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시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63

STNet ID : 9000663

한자 : 朝鮮後期

x02-01 시대

대상지역

조선 (朝鮮)

대상기간_t

1725-1910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3

x02-01 시대 시대

조선시대 () [ 朝鮮時代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x02-01 시대 시대

정조 시대 () [ 正祖時代 ]

hasComponent (구성요소)

 

x02-01 시대 시대

고종 시대 [ 高宗時代 ]

R1:개념적

RT (관련어)

 

x02-01 시대 시대

구한말 (1987-1910) [ 舊韓末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x02-01 시대 시대

일제강점기 () [ 日帝强占期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x02-01 시대 시대

조선 중기 (16세기 후-18세기 초) [ 朝鮮中期 ]

明代 화보류 羅漢 揷圖의 流傳: 圖像의 집성과 전파

A Journey of Arhat Illustrations of the Publications in Ming Dynasty: Collection and Propagation of the Iconographies

미술사학 | 26 | 2012 | 미술

조선후기 類書類에 나타난 服飾觀 -『芝峯類說』『星湖僿說』『松南雜識』를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 33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類書類에 나타난 服飾觀 -『芝峯類說』『星湖僿說』『松南雜識』를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 | 33 | 2010 | 역사학

死六臣 담론의 轉變과 조선후기 詩歌의 수용 양상

The shift of the Discussion of Sayukshin and the Aspects of the Acceptance of Poetry of Late Choseon Dynasty

민족문학사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 후기 時調 漢譯의 재검토

Reconsideration of Sijo's Chinese Translation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우리어문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女唱歌曲에 나타난 애정의 양상과 의미

Representation of Love in the Yochang-gagok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女唱歌曲에 나타난 애정의 양상과 의미

Representation of Love in the Yochang-gagok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Global History and East Asia: A Late Chosŏn Perspective

조선후기에서 보는 동아시아와 지구사 서술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 17 | 2 | 2012 | 기타역사일반

高靈 古建築의 性格과 齋室建築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Jae-sil Buildings of Go-Ryung

영남학 | 46 | 2010 | 유교학

高靈 古建築의 性格과 齋室建築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Jae-sil Buildings of Go-Ryung

영남학 | | 46 | 2010 | 유교학

조선 후기 應元·印均派의 활동: 應元, 印均, 三忍

Monk Sculptors of the Eungwon-Ingyun School in the late Joseon Dynasty: Eungwon, Ingyun, and Samin

한국문화 | 52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후기 應元·印均派의 활동: 應元, 印均, 三忍

Monk Sculptors of the Eungwon-Ingyun School in the late Joseon Dynasty: Eungwon, Ingyun, and Samin

한국문화 | | 52 | 2010 | 기타인문학

≪受敎謄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gyodeungrok(受敎謄錄)≫

법학연구 | 51 | 1 | 2010 | 기초법

≪受敎謄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gyodeungrok(受敎謄錄)≫

법학연구 | 51 | 1 | 2010 | 기초법

『家政』을 통해 본 18세기의 생활세계

The Lifeworld of eighteenth century Chosun society as viewed by the Gajeong(『家政』)

한국문화 | 51 | 2010 | 기타인문학

『家政』을 통해 본 18세기의 생활세계

The Lifeworld of eighteenth century Chosun society as viewed by the Gajeong(『家政』)

한국문화 | | 51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旅客主人 및 旅客主人權 재론 - 경기·충청 庄土文績의 재구성을 통하여 -

Coastal Trade Brokers and their Rights in Traditional Korea Revisited Using a Document Database from the Kyujanggak Collection

한국문화 | 57 | 2012 | 기타인문학

조각승 勝日과 勝日派의 造像 활동

Monk Sculptor Seungil and Seungil School in the mid 17th century Korea

禪學(선학) | 26 | 2010 | 응용불교학

조각승 勝日과 勝日派의 造像 활동

Monk Sculptor Seungil and Seungil School in the mid 17th century Korea

禪學(선학) | | 26 | 2010 | 응용불교학

『목민심서』 속, 가족의 두 얼굴

Two faces of family seen in Mongmin simseo(牧民心書)

한국사상사학 | 36 | 2010 | 역사학

『목민심서』 속, 가족의 두 얼굴

Two faces of family seen in Mongmin simseo(牧民心書)

한국사상사학 | | 36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彫刻僧 色難의 十六羅漢像 硏究 -전남 고흥 능가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Sixteen Arhat Scurptures of Saeknan(色難) in the Late Chosun Period

禪文化硏究 | 8 | 2010 | 기타불교학

조선후기 彫刻僧 色難의 十六羅漢像 硏究 -전남 고흥 능가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Sixteen Arhat Scurptures of Saeknan(色難) in the Late Chosun Period

禪文化硏究 | | 8 | 2010 | 기타불교학

규장각 소장 『攷事新書』에 대하여

A Study on the New Guide to Miscellaneous Facts 攷事新書 published in 1771

규장각 | 36 | 2010 | 기타인문학

규장각 소장 『攷事新書』에 대하여

A Study on the New Guide to Miscellaneous Facts 攷事新書 published in 1771

규장각 | | 36 | 2010 | 기타인문학

‘淫獄’에 비친 正祖代의 性 인식:『審理錄』을 중심으로

The Discourses on Sexuality in the Period of King Jung-Jo in the Mirror of the Sex-Related Crime Cases: With Special Reference to Shimnirok

규장각 | 39 | 2011 | 기타인문학

1763년 필담창화를 통해 본 조선과 일본의 시문창화 인식 변화

Change in the Perception of Shimunchanghwa of Joseon and Japan as Seen through the Pildamchanghwa of 1763

동아시아문화연구 | 49 | 2011 | 기타인문학

『林下筆記』에 나타난 歲時風俗과 民俗놀이 硏究

A Study on the Seasonal Custom and Folk Game observed in Yimhapilgi

동아시아고대학 | 26 | 2011 | 기타인문학

17세기 중후반 운혜파의 조상 활동: 운혜와 경림

Unhye and Gyeongrim: The Masters of the Unhye School in the mid-late 17th century Korea

미술사와 시각문화 | 9 | 2010 | 미술

17세기 중후반 운혜파의 조상 활동: 운혜와 경림

Unhye and Gyeongrim: The Masters of the Unhye School in the mid-late 17th century Korea

미술사와 시각문화 | | 9 | 2010 | 미술

사랑채가 있는 풍경 - 조선 후기 서재문화와 서재의 시각화-

Landscape with SarangChae - Library Cul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s Visualization

동양고전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사랑채가 있는 풍경 - 조선 후기 서재문화와 서재의 시각화-

Landscape with SarangChae - Library Cul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s Visualization

동양고전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한시에 나타난 유배객의 생활 모습 -『정헌영해처감록』을 중심으로-

Life Style of Exiles Represented in Korean Poetry in Chinese -Focused on “Jeongheon Yeonghaecheogamrok (Jeongheon's Writing on Experience in a Place of Exile)”-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시에 나타난 유배객의 생활 모습 -『정헌영해처감록』을 중심으로-

Life Style of Exiles Represented in Korean Poetry in Chinese -Focused on “Jeongheon Yeonghaecheogamrok (Jeongheon's Writing on Experience in a Place of Exile)”-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재악장(呈才樂章)의 춤의 표현에서 풍(風)과 관련한 움직임에 관한 연구- 조선후기를 중심으로

Researching principal of the dance movement which expressed in JUNGJAEACKJANG(呈才樂章) - Centrically Late Joseon Dynasty period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 68 | 68 | 2011 | 무용

조선후기 영남지방 士族村의 풍수담론

The Fengshui Discourse on the Sajok Villag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Youngnam Region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3 | 2010 | 지리학

조선후기 영남지방 士族村의 풍수담론

The Fengshui Discourse on the Sajok Villag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Youngnam Region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3 | 2010 | 지리학

17세기 중후반 운혜파의 조상 활동: 운혜와 경림

Unhye and Gyeongrim: The Masters of the Unhye School in the mid-late 17th century Korea

미술사와 시각문화 | 9 | 2010 | 미술

17세기 중후반 운혜파의 조상 활동: 운혜와 경림

Unhye and Gyeongrim: The Masters of the Unhye School in the mid-late 17th century Korea

미술사와 시각문화 | | 9 | 2010 | 미술

조정철의 「탐라잡영(耽羅雜詠)」 연구

A Study on Tamra Japyeong(Songs of Tamra) of Jo Jeong-cheol

동양한문학연구 | 32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17세기 無染派의 造像 활동

Muyeom and Haesim: Masters of the Muyeom School in the 17th century

역사학연구 | 40 | 2010 | 역사학

17세기 無染派의 造像 활동

Muyeom and Haesim: Masters of the Muyeom School in the 17th century

역사학연구 | | 40 | 2010 | 역사학

조선 후기 小品體 遊記의 연구

A Study of the Travel Notes Written in Late Chosŏn

대동문화연구 | 79 | 2012 | 기타인문학

조정철의 「탐라잡영(耽羅雜詠)」 연구

A Study on Tamra Japyeong(Songs of Tamra) of Jo Jeong-cheol

동양한문학연구 | 32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상주 백자의 문헌적 일고찰

A Philological Study of the White Porcelain Made in Sangju in the Late Joseon Period

한국디자인포럼 | 34 | 2012 | 디자인

홍대용과 이규경의 자주적 음악사상

A Study on the Independent Musical Thought of Hong, Dae-Yong and Lee, Kyu-Kyung

국악교육 | 30 | 30 | 2010 | 한국음악이론/분석

홍대용과 이규경의 자주적 음악사상

A Study on the Independent Musical Thought of Hong, Dae-Yong and Lee, Kyu-Kyung

국악교육 | 30 | 30 | 2010 | 한국음악이론/분석

연객 허필의 예술 활동과 일상성의 시학

Artistic Activities of Yeongaek Heo Pil and Poeticsof Dailiness

한국한문학연구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연객 허필의 예술 활동과 일상성의 시학

Artistic Activities of Yeongaek Heo Pil and Poeticsof Dailiness

한국한문학연구 |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통사회 교원평가의 원칙과 실제 : 조선후기 예조(禮曺) 소속 교원을 중심으로

The principle and Practice of Teacher Assessment in Traditional Society : Focusing on the Teacher in the Ministry of Culture and Education in Late Chosun Dynasty

교육행정학연구 | 30 | 2 | 2012 | 교육학

판결문 내용분석을 통한 조선후기 아내살해 사건의 재해석: 『추관지(秋官志)』사례를 중심으로

A Reinterpretation of the Late Choseon Wife Murder Cases in Chugwanji (The Record of Justice) through Discourse Analysis

진단학보 | 113 | 2011 | 역사학

조선 후기 대항 공론장의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the Counter Public Sphere during the Early Modern Era in Korea

한국언론정보학보 | 59 | 3 | 2012 | 신문방송학

華山館 李命基의 生涯와 繪畵世界

The Life and Artistic Career of Yi Myeong-gi

미술사학연구 | 265 | 265 | 2010 | 미술

華山館 李命基의 生涯와 繪畵世界

The Life and Artistic Career of Yi Myeong-gi

미술사학연구 | 265 | 265 | 2010 | 미술

시조에 나타난 조선후기 風俗圖 - 李鼎輔 시조를 중심으로-

A Cultural landscape(風俗圖) of the Latter Joseon-Dynasty appears in Sijo - Focusing on the Lee, Jeong-bo's Sijo-

온지논총 | 27 | 2011 | 기타인문학

『賦役實摠』의 雜稅 통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巫稅·匠稅·海稅·場稅를 중심으로 -

A Critical Review on the Statistics of Miscellaneous Taxes in Puyŏk Shilch’ong

한국문화 | 54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 후기 필사본 漢語會話書 華峯文庫 『中華正音』에 대하여

關於朝鮮後期抄本漢語會話書華峰文庫 ≪中華正音≫

국어사연구 | 11 | 2010 | 국어사

조선 후기 필사본 漢語會話書 華峯文庫 『中華正音』에 대하여

關於朝鮮後期抄本漢語會話書華峰文庫 ≪中華正音≫

국어사연구 | | 11 | 2010 | 국어사

『賦役實摠』에 나타난 朝鮮後期 地方財政의 規模와 特質

Total Amount and Characteristics of Local Finance in the Late Choson Dynasty

경제사학 | 48 | 2010 | 경제학

『賦役實摠』에 나타난 朝鮮後期 地方財政의 規模와 特質

Total Amount and Characteristics of Local Finance in the Late Choson Dynasty

경제사학 | 48 | | 2010 | 경제학

蕙園・申潤福の美人風俗画をめぐる一考察 - 上方美人図との比較研究 -

One Consideration around the Beautiful Woman Genre Picture Shinyunbok Comparative Study - With the Figure of the Kyoto-Osaka Area Beautiful Woman -

일본어문학 | 56 | 2012 | 일본어와문학

새자료 <麴生傳> 연구

A Study of

동양고전연구 | 45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 신종교 개창자의 탄생설화와 종교문화

The Founder's Birth-faith of the New-religion and Religious Culture in Korea

종교교육학연구 | 32 | 2010 | 종교학

한국 신종교 개창자의 탄생설화와 종교문화

The Founder's Birth-faith of the New-religion and Religious Culture in Korea

종교교육학연구 | 32 | | 2010 | 종교학

장흥가사의 특성과 의의- 작품 현황과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The features and significances of Jang-heung Gasa - Focused on statue of work and studies in present

한국시가문화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北宋 六賢과 조선후기의 聖賢故事帖

Northen Sung Six Confucian Scholar and The Album of Sage as Historical Figures

동양고전연구 | 47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 후기 한량형 주인공의 향방 -<양기손전>의 남성 주인공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a dilettante character in the late Chosun dynasty -Focus on a Male Character in Yangkisonjeon

韓國古典硏究 | 25 | 2012 | 고전산문

‘불륜담’의 시대적 변전 양상 고찰 - 조선 후기 문학과 현대문학의 비교

On Study about Periodical Changing Aspect of ‘A Story of Infidelity’

비교문학 | 52 | 2010 | 인문학

‘불륜담’의 시대적 변전 양상 고찰 - 조선 후기 문학과 현대문학의 비교

On Study about Periodical Changing Aspect of ‘A Story of Infidelity’

비교문학 | | 52 | 2010 | 인문학

‘利瑪竇’에 대한 朝鮮後期 지식인들의 이해와 태도

Korean understanding of Matteo Ricci and his learning in late Chosŏn period

한국사상사학 | 36 | 2010 | 역사학

‘利瑪竇’에 대한 朝鮮後期 지식인들의 이해와 태도

Korean understanding of Matteo Ricci and his learning in late Chosŏn period

한국사상사학 | | 36 | 2010 | 역사학

조선 후기 필사본 漢語會話書 華峯文庫 『中華正音』에 대하여

關於朝鮮後期抄本漢語會話書華峰文庫 ≪中華正音≫

국어사연구 | 11 | 2010 | 국어사

조선 후기 필사본 漢語會話書 華峯文庫 『中華正音』에 대하여

關於朝鮮後期抄本漢語會話書華峰文庫 ≪中華正音≫

국어사연구 | | 11 | 2010 | 국어사

조선후기 사족 여성의 경제활동과 문학적 형상화 양상

The economic activities of the noble women and the literary figuration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4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體驗과 想像의 日本 -日本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들-

A Study on Experiences and Japan in Imagination in Late Joseon's Literature - Various viewpoints of Japa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조 지식인들의 신라인식과 시적 형상화

Recognition about Silla and poetic imagery by intelligentsia in Chosu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2010 | 한문비평

조선조 지식인들의 신라인식과 시적 형상화

Recognition about Silla and poetic imagery by intelligentsia in Chosu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 2010 | 한문비평

山雲 李亮淵의 詠史·懷古詩 硏究

A Study on Historical Epic and Reminiscent Poem of Sanwun Yi Yangyeon

漢文學報 | 22 | 2010 | 한문학

山雲 李亮淵의 詠史·懷古詩 硏究

A Study on Historical Epic and Reminiscent Poem of Sanwun Yi Yangyeon

漢文學報 | 22 | | 2010 | 한문학

조선후기 한글대하소설 속 여성의 시작(詩作) 양상과 그 소통 -<소현성록>, <유씨삼대록>, <명행정의록>을 대상으로

A Study of Women's hanmun poetry in Korean roman-fleuves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한글대하소설 속 여성의 시작(詩作) 양상과 그 소통 -<소현성록>, <유씨삼대록>, <명행정의록>을 대상으로

A Study of Women's hanmun poetry in Korean roman-fleuves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 후기 문인들의 王守仁 文學에 대한 認識과 評價

The Realization And Criticism On WángShǒurén[王守仁]’s Litera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3 | 2011 | 한문비평

사행가사에 형상화된 타국의 수도(首都) 풍경과 지향성의 변모

The representation of foreign capitals and the changing aspiration mirrored in the Ga-sa of Envoys

어문논집 | 65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영남선비들의 여행과 공간감성 - 18세기 영남선비 淸臺 權相一의 사례를 중심으로 -

The Journey and the Space Sensitivity of Yeongnam classical scholar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동양한문학연구 | 31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영남선비들의 여행과 공간감성 - 18세기 영남선비 淸臺 權相一의 사례를 중심으로 -

The Journey and the Space Sensitivity of Yeongnam classical scholar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동양한문학연구 | 31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도시의 발달과 여성의 소비문화에 대한 담론의 성격

The Growth of Cities and the Characters of Discourses about Women's Consumption Culture in late Chosun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4 | 2012 | 한국어와문학

朝鮮後期 佛畵 草本 硏究

A Study on Outline Drawings for Buddhist Paintings during Late Joseon

동악미술사학 | 12 | 2011 | 기타예술체육

조선 후기 노비 가격의 구조와 수준, 1678-1889

Structure and Level of Slave Price in Late Choson Korea, 1678-1889

경제학연구 | 58 | 4 | 2010 | 경제학

조선 후기 노비 가격의 구조와 수준, 1678-1889

Structure and Level of Slave Price in Late Choson Korea, 1678-1889

경제학연구 | 58 | 4 | 2010 | 경제학

국사형 미술사의 영욕: 조선 후기 회화의 해석과 평가 문제

The Glory and Failure of a Nationalist Korean Art History: The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f Late Joseon Painting

美術史論壇 | 33 | 2011 | 미술

한시에 나타난 가족애의 한 양상 — 부녀 관계를 중심으로 —

An Aspect of Family Love Observed in Chinese Poem - Focused on Father-Daughter Relationship

온지논총 | 31 | 2012 | 기타인문학

동호거실에 나타난 自我意識 연구

A Study on Self-Consciousness in "Donghogeosil"

온지논총 | 29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과거제에서의 경전 경감 논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cussions concerning Reduction of the Classics in Civil Examinations in the Late Joseon-Dynasty

한국교육사학 | 32 | 1 | 2010 | 교육학

조선후기 과거제에서의 경전 경감 논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cussions concerning Reduction of the Classics in Civil Examinations in the Late Joseon-Dynasty

한국교육사학 | 32 | 1 | 2010 | 교육학

조선후기 과거·교육에서의 요행의 문제

A study on the problems of speculative drives in the aspects of education as well as in Gwageo during the late Choson Dynasty

교육학연구 | 48 | 4 | 2010 | 교육학

조선후기 과거·교육에서의 요행의 문제

A study on the problems of speculative drives in the aspects of education as well as in Gwageo during the late Choson Dynasty

교육학연구 | 48 | 4 | 2010 | 교육학

조선후기와 대한제국기의 외교 음악

Music for Diplomatic Ceremonies in Late Chosun Dynasty and Daehan Empire

음악과 문화 | 27 | 2012 | 음악학

조선후기 실학자의 신분제 인식과 음악활동

Awareness of the Status and Musical Activities of Sirhak Scholars during the Late Chosŏn Dynasty

한국음악사학보 | 45 | 2010 | 음악학

조선후기 실학자의 신분제 인식과 음악활동

Awareness of the Status and Musical Activities of Sirhak Scholars during the Late Chosŏn Dynasty

한국음악사학보 | | 45 | 2010 | 음악학

조선후기 ‘雜稅’ 연구의 현황과 과제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the Research on Miscellaneous Taxes in the Late Chosŏn Dynasty

규장각 | 36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雜稅’ 연구의 현황과 과제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the Research on Miscellaneous Taxes in the Late Chosŏn Dynasty

규장각 | | 36 | 2010 | 기타인문학

20세기 전후 서해안 대형 어선어업의 존재양상과 전개과정-충남 서천군 서면의 망선 어업을 중심으로-

Operating Process and Historical Changes of Fishery with Huge Ships Around 20th century in Korean Western Sea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Focusing on the case studies of ‘Net-ship’ in Seocheon-gun, Chungcheongnam-do-

『도서문화』 | 35 | 2010 | 기타인문학

20세기 전후 서해안 대형 어선어업의 존재양상과 전개과정-충남 서천군 서면의 망선 어업을 중심으로-

Operating Process and Historical Changes of Fishery with Huge Ships Around 20th century in Korean Western Sea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Focusing on the case studies of ‘Net-ship’ in Seocheon-gun, Chungcheongnam-do-

『도서문화』 | | 35 | 2010 | 기타인문학

18세기 가학家學 전승과 문중서당門中書堂

The Transmission of Family Scholarship and Family Schools in the 18th Century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 중국, 일본의 지방행정에 있어서 행정실무계층의 역할과 부패유발구조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Role of Public Practical Servants and the Corruption Structure in the Local Administration of Korea, China and Japan

한국비교정부학보 | 15 | 1 | 2011 | 행정학

朝鮮後期 佛畵 草本 硏究

A Study on Outline Drawings for Buddhist Paintings during Late Joseon

동악미술사학 | 12 | 2011 | 기타예술체육

大邱 桐華寺 소장 <사명당 진영>의 제작자와 제작연대

A Study on the Painter and Year of Creation of The Portrait of 'Samyeongdangdaejang' at Donghwasa Temple in Daegu

고문화 | 77 | 2011 | 역사학

17세기 후반 彫刻僧 勝浩의 활동과 불상 연구

A Study on Activities and Buddhist Statues of the Monk-Sculptor Seungho

禪文化硏究 | 8 | 2010 | 기타불교학

17세기 후반 彫刻僧 勝浩의 활동과 불상 연구

A Study on Activities and Buddhist Statues of the Monk-Sculptor Seungho

禪文化硏究 | | 8 | 2010 | 기타불교학

완주 대원사 대웅전 목조불상의 제작시기와 조각승 推論

Estimated construction time and the sculptor for Wooden Buddha in the main hall(DaeWoongJeon) of Dae-Won sa

문화사학 | 35 | 2011 | 문화사(역사학)

朝鮮後期文人들의 錢謙益批評

The Criticism on Qiánqiānyì(錢謙益) of the Literary Men in the Late Joseon(朝鮮)

대동문화연구 | 69 | 2010 | 기타인문학

朝鮮後期文人들의 錢謙益批評

The Criticism on Qiánqiānyì(錢謙益) of the Literary Men in the Late Joseon(朝鮮)

대동문화연구 | | 69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왕릉 정자각 내부 의물 연구 -『산릉도감의궤』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terior in the Jeongjagaks before Royal Mausoleum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Salleungdogam-euigue-

역사민속학 | 33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왕릉 정자각 내부 의물 연구 -『산릉도감의궤』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terior in the Jeongjagaks before Royal Mausoleum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Salleungdogam-euigue-

역사민속학 | | 33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화승 진영상

The Portraits of Monk Paint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강좌미술사 | 35 | 2010 | 미술

조선후기 화승 진영상

The Portraits of Monk Paint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강좌미술사 | | 35 | 2010 | 미술

조선후기 화조화와 에도시대 伊藤若冲화풍과의 연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Bird and Flower Paintings during Late Joseon and Ito Jakuchu’s Painting Style during the Edo Period

동양예술 | 18 | 2012 | 기타미술

조선후기 중부지역 상류주택 내 식(食)공간 구성에 대한 공간사회학적 의미분석

A Spatial-Sociological Analysis of Dining Space in Upper Class Housing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디자인학연구 | 24 | 3 | 2011 | 디자인

朝鮮 後期의 無刊記 刊本 ≪陶靖節集≫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aoJingJieJi(≪陶靖節集≫) Printed without Colophon during Late Joseon Era

중국어문논총 | 49 | 2011 | 중국어와문학

山雲 李亮淵의 詠史·懷古詩 硏究

A Study on Historical Epic and Reminiscent Poem of Sanwun Yi Yangyeon

漢文學報 | 22 | 2010 | 한문학

山雲 李亮淵의 詠史·懷古詩 硏究

A Study on Historical Epic and Reminiscent Poem of Sanwun Yi Yangyeon

漢文學報 | 22 | | 2010 | 한문학

17세기 후반 彫刻僧 勝浩의 활동과 불상 연구

A Study on Activities and Buddhist Statues of the Monk-Sculptor Seungho

禪文化硏究 | 8 | 2010 | 기타불교학

17세기 후반 彫刻僧 勝浩의 활동과 불상 연구

A Study on Activities and Buddhist Statues of the Monk-Sculptor Seungho

禪文化硏究 | | 8 | 2010 | 기타불교학

朝鮮後期 書畵收藏論 硏究― 서화수장에 대한 인식과 실제

Discourses on the Collecting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 Late Joseon

藏書閣 | 24 | 2010 | 역사학

朝鮮後期 書畵收藏論 硏究― 서화수장에 대한 인식과 실제

Discourses on the Collecting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 Late Joseon

藏書閣 | | 24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