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황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A030204 인문학 > 철학 > 한국철학 > 한국유가철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22

한자 : 李滉
기타 : 퇴계 이황(退溪 李滉)
기타 : Toegye Yi Hwang
기타 : Yi Hwang
기타 : Toegye Lee Hwang
기타 : Lee Hwang
동의어(UF) : 이퇴계(李退溪)
시호(諡號) : 문순(文純)
호(號) : 퇴계(退溪)
호(號) : 퇴도(退陶)
호(號) : 도수(陶叟)
동의어(UF) : 도옹(陶翁)
동의어(UF) : 청량산인(淸凉山人)
기타 : 李退渓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Work (창작물)

 

y02-01 문헌명 문헌명

칠서언해 [ 七書諺解 ]

hasWork (창작물)

 

 

계몽전의 () [ 啓蒙傳疑 ]

S:동의

UF (비우선어)

 

경호 [ 景浩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퇴고 [ 退高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진성 이씨 () [ 眞城李氏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윤휴 [ 尹鑴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면 () [ 金沔 ]

affects (영향)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기발이승일도설 [ 氣發理乘一途說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성혼 (1535-1598) [ 成渾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성중 [ 李誠中 ]

affects (영향)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성호학파 () [ 星湖學派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심의겸 () [ 沈義謙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우옹 () [ 金宇顒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임운 [ 林芸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상정 () [ 李象靖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유운룡 () [ 柳雲龍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성일 () [ 金誠一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재 [ 李栽 ]

affects (영향)

 

y02-01 문헌명 문헌명

심경강록 [ 心經講錄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복일 () [ 金復一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성탁 () [ 金聖鐸 ]

affects (영향)

 

y02-01 문헌명 문헌명

심경관계 [ 心經窾啓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선조 (1567-1608) [ 宣祖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나흠순 () [ 羅欽順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2-01 문헌명 문헌명

주자대전 [ 朱子大全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권상일 () [ 權相一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도산급문제현록 () [ 陶山及門諸賢錄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도산서원 () [ 陶山書院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가원 [ 李家源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정 [ 李禎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천명도설 [ 天命圖說 ]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남인 () [ 南人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원록 [ 李元祿 ]

RT (관련어)

관련 인물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환산별곡 [ 還山別曲 ]

RT (관련어)

문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집 () [ 金潗 ]

RT_Y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호계서원 () [ 虎溪書院 ]

R2:기능적

isAdvocatedBy (주창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민본 정치 [ 民本政治 ]

주자의 ‘횡설’과 ‘수설’: 프레임으로 보는 주자의 성향과 감정 이론

Semiological Analysis of Zhu Xi's Moral Psychology

동양철학 | 37 | 2012 | 철학

退溪의 「陶山雜詠」의 理學的 含意와 그 전승

The implication of Toegye(退溪)'s Dosanjobyoung(陶山雜詠) in the perspective of the studyof Li(理學) and its succession

한국한문학연구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退溪의 「陶山雜詠」의 理學的 含意와 그 전승

The implication of Toegye(退溪)'s Dosanjobyoung(陶山雜詠) in the perspective of the studyof Li(理學) and its succession

한국한문학연구 |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退溪의 「陶山雜詠」의 理學的 含意와 그 전승

The implication of Toegye(退溪)'s Dosanjobyoung(陶山雜詠) in the perspective of the studyof Li(理學) and its succession

한국한문학연구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退溪의 「陶山雜詠」의 理學的 含意와 그 전승

The implication of Toegye(退溪)'s Dosanjobyoung(陶山雜詠) in the perspective of the studyof Li(理學) and its succession

한국한문학연구 |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論語≫ ‘辭達而已矣’ 句 考察

중국인문과학 | 47 | 2011 | 중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사족층의 시조와 일상성 담론

The Joseon Gentry's Discourses on Allteglichkeit and People's Daily Lives through their Sijo Works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사족층의 시조와 일상성 담론

The Joseon Gentry's Discourses on Allteglichkeit and People's Daily Lives through their Sijo Works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전기 사림파 성리학의 전개와 특징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Sarim Party's Neo-Confucianism in the Early Chŏsun Dynasty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張經世의 <江湖戀君歌>와 法古 創新

Jang Gyung-se' and Bubko Changsin

온지논총 | 31 | 2012 | 기타인문학

人類氣候帶適應論과 李滉理發氣隨氣發理乘學說의 觀點에서 본 黃帝內經五態人의 陰陽和平之人

The Meaning of Yin Yang(陰陽) Balanced Type in Huang Di Nei Jing(黃帝內經)

영남학 | 51 | 2012 | 유교학

조선전기 사림파 성리학의 전개와 특징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Sarim Party's Neo-Confucianism in the Early Chŏsun Dynasty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張經世의 <江湖戀君歌>와 法古 創新

Jang Gyung-se' and Bubko Changsin

온지논총 | 31 | 2012 | 기타인문학

響山 李晩燾의 생애와 순국

Hyangsan Lee, Man-do’s Life and His Dying for the Fatherland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7 | 2010 | 역사학

響山 李晩燾의 생애와 순국

Hyangsan Lee, Man-do’s Life and His Dying for the Fatherland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 37 | 2010 | 역사학

의상의『 법계도』와 퇴계의 『성학십도』에 나타난 사고 유사성 ―도설(圖說)과 사상전개방식을 중심으로

The similarity of the way of thinking between Uisang’s『 theb eopgye-do 』 and Toegye’s『 theS eonghaksip-Do )』 ─Focusing on the explanatory diagram and the way of development and composition of ideology

불교학연구 | 30 | 2011 | 불교학

언행록을 통해 본 선비의 행동양식과 그 정치사회적 의미 -退溪 李滉과 旅軒 張顯光을 중심으로-

Behavior Patterns and Its Political-social Significance of Sun-Bi Considered from Chronicle of Sayings and Doings

대구사학 | 103 | 2011 | 역사학

퇴계 四七說의 일상 언어적 이해와 INUS 조건

退溪四七说之日常语言的理解和INUS条件

철학연구 | 45 | 2012 | 철학

儒敎思想의 관점에서 보는 世界平和

World Peace in the Confucian View

한국사상과 문화 | 57 | 2011 | 한국어와문학

의상의『 법계도』와 퇴계의 『성학십도』에 나타난 사고 유사성 ―도설(圖說)과 사상전개방식을 중심으로

The similarity of the way of thinking between Uisang’s『 theb eopgye-do 』 and Toegye’s『 theS eonghaksip-Do )』 ─Focusing on the explanatory diagram and the way of development and composition of ideology

불교학연구 | 30 | 2011 | 불교학

舫山 許薰의 삶과 學問性向

A Study on the bangsan Huh Hoon’s life and academic inclination

南冥學硏究 | 31 | 2011 | 철학

의상의『 법계도』와 퇴계의 『성학십도』에 나타난 사고 유사성 ―도설(圖說)과 사상전개방식을 중심으로

The similarity of the way of thinking between Uisang’s『 theb eopgye-do 』 and Toegye’s『 theS eonghaksip-Do )』 ─Focusing on the explanatory diagram and the way of development and composition of ideology

불교학연구 | 30 | 2011 | 불교학

언행록을 통해 본 선비의 행동양식과 그 정치사회적 의미 -退溪 李滉과 旅軒 張顯光을 중심으로-

Behavior Patterns and Its Political-social Significance of Sun-Bi Considered from Chronicle of Sayings and Doings

대구사학 | 103 | 2011 | 역사학

퇴계철학에 있어서 理의 능동성 이론과 그 연원

The Theory about Activity of RI(理) in Toegye(退溪) Philosophy

영남학 | 51 | 2012 | 유교학

萬物一體論과 人物性同異論을 통해 본 明 儒學과 朝鮮 儒學의 비교

A Comparative Philosophic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ing and Chosun Confucianism : Focusing on Theory of ‘All creation is one body’ and The Theory of ‘Human Nature and Thing's Nature

유교사상문화연구 | 39 | 2010 | 유교학

萬物一體論과 人物性同異論을 통해 본 明 儒學과 朝鮮 儒學의 비교

A Comparative Philosophic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ing and Chosun Confucianism : Focusing on Theory of ‘All creation is one body’ and The Theory of ‘Human Nature and Thing's Nature

유교사상문화연구 | | 39 | 2010 | 유교학

寒岡 鄭逑의 學問 淵源

Academic Origin of Hangang Jeong Gu

한국학논집 | 48 | 2012 | 기타인문학

寒岡 鄭逑의 學問 淵源

Academic Origin of Hangang Jeong Gu

한국학논집 | 48 | 2012 | 기타인문학

鄭逑(1543-1620)의 학자․관료적 삶과 安東”使 재임

The Chung ku’s scholarly and government official life during his term as Andong busa

영남학 | 17 | 2010 | 기타인문학

鄭逑(1543-1620)의 학자․관료적 삶과 安東”使 재임

The Chung ku’s scholarly and government official life during his term as Andong busa

영남학 | | 17 | 2010 | 기타인문학

퇴계철학에 있어서 理의 능동성 이론과 그 연원

The Theory about Activity of RI(理) in Toegye(退溪) Philosophy

영남학 | 51 | 2012 | 유교학

舫山 許薰의 삶과 學問性向

A Study on the bangsan Huh Hoon’s life and academic inclination

南冥學硏究 | 31 | 2011 | 철학

이이(李珥): 켄타우로스를 상상한 유학자

李珥: 想像半人馬的儒學者

철학연구 | 118 | 2011 | 철학

퇴계 호발설의 ‘七情氣發’에 대한 고봉의 비판과 수용

Kobong Ki Dae-sung’s Critics on Toegye's Theory of Moral Emotions and Feelings

동양철학 | 33 | 2010 | 철학

퇴계 호발설의 ‘七情氣發’에 대한 고봉의 비판과 수용

Kobong Ki Dae-sung’s Critics on Toegye's Theory of Moral Emotions and Feelings

동양철학 | | 33 | 2010 | 철학

鄭逑(1543-1620)의 학자․관료적 삶과 安東”使 재임

The Chung ku’s scholarly and government official life during his term as Andong busa

영남학 | 17 | 2010 | 기타인문학

鄭逑(1543-1620)의 학자․관료적 삶과 安東”使 재임

The Chung ku’s scholarly and government official life during his term as Andong busa

영남학 | | 17 | 2010 | 기타인문학

이이의 經世論의 성립과 그 정치적 배경

Yulgok(栗谷) Yi I(李珥)’s Statecraft Theory and its Political Setting

史叢(사총) | 75 | 2012 | 기타역사일반

이이의 經世論의 성립과 그 정치적 배경

Yulgok(栗谷) Yi I(李珥)’s Statecraft Theory and its Political Setting

史叢(사총) | 75 | 2012 | 기타역사일반

조선조에서의 향약(鄕約)과 향속(鄕俗)의 연구 -관습법의 존재 양식을 찾아서-

일감법학 | 18 | 2010 | 기타법학

조선조에서의 향약(鄕約)과 향속(鄕俗)의 연구 -관습법의 존재 양식을 찾아서-

일감법학 | | 18 | 2010 | 기타법학

타카하시 토오루의 조선유학사 서술의 문제점

A Study on the Pproblems of Takahachi Doloo(高橋亨)’s Depiction on a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대동철학 | 55 | 2011 | 철학

조선조에서의 향약(鄕約)과 향속(鄕俗)의 연구 -관습법의 존재 양식을 찾아서-

일감법학 | 18 | 2010 | 기타법학

조선조에서의 향약(鄕約)과 향속(鄕俗)의 연구 -관습법의 존재 양식을 찾아서-

일감법학 | | 18 | 2010 | 기타법학

傳統 家屋 空間의 美學的 理解 : 유학적 사유틀이 반영된 전통 가옥 공간을 중심으로

A aesthetical contemplation of Korean old architecture's living space

동양예술 | 17 | 2011 | 기타미술

주리(主理)·주기(主氣)의 함의 고찰 ― ‘타카하시 토오루의 주리·주기’에 관한 비판과 대안의 검토: 이향준 교수의 「타카하시의 고약한 은유」에 대한 논평을 겸함

主理主氣的含意考察

대동철학 | 55 | 2011 | 철학

타카하시 토오루의 조선유학사 서술의 문제점

A Study on the Pproblems of Takahachi Doloo(高橋亨)’s Depiction on a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대동철학 | 55 | 2011 | 철학

조선유학의 理 개념에 나타난 종교적 성격 연구 -退溪의 理發에서 茶山의 上帝까지-

A Study on the Religious Character of the Concept Li in Korean Confucianism: -from Toegye’s “li issues” to Dasan’s “Lord on High”-

철학연구 | 39 | 2010 | 철학

조선유학의 理 개념에 나타난 종교적 성격 연구 -退溪의 理發에서 茶山의 上帝까지-

A Study on the Religious Character of the Concept Li in Korean Confucianism: -from Toegye’s “li issues” to Dasan’s “Lord on High”-

철학연구 | | 39 | 2010 | 철학

天 개념의 이해와 事ㆍ物의 합리적 해석 -윤휴와 정약용의 天觀과 格物說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of Heaven and Rational Explicationon Events or Things - Focusing on the Theories of Yun Hyu and Jeong Yak-yong -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天 개념의 이해와 事ㆍ物의 합리적 해석 -윤휴와 정약용의 天觀과 格物說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of Heaven and Rational Explicationon Events or Things - Focusing on the Theories of Yun Hyu and Jeong Yak-yong -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퇴계 心性論의 토대인 心의 虛와 靈

Toegye`s Mind-and-Herat theory foundation of heart`s Etpy·Spirit

퇴계학논집 | 8 | 2011 | 철학

주리(主理)·주기(主氣)의 함의 고찰 ― ‘타카하시 토오루의 주리·주기’에 관한 비판과 대안의 검토: 이향준 교수의 「타카하시의 고약한 은유」에 대한 논평을 겸함

主理主氣的含意考察

대동철학 | 55 | 2011 | 철학

타카하시 토오루의 조선유학사 서술의 문제점

A Study on the Pproblems of Takahachi Doloo(高橋亨)’s Depiction on a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대동철학 | 55 | 2011 | 철학

CONFUCIANISM, KOREAN CONFUCIANISM AND ECOLOGICAL DISCOURSE

Acta Koreana | 14 | 2 | 2011 | 기타인문학

退溪 「林居十五詠」의 詩世界와 意境

The World and ‘Eukyeong(意境)’ of Toegye’s poem ‘Imgeosipohyoung(林居十五詠)’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退溪 「林居十五詠」의 詩世界와 意境

The World and ‘Eukyeong(意境)’ of Toegye’s poem ‘Imgeosipohyoung(林居十五詠)’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退溪의 「和陶集飮酒二十首」에 나타난陶淵明 수용 양상

Toegye's following the rhymes of Dojam's “Drinking Wine” poems - Compared with Sodongpa and Maewoldang

동방한문학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退溪의 「和陶集飮酒二十首」에 나타난陶淵明 수용 양상

Toegye's following the rhymes of Dojam's “Drinking Wine” poems - Compared with Sodongpa and Maewoldang

동방한문학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退溪의 「和陶集飮酒二十首」에 나타난陶淵明 수용 양상

Toegye's following the rhymes of Dojam's “Drinking Wine” poems - Compared with Sodongpa and Maewoldang

동방한문학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退溪의 「和陶集飮酒二十首」에 나타난陶淵明 수용 양상

Toegye's following the rhymes of Dojam's “Drinking Wine” poems - Compared with Sodongpa and Maewoldang

동방한문학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眉叟 許穆의 性理學的 修養論 이해

An understanding on the Neo-Confucian self cultivation theory of Misu Heo Mok

퇴계학보 | 131 | 2012 | 유교학

A Philosophical Analysis of the Concept “Bal/Fa 發” in the Four-Seven Debate between Toegye and Gobong

Korea Journal | 52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端磎 金麟燮의 生涯와 學問

The Study of Dangae Kim Iinsub' Life and Scholarly Attainments

南冥學硏究 | 31 | 2011 | 철학

善의 普遍性과 실현근거 관한 愚潭과 鹿門의 이해 - 理通氣局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Woo-dam(愚潭) and Nok-mun(鹿門)'s understanding about the ground of universality in the pure goodness and its bases on the realization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Yul-gok(栗谷)'s all penetrating Li and defining Ch’i

한국철학논집 | 28 | 2010 | 한국철학일반

善의 普遍性과 실현근거 관한 愚潭과 鹿門의 이해 - 理通氣局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Woo-dam(愚潭) and Nok-mun(鹿門)'s understanding about the ground of universality in the pure goodness and its bases on the realization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Yul-gok(栗谷)'s all penetrating Li and defining Ch’i

한국철학논집 | | 28 | 2010 | 한국철학일반

HUMAN FULFILLMENT AND LOVE OF THE UNIVERSE: A MEDITATION ON EMOTION IN KOREAN AND CHINESE SOURCES

Acta Koreana | 14 | 2 | 2011 | 기타인문학

近世东亚士人的精神桃源 —由退溪及朝鲜文人诗画看武夷文化意象的传布

근세 동아시아 선비의 정신적 도원(桃園) ―퇴계(退溪)를 비롯한 조선 문인들의 시와 그림으로 본 무이문화(武夷文化)의 전파

한국민족문화 | 38 | 2010 | 기타인문학

近世东亚士人的精神桃源 —由退溪及朝鲜文人诗画看武夷文化意象的传布

근세 동아시아 선비의 정신적 도원(桃園) ―퇴계(退溪)를 비롯한 조선 문인들의 시와 그림으로 본 무이문화(武夷文化)의 전파

한국민족문화 | | 38 | 2010 | 기타인문학

眉叟 許穆의 性理學的 修養論 이해

An understanding on the Neo-Confucian self cultivation theory of Misu Heo Mok

퇴계학보 | 131 | 2012 | 유교학

생태적 미래와 자발적 가난 - 格物致知를 통한 인식과 수양을 중심으로 -

An Ecological Future and a Voluntary Poverty: the cognition and cultivation through investigating things and extending knowledge

동양철학 | 36 | 2011 | 철학

近世东亚士人的精神桃源 —由退溪及朝鲜文人诗画看武夷文化意象的传布

근세 동아시아 선비의 정신적 도원(桃園) ―퇴계(退溪)를 비롯한 조선 문인들의 시와 그림으로 본 무이문화(武夷文化)의 전파

한국민족문화 | 38 | 2010 | 기타인문학

近世东亚士人的精神桃源 —由退溪及朝鲜文人诗画看武夷文化意象的传布

근세 동아시아 선비의 정신적 도원(桃園) ―퇴계(退溪)를 비롯한 조선 문인들의 시와 그림으로 본 무이문화(武夷文化)의 전파

한국민족문화 | | 38 | 2010 | 기타인문학

近世东亚士人的精神桃源 —由退溪及朝鲜文人诗画看武夷文化意象的传布

근세 동아시아 선비의 정신적 도원(桃園) ―퇴계(退溪)를 비롯한 조선 문인들의 시와 그림으로 본 무이문화(武夷文化)의 전파

한국민족문화 | 38 | 2010 | 기타인문학

近世东亚士人的精神桃源 —由退溪及朝鲜文人诗画看武夷文化意象的传布

근세 동아시아 선비의 정신적 도원(桃園) ―퇴계(退溪)를 비롯한 조선 문인들의 시와 그림으로 본 무이문화(武夷文化)의 전파

한국민족문화 | | 38 | 2010 | 기타인문학

퇴계학파의 『역학계몽』 이해

Toegye School’s Interpretation of Yi Xue Qi Meng

양명학 | 28 | 2011 | 철학

『眉巖日記』에 나타난 退溪 관련 기사에 대한 고찰

Study of articles related to Toegye(退溪) shown in Miam Ilgi(眉巖日記)

퇴계학논집 | 7 | 2010 | 철학

『眉巖日記』에 나타난 退溪 관련 기사에 대한 고찰

Study of articles related to Toegye(退溪) shown in Miam Ilgi(眉巖日記)

퇴계학논집 | | 7 | 2010 | 철학

퇴계의 <武夷櫂歌> 수용과 李野淳의 <陶山九曲> 고찰

The study of Yi Hwang's acceptance of Muidoga(武夷櫂歌) and Yi Ya-sun's acceptance of Dosangugok(陶山九曲)

동아인문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퇴계의 <武夷櫂歌> 수용과 李野淳의 <陶山九曲> 고찰

The study of Yi Hwang's acceptance of Muidoga(武夷櫂歌) and Yi Ya-sun's acceptance of Dosangugok(陶山九曲)

동아인문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한강 정구의 성리학 체계와 연원에 관한 소고 –천리와 인욕의 대립 구조와 “靜中有物”의 의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eo-Confucian Metaphysical System of HanGang Jeong Gu

한국학논집 | 48 | 2012 | 기타인문학

進溪朴在馨の<海東續小學>と退溪の敎育思想

Haedongsoksohak(해동속소학) written by Park Jae Hyung and the Educational Thoughts of Toegye(퇴계)

퇴계학논총 | 18 | 2011 | 기타인문학

퇴계의 여가활동과 도덕교육

The Leisure Activity and Ethics Education of Toegye

사회사상과 문화 | 22 | 2010 | 사회학

퇴계의 여가활동과 도덕교육

The Leisure Activity and Ethics Education of Toegye

사회사상과 문화 | | 22 | 2010 | 사회학

영남선비들의 구곡경영과 최남복의 백련서사

Yongnam Sunbi's Gugok Management & Chae Nam-bok's Backryen-seosa

영남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영남선비들의 구곡경영과 최남복의 백련서사

Yongnam Sunbi's Gugok Management & Chae Nam-bok's Backryen-seosa

영남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進溪朴在馨の<海東續小學>と退溪の敎育思想

Haedongsoksohak(해동속소학) written by Park Jae Hyung and the Educational Thoughts of Toegye(퇴계)

퇴계학논총 | 18 | 2011 | 기타인문학

進溪朴在馨の<海東續小學>と退溪の敎育思想

Haedongsoksohak(해동속소학) written by Park Jae Hyung and the Educational Thoughts of Toegye(퇴계)

퇴계학논총 | 18 | 2011 | 기타인문학

『眉巖日記』에 나타난 退溪 관련 기사에 대한 고찰

Study of articles related to Toegye(退溪) shown in Miam Ilgi(眉巖日記)

퇴계학논집 | 7 | 2010 | 철학

『眉巖日記』에 나타난 退溪 관련 기사에 대한 고찰

Study of articles related to Toegye(退溪) shown in Miam Ilgi(眉巖日記)

퇴계학논집 | | 7 | 2010 | 철학

조선조 주리론자(主理論者)들의 정치적 고뇌: 왕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

Political Agony of the Theorists of Reason (li) during the Chosun Dynasty in the Sixteenth-century: How and What should be Taught to the Monarchs?

정치사상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조선조 주리론자(主理論者)들의 정치적 고뇌: 왕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

Political Agony of the Theorists of Reason (li) during the Chosun Dynasty in the Sixteenth-century: How and What should be Taught to the Monarchs?

정치사상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眉巖日記』에 나타난 退溪 관련 기사에 대한 고찰

Study of articles related to Toegye(退溪) shown in Miam Ilgi(眉巖日記)

퇴계학논집 | 7 | 2010 | 철학

『眉巖日記』에 나타난 退溪 관련 기사에 대한 고찰

Study of articles related to Toegye(退溪) shown in Miam Ilgi(眉巖日記)

퇴계학논집 | | 7 | 2010 | 철학

이퇴계와 유교적 민본주의

Lee Toe-gye and Confucian Min-bon Thought(民本主義)

퇴계학논집 | 8 | 2011 | 철학

조선조 주리론자(主理論者)들의 정치적 고뇌: 왕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

Political Agony of the Theorists of Reason (li) during the Chosun Dynasty in the Sixteenth-century: How and What should be Taught to the Monarchs?

정치사상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조선조 주리론자(主理論者)들의 정치적 고뇌: 왕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

Political Agony of the Theorists of Reason (li) during the Chosun Dynasty in the Sixteenth-century: How and What should be Taught to the Monarchs?

정치사상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퇴계 리발(理發)설의 수반론적 해명 ― 고봉과의 사단칠정 논변을 중심으로 ―

Toegye's Conception of li-fa(理發) Explained fromthe Theory of Supervenience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퇴계 리발(理發)설의 수반론적 해명 ― 고봉과의 사단칠정 논변을 중심으로 ―

Toegye's Conception of li-fa(理發) Explained fromthe Theory of Supervenience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퇴계학파의 『역학계몽』 이해

Toegye School’s Interpretation of Yi Xue Qi Meng

양명학 | 28 | 2011 | 철학

퇴계의 <武夷櫂歌> 수용과 李野淳의 <陶山九曲> 고찰

The study of Yi Hwang's acceptance of Muidoga(武夷櫂歌) and Yi Ya-sun's acceptance of Dosangugok(陶山九曲)

동아인문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조 주리론자(主理論者)들의 정치적 고뇌: 왕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

Political Agony of the Theorists of Reason (li) during the Chosun Dynasty in the Sixteenth-century: How and What should be Taught to the Monarchs?

정치사상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조선조 주리론자(主理論者)들의 정치적 고뇌: 왕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

Political Agony of the Theorists of Reason (li) during the Chosun Dynasty in the Sixteenth-century: How and What should be Taught to the Monarchs?

정치사상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퇴계의 여가활동과 도덕교육

The Leisure Activity and Ethics Education of Toegye

사회사상과 문화 | 22 | 2010 | 사회학

퇴계의 여가활동과 도덕교육

The Leisure Activity and Ethics Education of Toegye

사회사상과 문화 | | 22 | 2010 | 사회학

傳統 家屋 空間의 美學的 理解 : 유학적 사유틀이 반영된 전통 가옥 공간을 중심으로

A aesthetical contemplation of Korean old architecture's living space

동양예술 | 17 | 2011 | 기타미술

슐라이어마허의‘경건’과 퇴계의 ‘지경’(持敬)에 관한 연구-아는 것과 행하는 것을 넘어서

A Comparative Study of the Piety of F. Schleiermacher and “Keeping of Piety”(持敬) of Toegye(退溪) - Beyond Knowing and Doing

한국조직신학논총 | 33 | 2012 | 조직신학

슐라이어마허의‘경건’과 퇴계의 ‘지경’(持敬)에 관한 연구-아는 것과 행하는 것을 넘어서

A Comparative Study of the Piety of F. Schleiermacher and “Keeping of Piety”(持敬) of Toegye(退溪) - Beyond Knowing and Doing

한국조직신학논총 | 33 | 2012 | 조직신학

한강 정구의 성리학 체계와 연원에 관한 소고 –천리와 인욕의 대립 구조와 “靜中有物”의 의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eo-Confucian Metaphysical System of HanGang Jeong Gu

한국학논집 | 48 | 2012 | 기타인문학

慾望의 本質에 관하여 - 退溪 慾望論의 精神分析學的 理解 -

關於欲望的主体

유교사상문화연구 | 44 | 2011 | 유교학

善의 普遍性과 실현근거 관한 愚潭과 鹿門의 이해 - 理通氣局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Woo-dam(愚潭) and Nok-mun(鹿門)'s understanding about the ground of universality in the pure goodness and its bases on the realization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Yul-gok(栗谷)'s all penetrating Li and defining Ch’i

한국철학논집 | 28 | 2010 | 한국철학일반

善의 普遍性과 실현근거 관한 愚潭과 鹿門의 이해 - 理通氣局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Woo-dam(愚潭) and Nok-mun(鹿門)'s understanding about the ground of universality in the pure goodness and its bases on the realization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Yul-gok(栗谷)'s all penetrating Li and defining Ch’i

한국철학논집 | | 28 | 2010 | 한국철학일반

退溪 哲學에서 理發의 本體論的 含意

The Ontological Meaning of Li Issues in the Toigye's Philosophy

孔子學 | 20 | 2011 | 기타유교학

이황과 기대승의 사칠논변에 대한 분석적 검토 - ‘소취이언(所就以言)’과 ‘소종래(所從來)’의 함의를 중심으로 -

유교사상문화연구 | 44 | 2011 | 유교학

이황과 기대승의 사칠논변에 대한 분석적 검토 - ‘소취이언(所就以言)’과 ‘소종래(所從來)’의 함의를 중심으로 -

유교사상문화연구 | 44 | 2011 | 유교학

남명 조식 철학 사상 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

Retrospect and Prospect to the Results of Studies on Cho Sik’s Philosophy and Thought

南冥學硏究 | 35 | 2012 | 철학

논쟁 전․후기 退溪 四七論의 변이 양상과 退溪學派 四七論의 전개

A aspect of change of Toegye’s thought of Four Clues and Seven Emotion of the former part and the latter part of Debate and development in it of Toegye School

퇴계학논집 | 8 | 2011 | 철학

욕망하는 본성과 도덕적 본성의 융합-茶山 丁若鏞의 嗜好說을 중심으로-

A Fusion of the Desiring Nature and the Moral Nature -Focusing on Dasan Jeong Yak-yong’s Theory of Nature-Taste-

철학연구 | 41 | 2010 | 철학

욕망하는 본성과 도덕적 본성의 융합-茶山 丁若鏞의 嗜好說을 중심으로-

A Fusion of the Desiring Nature and the Moral Nature -Focusing on Dasan Jeong Yak-yong’s Theory of Nature-Taste-

철학연구 | | 41 | 2010 | 철학

退溪 經學을 통해 본 조선주자학의 독자성 문제 -율곡학통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Identity Issue of JuJaHak in the Jose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ToeGye KyungHak

퇴계학논집 | 8 | 2011 | 철학

퇴계 <논어석의論語釋義>의 편찬 의도와 성격

Intention and character of compilation of Noneoseogui(論語釋義) written by Toegye(退溪)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眉巖日記』에 나타난 退溪 관련 기사에 대한 고찰

Study of articles related to Toegye(退溪) shown in Miam Ilgi(眉巖日記)

퇴계학논집 | 7 | 2010 | 철학

『眉巖日記』에 나타난 退溪 관련 기사에 대한 고찰

Study of articles related to Toegye(退溪) shown in Miam Ilgi(眉巖日記)

퇴계학논집 | | 7 | 2010 | 철학

성리학의 기호 배치방식과 조선유학의 분기

Semiotic Frames and Divergence of Joseon Neo-Confucianism

동양철학연구 | 70 | 2012 | 철학

주자의 ‘횡설’과 ‘수설’: 프레임으로 보는 주자의 성향과 감정 이론

Semiological Analysis of Zhu Xi's Moral Psychology

동양철학 | 37 | 2012 | 철학

퇴계 이황 설화 출생담의 특징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Birth-folk Tale of Yi Hwang, Toegye

고전문학과 교육 | 24 | 2012 | 인문학

남명 「학기도」 자도설 비정-南冥 「學記圖」 自圖說 批正-

Refutation of the View that Diagrams of Study Notes(Hak-gyi-do) are Nam Myung’s Self-Drawing

철학연구 | 46 | 2012 | 철학

남명 조식 철학 사상 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

Retrospect and Prospect to the Results of Studies on Cho Sik’s Philosophy and Thought

南冥學硏究 | 35 | 2012 | 철학

退溪先生 『聖學十圖』의 成德之敎

The Teachings of Virtue: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of Toegye

퇴계학논집 | 9 | 2011 | 철학

논쟁 전․후기 退溪 四七論의 변이 양상과 退溪學派 四七論의 전개

A aspect of change of Toegye’s thought of Four Clues and Seven Emotion of the former part and the latter part of Debate and development in it of Toegye School

퇴계학논집 | 8 | 2011 | 철학

정다산의 퇴계관 - [여유당전서] 시문집에 한하여 -

Tasan’s View on Teogye’s Theory

다산학 | 19 | 2011 | 인문학

『眉巖日記』에 나타난 退溪 관련 기사에 대한 고찰

Study of articles related to Toegye(退溪) shown in Miam Ilgi(眉巖日記)

퇴계학논집 | 7 | 2010 | 철학

『眉巖日記』에 나타난 退溪 관련 기사에 대한 고찰

Study of articles related to Toegye(退溪) shown in Miam Ilgi(眉巖日記)

퇴계학논집 | | 7 | 2010 | 철학

高峯의 性理學과 修養論

Kobong(高峯)'s Philophy and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修養)

한국철학논집 | 31 | 2011 | 한국철학일반

성리학의 기호 배치방식과 조선유학의 분기

Semiotic Frames and Divergence of Joseon Neo-Confucianism

동양철학연구 | 70 | 2012 | 철학

退溪先生 『聖學十圖』의 成德之敎

The Teachings of Virtue: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of Toegye

퇴계학논집 | 9 | 2011 | 철학

남명 「학기도」 자도설 비정-南冥 「學記圖」 自圖說 批正-

Refutation of the View that Diagrams of Study Notes(Hak-gyi-do) are Nam Myung’s Self-Drawing

철학연구 | 46 | 2012 | 철학

『眉巖日記』에 나타난 退溪 관련 기사에 대한 고찰

Study of articles related to Toegye(退溪) shown in Miam Ilgi(眉巖日記)

퇴계학논집 | 7 | 2010 | 철학

『眉巖日記』에 나타난 退溪 관련 기사에 대한 고찰

Study of articles related to Toegye(退溪) shown in Miam Ilgi(眉巖日記)

퇴계학논집 | | 7 | 2010 | 철학

退溪의 漢詩나타난 대나무의 美의식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to shown on a bamboo's poetry of Toegae(退溪)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退溪의 漢詩나타난 대나무의 美의식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to shown on a bamboo's poetry of Toegae(退溪)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퇴계 <논어석의論語釋義>의 편찬 의도와 성격

Intention and character of compilation of Noneoseogui(論語釋義) written by Toegye(退溪)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高峯의 性理學과 修養論

Kobong(高峯)'s Philophy and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修養)

한국철학논집 | 31 | 2011 | 한국철학일반

우계의 ‘횡설’과 율곡의 ‘수설’: 율곡의 퇴계 비판을 겸해서 논함

Different Semiotic Frames of Toegye and Yulgok

유교사상문화연구 | 48 | 2012 | 유교학

퇴계의 ‘횡설’과 고봉의 ‘수설' - 프레임의 차이로 보는 조선유학의 분기(分岐)

Semiotic Frames and Divergence of Toegye and Kobong

퇴계학보 | 131 | 2012 | 유교학

퇴계의 심성론을 통한 한국적 여성주체 형성 이론의 가능성

Theoretical Possibility of the Formation of Korean Feminist Subjects through Toegey's mind theory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20 | 2012 | 유교학

退溪 經學을 통해 본 조선주자학의 독자성 문제 -율곡학통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Identity Issue of JuJaHak in the Jose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ToeGye KyungHak

퇴계학논집 | 8 | 2011 | 철학

A Study on T'oegye(退溪) Yi Hwang(李滉) : Ultimate Concern and Ultimate Reality of Chosun Confucianism

退溪李滉硏究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 13 | 2010 | 유교학

A Study on T'oegye(退溪) Yi Hwang(李滉) : Ultimate Concern and Ultimate Reality of Chosun Confucianism

退溪李滉硏究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 | 13 | 2010 | 유교학

퇴계 이황 설화 출생담의 특징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Birth-folk Tale of Yi Hwang, Toegye

고전문학과 교육 | 24 | 2012 | 인문학

퇴계의 ‘횡설’과 고봉의 ‘수설' - 프레임의 차이로 보는 조선유학의 분기(分岐)

Semiotic Frames and Divergence of Toegye and Kobong

퇴계학보 | 131 | 2012 | 유교학

우계의 ‘횡설’과 율곡의 ‘수설’: 율곡의 퇴계 비판을 겸해서 논함

Different Semiotic Frames of Toegye and Yulgok

유교사상문화연구 | 48 | 2012 | 유교학

퇴계 사단칠정론 시각에서 본 승무 염불과장(첫째 마루)의 동작 분석적 해석

Toegye's Four-Seven Discourse and Movement Analysis of Buddhist Monk's Dance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 67 | 67 | 2011 | 무용

서애 유성룡의 양명학에 대한 관심과 퇴계심학의 전개

Interest in the Yangmingxue in Seoae Ryu SeongRyong and Development of ‘ToegyeSimhak’

양명학 | 31 | 2012 | 철학

<江湖戀君歌>와 時調史 전개의 한 단서

Ganghoyeon'gun'ga and a Clue of Development in History of Sijo

시조학논총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江湖戀君歌>와 時調史 전개의 한 단서

Ganghoyeon'gun'ga and a Clue of Development in History of Sijo

시조학논총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江湖戀君歌>와 時調史 전개의 한 단서

Ganghoyeon'gun'ga and a Clue of Development in History of Sijo

시조학논총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江湖戀君歌>와 時調史 전개의 한 단서

Ganghoyeon'gun'ga and a Clue of Development in History of Sijo

시조학논총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THE CONTEMPORARY CONFUCIAN HERITAGE AND THE ENVIRONMENT OF WORLDLY CONFUCIANS AND TOHAK CONFUCIANS

Acta Koreana | 14 | 2 | 2011 | 기타인문학

슐라이어마허의‘경건’과 퇴계의 ‘지경’(持敬)에 관한 연구-아는 것과 행하는 것을 넘어서

A Comparative Study of the Piety of F. Schleiermacher and “Keeping of Piety”(持敬) of Toegye(退溪) - Beyond Knowing and Doing

한국조직신학논총 | 33 | 2012 | 조직신학

響山 李晩燾의 現實認識과 문학적 對應樣相

Sense of reality and literary response of Hyangsan(響山) Lee Mando(李晩燾)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響山 李晩燾의 現實認識과 문학적 對應樣相

Sense of reality and literary response of Hyangsan(響山) Lee Mando(李晩燾)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退溪 李滉의 理發重視的 書藝認識

Important of Principle's act in T'oe-gye Yi Hwang's the conception of calligraphy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響山 李晩燾의 現實認識과 문학적 對應樣相

Sense of reality and literary response of Hyangsan(響山) Lee Mando(李晩燾)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響山 李晩燾의 現實認識과 문학적 對應樣相

Sense of reality and literary response of Hyangsan(響山) Lee Mando(李晩燾)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愚潭 丁時翰은 退溪를 어떻게 이해하였는가? - {四七辨證}을 중심으로

Woodam Jeong Si-han's Understanding of Toegye

한국철학논집 | 29 | 2010 | 한국철학일반

愚潭 丁時翰은 退溪를 어떻게 이해하였는가? - {四七辨證}을 중심으로

Woodam Jeong Si-han's Understanding of Toegye

한국철학논집 | | 29 | 2010 | 한국철학일반

高峯의 性理學과 修養論

Kobong(高峯)'s Philophy and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修養)

한국철학논집 | 31 | 2011 | 한국철학일반

퇴계 <논어석의論語釋義>의 편찬 의도와 성격

Intention and character of compilation of Noneoseogui(論語釋義) written by Toegye(退溪)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퇴계 리발(理發)설의 수반론적 해명 ― 고봉과의 사단칠정 논변을 중심으로 ―

Toegye's Conception of li-fa(理發) Explained fromthe Theory of Supervenience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퇴계 리발(理發)설의 수반론적 해명 ― 고봉과의 사단칠정 논변을 중심으로 ―

Toegye's Conception of li-fa(理發) Explained fromthe Theory of Supervenience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퇴계 <논어석의論語釋義>의 편찬 의도와 성격

Intention and character of compilation of Noneoseogui(論語釋義) written by Toegye(退溪)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退溪의 前代 學者들에 대한 평가

The Study of Toegye's Evaluation of the Previous Scholars

퇴계학논집 | 7 | 2010 | 철학

退溪의 前代 學者들에 대한 평가

The Study of Toegye's Evaluation of the Previous Scholars

퇴계학논집 | | 7 | 2010 | 철학

退溪의 未發說과 居敬의 修養論

退溪之未发说及“居敬”的修养论

철학연구 | 40 | 2010 | 철학

退溪의 未發說과 居敬의 修養論

退溪之未发说及“居敬”的修养论

철학연구 | | 40 | 2010 | 철학

退溪先生 『聖學十圖』의 成德之敎

The Teachings of Virtue: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of Toegye

퇴계학논집 | 9 | 2011 | 철학

퇴계 心性論의 토대인 心의 虛와 靈

Toegye`s Mind-and-Herat theory foundation of heart`s Etpy·Spirit

퇴계학논집 | 8 | 2011 | 철학

퇴계의 유산(遊山)과 그 의미

Playing Mountain in Toegye and its Meaning

한국체육학회지 | 50 | 3 | 2011 | 체육

유교정치학으로서 퇴계의 성학과 정치 담론

Sage Learning and Political Discourse of Toegye Lee Hwang as the Politics of Confucianism

퇴계학논집 | 8 | 2011 | 철학

李退渓の「誠」と王陽明の「誠」─ 二人の思想の類似性をめぐって ─

유학연구 | 23 | 2010 | 철학

李退渓の「誠」と王陽明の「誠」─ 二人の思想の類似性をめぐって ─

유학연구 | 23 | | 2010 | 철학

영남 유학과 ‘낙중학’

嶺南儒學與 ‘洛中學’

한국학논집 | 40 | 2010 | 기타인문학

영남 유학과 ‘낙중학’

嶺南儒學與 ‘洛中學’

한국학논집 | | 40 | 2010 | 기타인문학

退溪學의 구조와 그 의미

退溪學的結構及其意味

동양철학 | 33 | 2010 | 철학

退溪學의 구조와 그 의미

退溪學的結構及其意味

동양철학 | | 33 | 2010 | 철학

陶山書堂의 傳統 立地環境

Traditional Location Environment of Dosan Seodang(陶山書堂)

영남학 | 51 | 2012 | 유교학

愚潭 丁時翰은 退溪를 어떻게 이해하였는가? - {四七辨證}을 중심으로

Woodam Jeong Si-han's Understanding of Toegye

한국철학논집 | 29 | 2010 | 한국철학일반

愚潭 丁時翰은 退溪를 어떻게 이해하였는가? - {四七辨證}을 중심으로

Woodam Jeong Si-han's Understanding of Toegye

한국철학논집 | | 29 | 2010 | 한국철학일반

退溪 船遊詩를 통해 본 ‘樂’과 ‘興’

‘Rak(樂)’ and ‘Heung(興)’ by Way of Toegye's Seonyusi(船遊詩)

퇴계학논집 | 9 | 2011 | 철학

퇴계 이황 설화 출생담의 특징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Birth-folk Tale of Yi Hwang, Toegye

고전문학과 교육 | 24 | 2012 | 인문학

退溪의 『書釋義』에 관한 연구

關于退溪的 『書釋義』 硏究

동양철학연구 | 64 | 2010 | 철학

退溪의 『書釋義』에 관한 연구

關于退溪的 『書釋義』 硏究

동양철학연구 | | 64 | 2010 | 철학

퇴계 四七說의 일상 언어적 이해와 INUS 조건

退溪四七说之日常语言的理解和INUS条件

철학연구 | 45 | 2012 | 철학

退溪의 「陶山雜詠」에 나타난 공간감각의 미의식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space sense to shown on a 'The Dosan-jabyoung(「陶山雜詠」) of Toegae(退溪)

퇴계학논집 | 7 | 2010 | 철학

退溪의 「陶山雜詠」에 나타난 공간감각의 미의식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space sense to shown on a 'The Dosan-jabyoung(「陶山雜詠」) of Toegae(退溪)

퇴계학논집 | | 7 | 2010 | 철학

퇴계와 율곡의 독서법 용어를 통한 고전독서이론의 모색

An Inquiry into the Classical Reading Theory through the Terms on Reading Method of Toegye and Yulgok

영남학 | 21 | 2012 | 기타인문학

退溪學의 구조와 그 의미

退溪學的結構及其意味

동양철학 | 33 | 2010 | 철학

退溪學의 구조와 그 의미

退溪學的結構及其意味

동양철학 | | 33 | 2010 | 철학

<天淵臺>에 표현한 退溪의 즐거움 硏究

Toegye’s pleasure expressed in Cheonyeondae

퇴계학논총 | 19 | 2012 | 기타인문학

IS YULGOK’S THEORY OF MIND CONSISTENT?

Acta Koreana | 15 | 1 | 2012 | 기타인문학

退溪 <聖學十圖>와 生態主義 敎育原理 - 上5圖를 中心으로 -

Toegye's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and Principles of Ecological Education - especially presented at top 5 diagrams -

퇴계학논총 | 16 | 2010 | 기타인문학

退溪 <聖學十圖>와 生態主義 敎育原理 - 上5圖를 中心으로 -

Toegye's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and Principles of Ecological Education - especially presented at top 5 diagrams -

퇴계학논총 | | 16 | 2010 | 기타인문학

퇴계 예설을 통해본 예禮의 기본이념

Basic Ideologies of Ye(禮) based on Toegye's Theory of Ye(禮)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퇴계의 敬사상에 있어서 몸의 문제

The Problem of Body in Toegye's Concept of 'Kyoung'

유학연구 | 25 | 2011 | 철학

THE CURRENT STATE OF THE ECOLOGICAL DISCOURSE WITHIN KOREAN CONFUCIANISM AND ITS FUTURE OUTLOOK

Acta Koreana | 14 | 2 | 2011 | 기타인문학

퇴계 <논어석의論語釋義>의 편찬 의도와 성격

Intention and character of compilation of Noneoseogui(論語釋義) written by Toegye(退溪)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退溪 李滉의 <啓蒙傳疑>에 대한 體系的 硏究

Systematic Study on Qimengchuanyi(『啓蒙傳疑』) written by Toegye(退溪) Yi Hwang(李滉)

온지논총 | 31 | 2012 | 기타인문학

君子有終의 敎育的 含意 − 退溪 考終記를 中心으로 −

beautiful end of life from the Confucian's perspective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 Based on Toe-Gye's Ko-Jong-Gi(考終記)

퇴계학논총 | 17 | 2011 | 기타인문학

<天淵臺>에 표현한 退溪의 즐거움 硏究

Toegye’s pleasure expressed in Cheonyeondae

퇴계학논총 | 19 | 2012 | 기타인문학

退溪 李滉의 <啓蒙傳疑>에 대한 體系的 硏究

Systematic Study on Qimengchuanyi(『啓蒙傳疑』) written by Toegye(退溪) Yi Hwang(李滉)

온지논총 | 31 | 2012 | 기타인문학

영남지역 퇴계문인의 서원건립과 교육활동

The Construction of Seowon (Private Academy) and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Disciples of Teoigye in Yeongnam Area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退溪의 ‘思’ 槪念과 그 哲學的 意味

The Concept of 'sī[Thinking]' in Toegye and Its Philosophical Meaning

동아인문학 | 17 | 2010 | 기타인문학

退溪의 ‘思’ 槪念과 그 哲學的 意味

The Concept of 'sī[Thinking]' in Toegye and Its Philosophical Meaning

동아인문학 | | 17 | 2010 | 기타인문학

개념도를 활용한 독서교육 연구 ― 퇴계의 <聖學十圖>를 중심으로 ―

he study about reading education using key map - focus on 『Seonghaksipdo』 of Toegye

퇴계학논총 | 18 | 2011 | 기타인문학

퇴계 四七說의 일상 언어적 이해와 INUS 조건

退溪四七说之日常语言的理解和INUS条件

철학연구 | 45 | 2012 | 철학

退溪像의 변모 : 肖像畵를 통해서 본 선비像의 변천에 대한 試論

A Study on Changing the Image of Sonbi(士) through the Portrait of Toegye

퇴계학보 | 130 | 2011 | 유교학

退溪學의 구조와 그 의미

退溪學的結構及其意味

동양철학 | 33 | 2010 | 철학

退溪學의 구조와 그 의미

退溪學的結構及其意味

동양철학 | | 33 | 2010 | 철학

退溪의 未發說과 居敬의 修養論

退溪之未发说及“居敬”的修养论

철학연구 | 40 | 2010 | 철학

退溪의 未發說과 居敬의 修養論

退溪之未发说及“居敬”的修养论

철학연구 | | 40 | 2010 | 철학

퇴계의 지각 이론과 자연미 인식의 감성적 계기

Toegye’s Theory of Perception and the Essential Factor ofPerceiving Beauties of Nature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퇴계의 지각 이론과 자연미 인식의 감성적 계기

Toegye’s Theory of Perception and the Essential Factor ofPerceiving Beauties of Nature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퇴계의 일원론적 사상:매화시를 중심으로

The Monistic Ideas of T'oegye in Special Reference to Maehwa(梅花) Poetry

Journal of korean Culture | 20 | 2012 | 현대시(국문학)

퇴계의 지각 이론과 자연미 인식의 감성적 계기

Toegye’s Theory of Perception and the Essential Factor ofPerceiving Beauties of Nature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퇴계의 지각 이론과 자연미 인식의 감성적 계기

Toegye’s Theory of Perception and the Essential Factor ofPerceiving Beauties of Nature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退溪 李滉의 <啓蒙傳疑>에 대한 體系的 硏究

Systematic Study on Qimengchuanyi(『啓蒙傳疑』) written by Toegye(退溪) Yi Hwang(李滉)

온지논총 | 31 | 2012 | 기타인문학

退溪 李滉 이야기의 서사화 양상 ― 단양의 기생 杜香과 풍기의 대장장이 裵純 관련 이야기를 중심으로 ―

Narration of Toegye Yi Hwang Story - Focus on the stories of geisha Doo Hyang in Danyang and of Bae Soon by Dae Jang Jang -

전북사학 | 37 | 2010 | 역사학

退溪 李滉 이야기의 서사화 양상 ― 단양의 기생 杜香과 풍기의 대장장이 裵純 관련 이야기를 중심으로 ―

Narration of Toegye Yi Hwang Story - Focus on the stories of geisha Doo Hyang in Danyang and of Bae Soon by Dae Jang Jang -

전북사학 | | 37 | 2010 | 역사학

퇴계의 산수 음영과 자연미 인식의 양상

The Poetry of Hills and Streams recited by Toegye, and the Patterns to Recognizing Beauties of Nature

한국학 | 34 | 3 | 2011 | 기타인문학

퇴계 철학에 나타난 自然發의 의미

The meaning of natural manifestation in Toegye philosophy

민족문화논총 | 51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 중기 寒旅學派의 철학사상

Philosophical Aspects of Han-yeo school in the Middle Chosun Period

한국학논집 | 40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중기 寒旅學派의 철학사상

Philosophical Aspects of Han-yeo school in the Middle Chosun Period

한국학논집 | | 40 | 2010 | 기타인문학

유교정치학으로서 퇴계의 성학과 정치 담론

Sage Learning and Political Discourse of Toegye Lee Hwang as the Politics of Confucianism

퇴계학논집 | 8 | 2011 | 철학

退溪 船遊詩를 통해 본 ‘樂’과 ‘興’

‘Rak(樂)’ and ‘Heung(興)’ by Way of Toegye's Seonyusi(船遊詩)

퇴계학논집 | 9 | 2011 | 철학

퇴계의 일원론적 사상:매화시를 중심으로

The Monistic Ideas of T'oegye in Special Reference to Maehwa(梅花) Poetry

Journal of korean Culture | 20 | 2012 | 현대시(국문학)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의 의미 재고(再考)

Reviewing the implications of Dosansip-igok

한국시가문화연구 | 29 | 2012 | 한국어와문학

退溪의『論語釋義』에 대한 一考 ― 『論語』에 대한 해석 방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oegye’ 『Interpre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한민족문화연구 | 39 | 2012 | 한국어와문학

退溪의 절충적 論禮 관점

The eclectic perspective on courtesy of Toegye

동양한문학연구 | 33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퇴계의 현대성: 엘리엇의 시학을 중심으로

Modernity of T’oegye Considered in Terms of T. S. Eliot’s Poetics

동서비교문학저널 | 25 | 2011 | 문학

退溪先生 『聖學十圖』의 成德之敎

The Teachings of Virtue: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of Toegye

퇴계학논집 | 9 | 2011 | 철학

退溪 李滉의 四端七情論과 栗谷 李珥의 人心道心論에 담긴 政治哲學的 意味

The Political and Philosophical Meaning from the Teogye(退溪) Yi Hwang(李滉)’s Siduanqiqinglun(四端七情論), and Yulgok(栗谷) Yi I(李珥)’s Renxindaoxinlun(人心道心論)

한국철학논집 | 33 | 2012 | 한국철학일반

关于李退溪对阳明学之批判的研究

유학연구 | 21 | 2010 | 철학

关于李退溪对阳明学之批判的研究

유학연구 | 21 | | 2010 | 철학

이 퇴계에게 있어서의 정치 ‐재지사족(在地士族)의 시점으로부터‐

Politics as for Lee Toegye From the Point of Time in Jaejisajok(在地士族)

퇴계학논집 | 9 | 2011 | 철학

<聖學十図>と江戶儒學 - 「白鹿洞書院揭示」と「聖學圖」を中心としてて -

<성학십도>와 강호유학 - 「백록동서원게시」와 「성학도」를 중심으로 -

퇴계학논총 | 16 | 2010 | 기타인문학

<聖學十図>と江戶儒學 - 「白鹿洞書院揭示」と「聖學圖」を中心としてて -

<성학십도>와 강호유학 - 「백록동서원게시」와 「성학도」를 중심으로 -

퇴계학논총 | | 16 | 2010 | 기타인문학

退溪 李滉의 四端七情論과 栗谷 李珥의 人心道心論에 담긴 政治哲學的 意味

The Political and Philosophical Meaning from the Teogye(退溪) Yi Hwang(李滉)’s Siduanqiqinglun(四端七情論), and Yulgok(栗谷) Yi I(李珥)’s Renxindaoxinlun(人心道心論)

한국철학논집 | 33 | 2012 | 한국철학일반

퇴계의 삶에서 ‘물러남’의 교육적 의미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tepping Back’ in Toegye’s Life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퇴계의 삶에서 ‘물러남’의 교육적 의미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tepping Back’ in Toegye’s Life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退溪의 河圖洛書論과 그 性理學的 의의

Toegye's Hetu-Luoshu and It's Meaning of Neo-Confucianism

영남학 | 46 | 2010 | 유교학

退溪의 河圖洛書論과 그 性理學的 의의

Toegye's Hetu-Luoshu and It's Meaning of Neo-Confucianism

영남학 | | 46 | 2010 | 유교학

退溪의 河圖洛書論과 그 性理學的 의의

Toegye's Hetu-Luoshu and It's Meaning of Neo-Confucianism

영남학 | 46 | 2010 | 유교학

退溪의 河圖洛書論과 그 性理學的 의의

Toegye's Hetu-Luoshu and It's Meaning of Neo-Confucianism

영남학 | | 46 | 2010 | 유교학

퇴계 수창시의 양상과 의의

Aspects and Meanings of Toegye's Soochang Poetry

영남학 | 47 | 2010 | 유교학

퇴계 수창시의 양상과 의의

Aspects and Meanings of Toegye's Soochang Poetry

영남학 | | 47 | 2010 | 유교학

마음의 理氣와 자연의 理氣 정약용의 四端七情論爭 평가에 대한 재평가

Li-gi of Mind-heart and Li-gi of Nature: A Revaluation on Jeong Yak-yong's Evaluation on Four-Seven Debate

한국학논집 | 40 | 2010 | 기타인문학

마음의 理氣와 자연의 理氣 정약용의 四端七情論爭 평가에 대한 재평가

Li-gi of Mind-heart and Li-gi of Nature: A Revaluation on Jeong Yak-yong's Evaluation on Four-Seven Debate

한국학논집 | | 40 | 2010 | 기타인문학

陶山書堂의 傳統 立地環境

Traditional Location Environment of Dosan Seodang(陶山書堂)

영남학 | 51 | 2012 | 유교학

조선 중기 寒旅學派의 철학사상

Philosophical Aspects of Han-yeo school in the Middle Chosun Period

한국학논집 | 40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중기 寒旅學派의 철학사상

Philosophical Aspects of Han-yeo school in the Middle Chosun Period

한국학논집 | | 40 | 2010 | 기타인문학

担当之志与进退之义

Ambition of Accountability and Yi of Advance and Retreat

퇴계학보 | 130 | 2011 | 유교학

退溪 四七論에서 四端의 純善함에 대하여

A Study on Pure good of Four Beginning in Toegye’s Four Seven Debate

유교사상문화연구 | 45 | 2011 | 유교학

『喪祭禮答問』 分析을 통한 退溪의 俗禮觀 考察

A Study on T'oegye's Viewpoint of Conventional Courtesy through Analysis on Sang-Je-Rye-dap-Mun

퇴계학보 | 128 | 2010 | 유교학

『喪祭禮答問』 分析을 통한 退溪의 俗禮觀 考察

A Study on T'oegye's Viewpoint of Conventional Courtesy through Analysis on Sang-Je-Rye-dap-Mun

퇴계학보 | | 128 | 2010 | 유교학

타카하시의 고약한 은유

高橋亨的怪異之隱喩

대동철학 | 55 | 2011 | 철학

퇴계 철학에 나타난 自然發의 의미

The meaning of natural manifestation in Toegye philosophy

민족문화논총 | 51 | 2012 | 기타인문학

퇴계 수창시의 양상과 의의

Aspects and Meanings of Toegye's Soochang Poetry

영남학 | 47 | 2010 | 유교학

퇴계 수창시의 양상과 의의

Aspects and Meanings of Toegye's Soochang Poetry

영남학 | | 47 | 2010 | 유교학

퇴계와 율곡의 독서법 용어를 통한 고전독서이론의 모색

An Inquiry into the Classical Reading Theory through the Terms on Reading Method of Toegye and Yulgok

영남학 | 21 | 2012 | 기타인문학

퇴계와 남명의 山水觀과 書院立地에 관한 考察

A study on the view of landscape and auditorium position of Twoegae and Nammyeong

민족사상 | 5 | 1 | 2011 | 한국정치사상

陶山書堂의 傳統 立地環境

Traditional Location Environment of Dosan Seodang(陶山書堂)

영남학 | 51 | 2012 | 유교학

退溪와 龜巖의 往復書翰

The Exchanged Letters between Toigye(退溪) and Guam(龜巖)

영남학 | 47 | 2010 | 유교학

退溪와 龜巖의 往復書翰

The Exchanged Letters between Toigye(退溪) and Guam(龜巖)

영남학 | | 47 | 2010 | 유교학

退溪와 龜巖의 往復書翰

The Exchanged Letters between Toigye(退溪) and Guam(龜巖)

영남학 | 47 | 2010 | 유교학

退溪와 龜巖의 往復書翰

The Exchanged Letters between Toigye(退溪) and Guam(龜巖)

영남학 | | 47 | 2010 | 유교학

君子有終의 敎育的 含意 − 退溪 考終記를 中心으로 −

beautiful end of life from the Confucian's perspective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 Based on Toe-Gye's Ko-Jong-Gi(考終記)

퇴계학논총 | 17 | 2011 | 기타인문학

이황과 이이 성리학의 차이 극복을 위한 고찰(Ⅰ)

A Study on How to Overcome the Difference of Neo-Confucianism System between Lee Hwang and Lee Yi(Ⅰ)

동서철학연구 | 57 | 2010 | 철학

이황과 이이 성리학의 차이 극복을 위한 고찰(Ⅰ)

A Study on How to Overcome the Difference of Neo-Confucianism System between Lee Hwang and Lee Yi(Ⅰ)

동서철학연구 | | 57 | 2010 | 철학

퇴계 주리철학의 공공公共적 성격

The Public Virtue of Toegye’s Juri-philosophy(主理哲學)

한국학논집 | 47 | 2012 | 기타인문학

退溪 <聖學十圖>와 生態主義 敎育原理 - 上5圖를 中心으로 -

Toegye's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and Principles of Ecological Education - especially presented at top 5 diagrams -

퇴계학논총 | 16 | 2010 | 기타인문학

退溪 <聖學十圖>와 生態主義 敎育原理 - 上5圖를 中心으로 -

Toegye's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and Principles of Ecological Education - especially presented at top 5 diagrams -

퇴계학논총 | | 16 | 2010 | 기타인문학

독서교육을 위한 개념도 활용 방안 ― 퇴계의 <소학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onceptual Map in Reading Education - the case of by Toigye

퇴계학논총 | 19 | 2012 | 기타인문학

영남지역 퇴계문인의 서원건립과 교육활동

The Construction of Seowon (Private Academy) and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Disciples of Teoigye in Yeongnam Area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퇴계의 산수 음영과 자연미 인식의 양상

The Poetry of Hills and Streams recited by Toegye, and the Patterns to Recognizing Beauties of Nature

한국학 | 34 | 3 | 2011 | 기타인문학

퇴계 <논어석의論語釋義>의 편찬 의도와 성격

Intention and character of compilation of Noneoseogui(論語釋義) written by Toegye(退溪)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퇴계 예설을 통해본 예禮의 기본이념

Basic Ideologies of Ye(禮) based on Toegye's Theory of Ye(禮)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退溪의 自通解 學習 연구

Study on the Jatonghae of Toegye's learning

퇴계학논총 | 18 | 2011 | 기타인문학

개념도를 활용한 독서교육 연구 ― 퇴계의 <聖學十圖>를 중심으로 ―

he study about reading education using key map - focus on 『Seonghaksipdo』 of Toegye

퇴계학논총 | 18 | 2011 | 기타인문학

퇴계 “理發”설 再論 - ‘理의 能動性’ 의심과 부정에 대한 반성 -

再論退溪的‘理發’說

유교사상문화연구 | 45 | 2011 | 유교학

이황과 이이 성리학의 차이 극복을 위한 고찰(Ⅰ)

A Study on How to Overcome the Difference of Neo-Confucianism System between Lee Hwang and Lee Yi(Ⅰ)

동서철학연구 | 57 | 2010 | 철학

이황과 이이 성리학의 차이 극복을 위한 고찰(Ⅰ)

A Study on How to Overcome the Difference of Neo-Confucianism System between Lee Hwang and Lee Yi(Ⅰ)

동서철학연구 | | 57 | 2010 | 철학

퇴계 이황 설화 출생담의 특징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Birth-folk Tale of Yi Hwang, Toegye

고전문학과 교육 | 24 | 2012 | 인문학

人類氣候帶適應論과 李滉理發氣隨氣發理乘學說의 觀點에서 본 黃帝內經五態人의 陰陽和平之人

The Meaning of Yin Yang(陰陽) Balanced Type in Huang Di Nei Jing(黃帝內經)

영남학 | 51 | 2012 | 유교학

退溪 四七論에서 四端의 純善함에 대하여

A Study on Pure good of Four Beginning in Toegye’s Four Seven Debate

유교사상문화연구 | 45 | 2011 | 유교학

퇴계 “理發”설 再論 - ‘理의 能動性’ 의심과 부정에 대한 반성 -

再論退溪的‘理發’說

유교사상문화연구 | 45 | 2011 | 유교학

퇴계 수창시의 양상과 의의

Aspects and Meanings of Toegye's Soochang Poetry

영남학 | 47 | 2010 | 유교학

퇴계 수창시의 양상과 의의

Aspects and Meanings of Toegye's Soochang Poetry

영남학 | | 47 | 2010 | 유교학

退溪 李滉 시에 나타난 杜詩 수용 양상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u Fu Poetry about Toegye Lee hwang Poetry

한국사상과 문화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退溪 李滉 시에 나타난 杜詩 수용 양상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u Fu Poetry about Toegye Lee hwang Poetry

한국사상과 문화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退溪의 절충적 論禮 관점

The eclectic perspective on courtesy of Toegye

동양한문학연구 | 33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退溪의『論語釋義』에 대한 一考 ― 『論語』에 대한 해석 방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oegye’ 『Interpre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한민족문화연구 | 39 | 2012 | 한국어와문학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의 의미 재고(再考)

Reviewing the implications of Dosansip-igok

한국시가문화연구 | 29 | 2012 | 한국어와문학

退溪 李滉의 理發重視的 書藝認識

Important of Principle's act in T'oe-gye Yi Hwang's the conception of calligraphy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退溪의 「和陶集飮酒二十首」에 나타난陶淵明 수용 양상

Toegye's following the rhymes of Dojam's “Drinking Wine” poems - Compared with Sodongpa and Maewoldang

동방한문학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退溪의 「和陶集飮酒二十首」에 나타난陶淵明 수용 양상

Toegye's following the rhymes of Dojam's “Drinking Wine” poems - Compared with Sodongpa and Maewoldang

동방한문학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喪祭禮答問』 分析을 통한 退溪의 俗禮觀 考察

A Study on T'oegye's Viewpoint of Conventional Courtesy through Analysis on Sang-Je-Rye-dap-Mun

퇴계학보 | 128 | 2010 | 유교학

『喪祭禮答問』 分析을 통한 退溪의 俗禮觀 考察

A Study on T'oegye's Viewpoint of Conventional Courtesy through Analysis on Sang-Je-Rye-dap-Mun

퇴계학보 | | 128 | 2010 | 유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