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형사

연구분야 : A1101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형태론(국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1401

STNet ID : 1002996

한자 : 冠形詞
영어 : unconjugation adjective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자체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체언 수식 부사 () [ 體言修飾副詞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의존 명사 () [ 依存名詞 ]

RT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정도성 [ 程度性 ]

RT (관련어)

 

x03-06-04 반응/대응 반응/대응

조응 [ 照應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관형사형 어미 () [ 冠形詞形語尾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체언 [ 體言 ]

한자 어근 ‘순(純)’의 단어화와 화용화 - 단음절 한자 어근의 어휘사 -

Adnomial monosyllabic sino-korean modifier sun(純)and its acquisition of grammatical status and pragmaticalization

한국어학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

학술논문에서의 한국어 문법용어 영어 대역어 사용 양상

언어학 | 20 | 1 | 2012 | 언어학

띄어쓰기의 실제

The Reality of Ttui-eosseugi

새국어교육 | 86 | 2010 | 국어교육

띄어쓰기의 실제

The Reality of Ttui-eosseugi

새국어교육 | | 86 | 2010 | 국어교육

시간부사 <갓>에 대하여

About the Time Adverb ‘Gas’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어 관형사의 문법사 연구 시론

Prolegomena to the research on genesis of determiner in Korean

국어사연구 | 10 | 2010 | 국어사

국어 관형사의 문법사 연구 시론

Prolegomena to the research on genesis of determiner in Korean

국어사연구 | | 10 | 2010 | 국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