-Case”
철학사상 |
40 |
2011 |
철학
현상학적 환원과 현상학의 미래 -“현상학적 환원의 현상학”을 위한 하나의 기여-
Phenomenological Reduction and the Future of Phenomenology
현상학과 현대철학 |
54 |
2012 |
철학
현상학적 공간구성에서 ‘깊이’지각 -후설의 ‘촉발적 부조’와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여로’
The Perception of 'Depth' in the Phenomenological Constitution of Space : Husserl's 'affective relief' and Merleau-Ponty's 'perceptive itinerary'
인문논총 |
64 |
2010 |
기타인문학
현상학적 공간구성에서 ‘깊이’지각 -후설의 ‘촉발적 부조’와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여로’
The Perception of 'Depth' in the Phenomenological Constitution of Space : Husserl's 'affective relief' and Merleau-Ponty's 'perceptive itinerary'
인문논총 |
|
64 |
2010 |
기타인문학
후설의 타자이론에 대한 하이데거의 비판, 영향 그리고 대응전략
Heidegger’s Criticism on Husserl’s Theory of Other, its After-effects, and Countermeasures from Husserl
현상학과 현대철학 |
49 |
2011 |
철학
초월론적 자아의 유한성 -후설의‘한계사건’ 분석을 중심으로-
The Finitude of Transcendental I: Husserl’s Analysis of “Limit-Case”
철학사상 |
40 |
2011 |
철학
예지와 근원현전 -후설의 <베르나우 원고>를 중심으로-
Protention and Primal Presentation in Husserl’s Bernau Manuscripts
철학사상 |
36 |
2010 |
철학
예지와 근원현전 -후설의 <베르나우 원고>를 중심으로-
Protention and Primal Presentation in Husserl’s Bernau Manuscripts
철학사상 |
|
36 |
2010 |
철학
엄밀한 학이 아닌 엄연한 지역학으로서 철학-제1부 ― 후설의 후기현상학에서 생활세계개념의 지역학적 개진 ―
Philosophy as Rigorous Regional Studies, not as Rigorous Science, Part One - Developing Life-World Phenomenology in Later Husserl into Transcendental ‘Regional Studies’ -
철학 |
103 |
2010 |
철학
엄밀한 학이 아닌 엄연한 지역학으로서 철학-제1부 ― 후설의 후기현상학에서 생활세계개념의 지역학적 개진 ―
Philosophy as Rigorous Regional Studies, not as Rigorous Science, Part One - Developing Life-World Phenomenology in Later Husserl into Transcendental ‘Regional Studies’ -
철학 |
|
103 |
2010 |
철학
후설과 키에르케고르: 차이의 극복을 중심으로
Husserl und Kierkegaard: Zum inneren Zusammenhang zwischen beiden
철학연구 |
89 |
2010 |
철학
후설과 키에르케고르: 차이의 극복을 중심으로
Husserl und Kierkegaard: Zum inneren Zusammenhang zwischen beiden
철학연구 |
|
89 |
2010 |
철학
후설의 절대의식 -근원의식과의 연관 하에서-
The Absolute Consciousness in Husserl’s Early Writings on Time-Consciousness : In relation to The Primal Consciousness
현상학과 현대철학 |
44 |
2010 |
철학
후설의 절대의식 -근원의식과의 연관 하에서-
The Absolute Consciousness in Husserl’s Early Writings on Time-Consciousness : In relation to The Primal Consciousness
현상학과 현대철학 |
|
44 |
2010 |
철학
선험적 주관의 순환성과 후설 현상학
Circularity of Transcendental Subject and Husserls Phenomenology
철학연구 |
94 |
2011 |
철학
Husserl의 현상학과 Schutz의 현상학적 사회학
Husserl’s Phenomenology and Schutz’s Phenomenological Sociology
철학사상 |
42 |
2011 |
철학
상상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Phantasy in Husserls Phenomenology
현상학과 현대철학 |
51 |
2011 |
철학
Political Phenomenology as a New Paradigm in the Study of Politics: An Intellectual Odyssey
정치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정치현상학: 한 지적 모험의 서사
현상학과 현대철학 |
49 |
2011 |
철학
학문 분류의 문제와 후설 현상학
Classification of Sciences and Husserls Phenomenology
현상학과 현대철학 |
54 |
2012 |
철학
현상학적 환원과 현상학의 미래 -“현상학적 환원의 현상학”을 위한 하나의 기여-
Phenomenological Reduction and the Future of Phenomenology
현상학과 현대철학 |
54 |
2012 |
철학
생활세계를 기반으로 한 초등 역사교육의 방향성 모색
Investigation into the Direction of based on the Life World in the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사회과교육 |
49 |
4 |
2010 |
교육학
생활세계를 기반으로 한 초등 역사교육의 방향성 모색
Investigation into the Direction of based on the Life World in the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사회과교육 |
49 |
4 |
2010 |
교육학
후설의 현상학 입문 -내적 역사의 제시-
Husserls Einleitung in die Phänomenologie: Innere Historie
현상학과 현대철학 |
51 |
2011 |
철학
현상학적 교육학
Phenomenological Pedagogy
교육철학연구 |
47 |
2010 |
교육학
현상학적 교육학
Phenomenological Pedagogy
교육철학연구 |
|
47 |
2010 |
교육학
후설의 생활세계론이 초등 역사교육에 주는 함의
Implications of Husserl's Life World Theory for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초등교육연구 |
23 |
4 |
2010 |
교육학
후설의 생활세계론이 초등 역사교육에 주는 함의
Implications of Husserl's Life World Theory for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초등교육연구 |
23 |
4 |
2010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