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십이곡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365

STNet ID : 1000269

한자 : 陶山十二曲

y02-02 예술작품명

저작자

이황 (李滉)

시대1

조선 전기 (朝鮮前期)

장르/유형

시조 (時調)

저작년_t

1565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육가계 연시조 () [ 六歌系聯時調 ]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도문 일치 [ 道門一致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도산잡영 [ 陶山雜詠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고산구곡가 [ 高山九曲歌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연시조 [ 連時調 ]

RT (관련어)

모방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강호연군가 [ 江湖戀君歌 ]

조선시대 사족층의 시조와 일상성 담론

The Joseon Gentry's Discourses on Allteglichkeit and People's Daily Lives through their Sijo Works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사족층의 시조와 일상성 담론

The Joseon Gentry's Discourses on Allteglichkeit and People's Daily Lives through their Sijo Works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張經世의 <江湖戀君歌>와 法古 創新

Jang Gyung-se' and Bubko Changsin

온지논총 | 31 | 2012 | 기타인문학

메타교육의 관점에서 본 퇴계 이황의 시가 창작1 - <도산십이곡>을 중심으로

Meta-educational Poetic Creation of Toegye Yi-Hwang - focused on Dosansibigok

교육원리연구 | 17 | 1 | 2012 | 교육학

<江湖戀君歌>와 時調史 전개의 한 단서

Ganghoyeon'gun'ga and a Clue of Development in History of Sijo

시조학논총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江湖戀君歌>와 時調史 전개의 한 단서

Ganghoyeon'gun'ga and a Clue of Development in History of Sijo

시조학논총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도산십이곡>과 <어부사시사>, 그 표현의도와 수사학

The Creative Intension and the Rhetorical Views in Dosansipigok(도산십이곡) and Eobusasisa(어부사시사)

한국시가문화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배경지식을 활용한 고전시가 교육 연구 ― <도산십이곡>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Poetry through Practical Use of Background Knowledge ― Based on Dosansibigok ―

국어교육 | 138 | 2012 | 한국어와문학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의 의미 재고(再考)

Reviewing the implications of Dosansip-igok

한국시가문화연구 | 29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학치료적 관점으로 본 도산십이곡의 서정적 특질

A Survey on the Characteristics of Lyricism in

문학치료연구 | 23 | 2012 | 문학교육

<陶山十二曲> 가르치기의 구체성, 그 一例

An Example of Teaching by Lee Hwang

퇴계학논집 | 7 | 2010 | 철학

<陶山十二曲> 가르치기의 구체성, 그 一例

An Example of Teaching by Lee Hwang

퇴계학논집 | | 7 | 2010 | 철학

「陶山十二曲」에 나타난 시적 표현의 특징 - 은유와 운율을 중심으로 -

Poetic Features in 「Tosan 12 songs」 - focused on the metaphors and rhythms -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5 | 1 | 2011 | 국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