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시조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9760

STNet ID : 1001174

한자 : 連時調
영어 : yeonsijo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연형 시조 [ 聯形時調 ]

UF (비우선어)

 

 

연작 시조 () [ 連作時調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고전 시가 [ 古典詩歌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육가계 연시조 () [ 六歌系聯時調 ]

hasKind (종류)

 

y02-01 문헌명 문헌명

고산구곡가 [ 高山九曲歌 ]

R1:개념적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도산십이곡 () [ 陶山十二曲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농가구장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어부사시사 (1651) [ 魚夫四時詞 ]

잡지 『소년(少年)』에 수록된 고시조와 최남선의 창작 시조에 대한 연속적 고찰

A serial speculation of old Sijo poems in 『Sonyeon(少年)』 and Choi Nam Seon's creative Sijo poems

한국시가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전통성과 현대성의 경계 - 현대시조의 章과 句를 중심으로 -

Boundary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 Focusing on Verses and Phrases of Modern Sijo -

시조학논총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연시조의 현대적 계승과 종장 운용의 특성 - 이병기의 연시조를 중심으로 -

Modern Succession of Stanzaic Si-jo and Distinction of Concluding Line : the Case of Lee, Byoung-gi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연시조의 현대적 계승과 종장 운용의 특성 - 이병기의 연시조를 중심으로 -

Modern Succession of Stanzaic Si-jo and Distinction of Concluding Line : the Case of Lee, Byoung-gi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