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시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97

한자 : 朝鮮中期
영어 :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x02-01 시대

대상지역

조선 (朝鮮)

대상기간_t

16세기 말-18세기 초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2

x02-01 시대 시대

조선시대 () [ 朝鮮時代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x02-01 시대 시대

조선 후기 () [ 朝鮮後期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x02-01 시대 시대

조선 전기 (1392-) [ 朝鮮前期 ]

소문과 권력 -16세기 한 사족 부인의 淫行 소문 재구성-

Rumor and Power: An Intimate Approach to Rumor of Adultery by an Upper-class Woman during the 16th Century Chosun Dynasty period

철학사상 | 40 | 2011 | 철학

谿谷 張維의 漢詩에 나타난 ‘楚辭’ 수용의 미의식

A study on aesthetic consciousness of Cho-sa(楚辭) mentioned in Gae-kog(谿谷) Chang-yu(張維)' Chinese poetry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2010 | 한문비평

谿谷 張維의 漢詩에 나타난 ‘楚辭’ 수용의 미의식

A study on aesthetic consciousness of Cho-sa(楚辭) mentioned in Gae-kog(谿谷) Chang-yu(張維)' Chinese poetry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 2010 | 한문비평

일기를 통해본 조선 중기 사대부들의 기록정신

The Writing Spirit of the Nobility in the Middle Era of Joseon revealed on their Diaries

동아시아고대학 | 21 | 2010 | 기타인문학

일기를 통해본 조선 중기 사대부들의 기록정신

The Writing Spirit of the Nobility in the Middle Era of Joseon revealed on their Diaries

동아시아고대학 | | 21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중기 지식인들의 회화관(繪畵觀)

The Intellectuals' View of Paintings in the Middle Joseon Period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8 | 2011 | 유교학

조선 중기 한시에 나타나는 몸의 두 가지 양상 ―남명의 작품을 중심으로―

The two aspects of body showed in chinese poetry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 focused on the works of Nam Myeong(南冥)-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 중기 한시에 나타나는 몸의 두 가지 양상 ―남명의 작품을 중심으로―

The two aspects of body showed in chinese poetry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 focused on the works of Nam Myeong(南冥)-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개인소장 《遊三釜落屛》 연구

A Study on the Yusamburak screen of Private Collection

美術史論壇 | 31 | 2010 | 미술

개인소장 《遊三釜落屛》 연구

A Study on the Yusamburak screen of Private Collection

美術史論壇 | | 31 | 2010 | 미술

退溪의 漢詩나타난 대나무의 美의식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to shown on a bamboo's poetry of Toegae(退溪)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退溪의 漢詩나타난 대나무의 美의식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to shown on a bamboo's poetry of Toegae(退溪)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조선중기 文風의 변화와 科文

Writings for the state examination relating to the change of writing style during the middle period of Chosun dynasty

대동문화연구 | 74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중기 한문산문에서 <장자> 수용의 양상과 그 의미

Accepting Zhuang Zi(莊子) in the Middle Period of Chosun Dynasty

한국한문학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중기 한문산문에서 <장자> 수용의 양상과 그 의미

Accepting Zhuang Zi(莊子) in the Middle Period of Chosun Dynasty

한국한문학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중기 文人士大夫의 불교인식 -柳夢寅과 許筠을 중심으로-

The literary noblemen's conception about Buddhism in mid-Chosun

禪學(선학) | 30 | 2011 | 응용불교학

조선 중기 미암 유희춘 부부의 복식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apperance of Miam couple’s costume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한복문화 | 15 | 2 | 2012 | 의상

《東國新續三綱行實圖》와 관련 儀軌 硏究

A Study of Dongguk sinsok samgang haengsildo and Its Related Uigwe

미술사연구 | 25 | 2011 | 미술

朝鮮中期『錄勳都監儀軌』와功臣畵像에관한硏究

The Nokhundogam Uigwe and Portraits of Meritorious Subjects in the Mid-Joseon Period

미술사학연구 | 266 | 266 | 2010 | 미술

朝鮮中期 江岸地域의 文學活動과 그 性格 - 낙동강 중류 지역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시론 -

Literary Activities of the Gangan Area and Their Nature in Middle Chosun - An essay on poetry around the midstream area of Nakdong River -

한국학논집 | 40 | 2010 | 기타인문학

朝鮮中期 江岸地域의 文學活動과 그 性格 - 낙동강 중류 지역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시론 -

Literary Activities of the Gangan Area and Their Nature in Middle Chosun - An essay on poetry around the midstream area of Nakdong River -

한국학논집 | | 40 | 2010 | 기타인문학

유몽인의 「안변삼십이책」 연구: 조선 중기 문학에서의 ‘정치(政治)’의 한 사례로서

A Study on Yu Mong-in(柳夢寅)’s (安邊三十二策)

민족문학사연구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