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부사시사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2869

STNet ID : 1003034

한자 : 魚夫四時詞
기타 : Eobusasisa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고산유고 [ 孤山遺稿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단가 [ 短歌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연시조 [ 連時調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어부가 [ 漁父歌 ]

<도산십이곡>과 <어부사시사>, 그 표현의도와 수사학

The Creative Intension and the Rhetorical Views in Dosansipigok(도산십이곡) and Eobusasisa(어부사시사)

한국시가문화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산-바다’의 공간 기호와 욕망의 진퇴

The spatial symbol of 'Mountain-Sea' and the movement of desire for power-concentrated on Gosan's Sijo

국어국문학 | 1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산-바다’의 공간 기호와 욕망의 진퇴

The spatial symbol of 'Mountain-Sea' and the movement of desire for power-concentrated on Gosan's Sijo

국어국문학 | | 156 | 2010 | 한국어와문학

<도산십이곡>과 <어부사시사>, 그 표현의도와 수사학

The Creative Intension and the Rhetorical Views in Dosansipigok(도산십이곡) and Eobusasisa(어부사시사)

한국시가문화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어부사시사>의 해석에 대한 교육적 접근

An Educational Approach about the Interpretation of Eobu-sasisa

고전문학과 교육 | 20 | 2010 | 인문학

<어부사시사>의 해석에 대한 교육적 접근

An Educational Approach about the Interpretation of Eobu-sasisa

고전문학과 교육 | | 20 | 2010 | 인문학

漁父四時詞의 흥과 서정적 특질

Eobusasisa and the emotions of hopeful waiting

국어교육 | 134 | 2011 | 한국어와문학

유만주의 윤선도 시조 한역의 배경과 양상 -<어부사시사>와 <만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ackground and Patterns of Yu Man-Ju's Translation of Yun Seon-Do's Shijo Works into Chinese

한국시가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유만주의 윤선도 시조 한역의 배경과 양상 -<어부사시사>와 <만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ackground and Patterns of Yu Man-Ju's Translation of Yun Seon-Do's Shijo Works into Chinese

한국시가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漁父四時詞의 흥과 서정적 특질

Eobusasisa and the emotions of hopeful waiting

국어교육 | 134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