沈宜麟의 『朝鮮童話大集』에 나타난 寓意의 유형과 그 의미
Allegory in the Great Collection of Fables from Joseon by Sim Eui-rin: Its Types and Meaning
동양고전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沈宜麟의 『朝鮮童話大集』에 나타난 寓意의 유형과 그 의미
Allegory in the Great Collection of Fables from Joseon by Sim Eui-rin: Its Types and Meaning
동양고전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일제시기 신문으로 살펴본 비구니의 활동과 지위
The Activities and Status of Buddhist Nuns in Newspaper Article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한국문화연구 |
18 |
2010 |
기타인문학
일제시기 신문으로 살펴본 비구니의 활동과 지위
The Activities and Status of Buddhist Nuns in Newspaper Article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한국문화연구 |
18 |
|
2010 |
기타인문학
1920년대 기녀 시조문학의 한 양상 연구 - 기생 잡지 <장한(長恨, 1927년)>에 수록된 시조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pects of Ginyeo Si-Jo literature in the 1920's
시조학논총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기녀 시조문학의 한 양상 연구 - 기생 잡지 <장한(長恨, 1927년)>에 수록된 시조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pects of Ginyeo Si-Jo literature in the 1920's
시조학논총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日帝强占期 普通學校 『朝鮮語及漢文讀本』의 性格 - 第一次 敎育令期 四學年 敎科書의 ‘練習’을 中心으로 -
Feature of 『Chosun-uh-gup-Hanmun-Dokbon』, Governmental Elementary School Textbook a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ing on Exercises of the Textbook for 4th Grade at 1st Educational Law Periods -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향토오락 진흥정책과 민속놀이의 전개 양상
The Indigenous Entertainment Promotion Policy and the Situation of Folk Entertainmen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by Force
비교민속학 |
44 |
2011 |
역사학
남북 통합 국어학사 서술의 필요성과 과제 ─ 일제강점기 ‘조선어학’의 학문적 계보와 국어학사 서술의 단절을 넘어 ─
The Necessity of the Description on Unified Korean Language Research and its Problems
아시아문화연구 |
26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 근대 미술사 연구와 한국 근대 미술시장사 연표
Chronology of the Modern Korean Art Market History
동양고전연구 |
46 |
2012 |
기타인문학
20세기 전반기 서양 대중음악의 수용과 양상 고찰 -재즈송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pects of Western Pop Song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 Focused on Korean Jazz Songs-
우리춤과 과학기술 |
6 |
3 |
2010 |
무용
20세기 전반기 서양 대중음악의 수용과 양상 고찰 -재즈송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pects of Western Pop Song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 Focused on Korean Jazz Songs-
우리춤과 과학기술 |
6 |
3 |
2010 |
무용
활자본 고소설의 <수호전> 수용 양상과 그 소설사적 의의
A Study on acceptant Shape of in classical novels with printed book and it's novel-historical Significance
한국문학논총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활자본 고소설의 <수호전> 수용 양상과 그 소설사적 의의
A Study on acceptant Shape of in classical novels with printed book and it's novel-historical Significance
한국문학논총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영화 광고를 통해 본 해방기 영화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Films of the Liberation Era Appeared in Cinema Advertising
아시아문화연구 |
26 |
2012 |
기타인문학
日帝强占期 『國語讀本』에 投影된 軍事敎育
A Military Discipline Revealed in Textbook on Japanese in Japanese Imperialism
일본어문학 |
56 |
2012 |
일본어와문학
우리나라 초기 언론학 교육의 출현과 그 성격
Appearance and It’s Characteristics of Early Journalism Education in Korea
한국언론학보 |
56 |
1 |
2012 |
신문방송학
‘지명’과 ‘길’로 읽는 근대도시 대전의 형성과 변천 - 일제강점기와 그 전ㆍ후 시기를 중심으로 -
Reading 'Daejeon' as a Modern City through Place Names and Road Networks
국토지리학회지 |
45 |
3 |
2011 |
지리학
1920~1930년대 대중잡지의 어휘소개에 대하여 - 현황과 명칭의 검토를 중심으로 -
About Popular magazines’s Vocabulary section from 1920s to 1930s - Focused on Current State of Inventory and Name of Title -
한국학연구 |
38 |
2011 |
기타인문학
1920~1930년대 대중잡지의 어휘소개에 대하여 - 현황과 명칭의 검토를 중심으로 -
About Popular magazines’s Vocabulary section from 1920s to 1930s - Focused on Current State of Inventory and Name of Title -
한국학연구 |
38 |
2011 |
기타인문학
奧田悌의 『慶州誌』 발간의 역사적 성격
The study on Gyeongju town chronicles compiled with Okuda-yasushi
동국사학 |
51 |
2011 |
역사학
원불교 사회복지의 시원(始原)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Origin of Social Welfare in Won-Buddhism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0 |
2011 |
원불교학
조선총독부가 1913년에 전국적으로 실시한 조선설화조사자료의 발굴과 그에 따른 해제 및 설화학적 검토
A Study on the Nationwide Excavation of Folktales of Joseon Dynasty Conduc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1913 and its Annotation as well as Folkloristic Considerations
비교민속학 |
48 |
2012 |
역사학
日帝强占期 일본어교과서에 나타난 天皇像 -朝鮮總督府 編纂 『國語讀本』을 중심으로-
日本語文學 |
1 |
54 |
2012 |
일본어와문학
‘지명’과 ‘길’로 읽는 근대도시 대전의 형성과 변천 - 일제강점기와 그 전ㆍ후 시기를 중심으로 -
Reading 'Daejeon' as a Modern City through Place Names and Road Networks
국토지리학회지 |
45 |
3 |
2011 |
지리학
우리나라 초기 언론학 교육의 출현과 그 성격
Appearance and It’s Characteristics of Early Journalism Education in Korea
한국언론학보 |
56 |
1 |
2012 |
신문방송학
근대 이후 이순신 인물 서사 변화 과정의 의미 연구
The Process of Change about the Story of Admiral Lee Soonshin after the Modern Enlightenment Times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여가와 관광개념 형성에 투영된 모더니티와 오리엔탈리즘의 변증법 -일제강점기 사례 연구-
The Dialectics of Modernity and Orientalism Reflected on the Formation of the Leisure and Tourism Pattern: A Case Study of the Japan Ruling-era
관광학연구 |
36 |
6 |
2012 |
관광학
한국 마라톤의 전개와 민족사적 의의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Marathons in Korea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20 |
3 |
2012 |
체육
韓․日間國際觀光交流史に関する研究
Study of Modern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n Tourism
관광연구 |
26 |
4 |
2011 |
관광학일반
문학 교육을 위한 강경애 『인간문제』의 인지론적 연구
Recognitive Study on Kyung-ae Kang's "Human Problems" for Literacy Education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 교육을 위한 강경애 『인간문제』의 인지론적 연구
Recognitive Study on Kyung-ae Kang's "Human Problems" for Literacy Education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상 문학의 불안과 마키노 신이치(牧野信一) 문학의 방법
Anxiety in Lee-Sang's Literature and Makino-Shinichi(牧野信一)
일본근대학연구 |
36 |
2012 |
일본문화학
재미 한인의 연극 활동 연구 -일제강점기 『新韓民報』,『國民報』 보도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lay Activity of the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 focus on 『The New Korea』 and 『The Korean National Herald』
우리어문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石洲 李相龍의 漢詩 硏究
A study of Seog-ju(石州) Lee Sang-ryong(李相龍)’s Chinese poetry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3 |
2011 |
한문비평
강경애 「소금」의 개념적 은유 접근 방법
Conceptual Metaphor Approach of Kyung-ae Kang's "The Salt"
인문학연구 |
41 |
2011 |
기타인문학
재미 한인의 연극 활동 연구 -일제강점기 『新韓民報』,『國民報』 보도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lay Activity of the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 focus on 『The New Korea』 and 『The Korean National Herald』
우리어문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唱歌에 나타난 修身교육 -조선총독부편찬 『新編唱歌集』, 『普通學校唱歌書』를 중심으로-
Moral education in Changga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 Focused on ‘Sinpyeonchanggajip’, ‘Botonghakgyochanggaseo’ Compiledby Chosunchongdokbu -
日本語敎育 |
|
53 |
2010 |
일본어와문학
일제 강점기에 대한 국사 교과서의 내러티브
The Narrative of Korean History Textbooks o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역사교육연구 |
12 |
2010 |
역사교육
일제 강점기에 대한 국사 교과서의 내러티브
The Narrative of Korean History Textbooks o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역사교육연구 |
|
12 |
2010 |
역사교육
일제시기 사범교육기관의 설립과 대만인 교사양성제도
The formation of Taiwanese teacher training system And its change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중앙사론 |
35 |
2012 |
역사학
일제시기 사범교육기관의 설립과 대만인 교사양성제도
The formation of Taiwanese teacher training system And its change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중앙사론 |
35 |
2012 |
역사학
「매일신보」를 통해서 본 검도기사 연구
The study on Kumdo articles through 「Maeil shinbo」
대한무도학회지 |
12 |
2 |
2010 |
무도학
「매일신보」를 통해서 본 검도기사 연구
The study on Kumdo articles through 「Maeil shinbo」
대한무도학회지 |
12 |
2 |
2010 |
무도학
한국 근대의 고미술품 수장가 : 치과의사 함석태
An Antique Art Collector of Modern Korea: Dentist Ham Seok-Tae
서울과 역사 |
76 |
2010 |
역사학
한국 근대의 고미술품 수장가 : 치과의사 함석태
An Antique Art Collector of Modern Korea: Dentist Ham Seok-Tae
서울과 역사 |
|
76 |
2010 |
역사학
한국 근대시에 나타난 일본 체험 양상
Aspects of Japan Experience in Modern Korean Poetry
한국시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근대시에 나타난 일본 체험 양상
Aspects of Japan Experience in Modern Korean Poetry
한국시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개항∼일제강점 초기 경성의 재조선 일본인 교육기관과 경성학교조합 설립
Establishment of Japanes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Kyeongseong-Hakgyojohap ("School Union") in Seoul from 1876 to 1914.
서울과 역사 |
79 |
2011 |
역사학
일제하 종묘를 둘러싼 세력 갈등과 공간 변형 -1920년대 식민 권력과 귀족 세력의 관계를 중심으로-
A historical study on the conflict of related forces and transition of national shrine(Jong Myo, 宗廟)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ing on the relations of the Joseon aristocracy and colonial power in 1920’s
서울학연구 |
43 |
2011 |
기타인문학
일제강점기 일제 관료의 ‘조선인의 일본어학습 능력’에 대한 인식 고찰
The Study of Awareness of colonial officials ‘Koreans’ ability to learn Japanese' in Colonial Rule
일본어문학 |
51 |
2010 |
일본어와문학
일제강점기 일제 관료의 ‘조선인의 일본어학습 능력’에 대한 인식 고찰
The Study of Awareness of colonial officials ‘Koreans’ ability to learn Japanese' in Colonial Rule
일본어문학 |
|
51 |
2010 |
일본어와문학
日帝强占期 古代佛敎史 硏究傾向과 性格
The Research trends and its characteristics about the Ancient Buddhist his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보조사상 |
38 |
2012 |
종교학
심연수 시조의 고향의식 연구
Study for Nostalgia in Yeon Soo, Shim's Sijo
한중인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심연수 시조의 고향의식 연구
Study for Nostalgia in Yeon Soo, Shim's Sijo
한중인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문학적 글쓰기론의 전개 과정
The Development Process of Writing Theory about Literary Works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우리말글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문학적 글쓰기론의 전개 과정
The Development Process of Writing Theory about Literary Works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우리말글 |
48 |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본침략및강점기에 대한주변국들의역사인식 -한국, 중국, 대만고등학교 역사교과서를중심으로
Perception of modern Japanese invasion in Korea, Chinese and Taiwanese high school textbooks
역사교육연구 |
13 |
2011 |
역사교육
한국 현대시교육의 형성 과정 연구
Historical Studies on the Foundation of Korean Modern Poetry Education
국어교육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 근대의 고미술품 수장가 : 치과의사 함석태
An Antique Art Collector of Modern Korea: Dentist Ham Seok-Tae
서울과 역사 |
76 |
2010 |
역사학
한국 근대의 고미술품 수장가 : 치과의사 함석태
An Antique Art Collector of Modern Korea: Dentist Ham Seok-Tae
서울과 역사 |
|
76 |
2010 |
역사학
일제 강점기 여성 이미지의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 Transition of Women's Image in the Period of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기초조형학연구 |
12 |
4 |
2011 |
예술일반
일제강점기 초기 학부형의 사회적 신분에 대한 일고찰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parents' social status in the early years of Japanese colonial period
교육학연구 |
50 |
1 |
2012 |
교육학
일제강점기 사할린의 한국인 이주
Korean Immigrants in Sakhali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한국 시베리아연구 |
15 |
1 |
2011 |
러시아
한국한문학연구의 문화적 지평과 그 연구 방향의 모색-김동인의 야담작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그 문학성-
A Review on the Kim, Dongin[金東仁]'s historical romance[野談]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
일제강점기 사할린의 한국인 이주
Korean Immigrants in Sakhali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한국 시베리아연구 |
15 |
1 |
2011 |
러시아
조선족 소설에 나타난 민족해방운동에 관한 두 시각 -<해란강아 말하라>와 <고난의 년대>를 중심으로-
Two Views to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Observed in Chinese‐Korean Novels
한중인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20세기 전후 서해안 대형 어선어업의 존재양상과 전개과정-충남 서천군 서면의 망선 어업을 중심으로-
Operating Process and Historical Changes of Fishery with Huge Ships Around 20th century in Korean Western Sea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Focusing on the case studies of ‘Net-ship’ in Seocheon-gun, Chungcheongnam-do-
『도서문화』 |
35 |
2010 |
기타인문학
20세기 전후 서해안 대형 어선어업의 존재양상과 전개과정-충남 서천군 서면의 망선 어업을 중심으로-
Operating Process and Historical Changes of Fishery with Huge Ships Around 20th century in Korean Western Sea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Focusing on the case studies of ‘Net-ship’ in Seocheon-gun, Chungcheongnam-do-
『도서문화』 |
|
35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총독부의 ‘국어보급운동’에 대한 오피니언 분석 ―『오사카아사히신문』조선판『반도의 소리』를 중심으로 ―
朝鮮総督府の「国語普及運動」に対するオピニオン分析
일본연구 |
32 |
2012 |
일본어와문학
조선총독부의 ‘국어보급운동’에 대한 오피니언 분석 ―『오사카아사히신문』조선판『반도의 소리』를 중심으로 ―
朝鮮総督府の「国語普及運動」に対するオピニオン分析
일본연구 |
32 |
2012 |
일본어와문학
한국 근대시에 나타난 일본 체험 양상
Aspects of Japan Experience in Modern Korean Poetry
한국시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근대시에 나타난 일본 체험 양상
Aspects of Japan Experience in Modern Korean Poetry
한국시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 강점기 한민족 출판 연구
A Study on Korean People’s Publishing of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한국출판학연구 |
36 |
2 |
2010 |
신문방송학
일제 강점기 한민족 출판 연구
A Study on Korean People’s Publishing of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한국출판학연구 |
36 |
2 |
2010 |
신문방송학
일제 강점 후기 연극 제도의 변화 양상과 그 의미 - 이동극단, 위문대를 중심으로 -
Patterns and Meaning of Changes in The Institution of Theatre During Colonial Period
인문과학연구 |
30 |
2011 |
기타인문학
일제강점기 사상범에 대한 형사사법절차 - ‘이재유의 조선공산당재건 경성지방협의회사건’을 중심으로 -
日帝強制占領期の思想犯に対する刑事司法手続 - ‘李載裕の朝鮮共産党再建 京城地方協議会事件’を中心に-
성균관법학 |
24 |
2 |
2012 |
법학
일제식민지시기 대만 원주민(原住民) 교육정책과 미술교육
The Education Policy and Art Education of the Natives of Taiwan in Japanese Colonial Period
미술교육논총 |
25 |
3 |
2011 |
미술
일제강점기 자화상 시편에 대한 정신분석
Psychoanalysis analysis of poet portraits Japanese colonial era
한국학연구 |
42 |
2012 |
기타인문학
일제식민지시기 대만의 교육정책과 미술교육 - 공학교(公學校) 도화교육(圖畵敎育)을 중심으로 -
Education Policy and Art Education of Taiwa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ing on Fine Art Education of Public School
미술교육논총 |
24 |
3 |
2010 |
미술
일제식민지시기 대만의 교육정책과 미술교육 - 공학교(公學校) 도화교육(圖畵敎育)을 중심으로 -
Education Policy and Art Education of Taiwa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ing on Fine Art Education of Public School
미술교육논총 |
24 |
3 |
2010 |
미술
일제강점기 고구려 발해 유적조사와 그 의미 : 서울대학교 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search of Koguryo & Balhae Sites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고구려발해연구 |
38 |
2010 |
한국고대사
일제강점기 고구려 발해 유적조사와 그 의미 : 서울대학교 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search of Koguryo & Balhae Sites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고구려발해연구 |
38 |
|
2010 |
한국고대사
일제강점기‘금석병용기’에 대한 일고찰
A Study on‘ Kinsekiheiyouki(Chalcolithic Period)’under Japanese colonization
한국상고사학보 |
68 |
68 |
2010 |
역사학
일제강점기‘금석병용기’에 대한 일고찰
A Study on‘ Kinsekiheiyouki(Chalcolithic Period)’under Japanese colonization
한국상고사학보 |
68 |
68 |
2010 |
역사학
일제강점기의 식문화 지속과 변용
The Sustenance and Variation of Korean Food Culture from the Period of Enlightenment to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남도민속연구 |
20 |
2010 |
역사학
일제강점기의 식문화 지속과 변용
The Sustenance and Variation of Korean Food Culture from the Period of Enlightenment to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남도민속연구 |
|
20 |
2010 |
역사학
일제 강점기를 내용으로 하는 평가 문항 분석과 역사상
Item Analysis in the Test of Japan Occupation and Students' Historical Image
역사교육논집 |
46 |
2011 |
역사학
일제강점기 ‘石器時代’의 조사와 인식
The survey and understanding of the ‘Stone Age’ in Japanese Occupation Period
선사와 고대 |
33 |
2010 |
역사학
일제강점기 ‘石器時代’의 조사와 인식
The survey and understanding of the ‘Stone Age’ in Japanese Occupation Period
선사와 고대 |
|
33 |
2010 |
역사학
일본인의 신라고분 조사
The research of Silla Ancient Tombs by Japanese
선사와 고대 |
33 |
2010 |
역사학
일본인의 신라고분 조사
The research of Silla Ancient Tombs by Japanese
선사와 고대 |
|
33 |
2010 |
역사학
일제강점기 안동인의 역사저술과 역사인식
Historical Description and Perception of Andonger in Japanese colonial era
국학연구 |
20 |
2012 |
기타인문학
일제강점기 초등 ‘국사’교과서에 수록된 삽화의 현황과 특징
Characteristics on the Pictures of History Textbook during Japanese Occupation Period
역사교육 |
118 |
2011 |
역사학
문학을 활용한 일제 강점기 역사문화 교육-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Korean History Education leveraged by Korean Literature written ov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한국언어문화학 |
7 |
1 |
2010 |
한국어교육학
문학을 활용한 일제 강점기 역사문화 교육-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Korean History Education leveraged by Korean Literature written ov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한국언어문화학 |
7 |
1 |
2010 |
한국어교육학
일제하 한국법률가의 활동과 평가
Roles and Evaluation of the Korean Lawyers during the Japanese Ruling Period
법제연구 |
39 |
2010 |
법학
일제하 한국법률가의 활동과 평가
Roles and Evaluation of the Korean Lawyers during the Japanese Ruling Period
법제연구 |
|
39 |
2010 |
법학
재만조선인 심연수 시의 디아스포라 문학 특성 연구
A Study on Literary Quality of Diaspora of The Poems of Shim Yeon-su, A Chosun Poet in Manchuria
새국어교육 |
86 |
2010 |
국어교육
재만조선인 심연수 시의 디아스포라 문학 특성 연구
A Study on Literary Quality of Diaspora of The Poems of Shim Yeon-su, A Chosun Poet in Manchuria
새국어교육 |
|
86 |
2010 |
국어교육
근대소설의 귀향과 여로 모티프 비교 연구 - 주요한의 「마을 집」과 염상섭의 「만세전」, 양건식의「슬픈 모순」과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상호 비교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n the motifs of Modern novel - Comparison between 「Maeuljip」 by Ju Yo-han and 「Mansejeon」 by Yeom Sang-seop, and 「Seulpeun Mosun」 by Yang Geon-sik and 「Soseolga Gubossieui ilil」 by Park Tae-won -
한국언어문학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소설의 귀향과 여로 모티프 비교 연구 - 주요한의 「마을 집」과 염상섭의 「만세전」, 양건식의「슬픈 모순」과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상호 비교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n the motifs of Modern novel - Comparison between 「Maeuljip」 by Ju Yo-han and 「Mansejeon」 by Yeom Sang-seop, and 「Seulpeun Mosun」 by Yang Geon-sik and 「Soseolga Gubossieui ilil」 by Park Tae-won -
한국언어문학 |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日帝强占期 中國語 敎材에 나타나는 介詞 硏究
韓國日帝强占時期漢語敎材中的介詞硏究
동아인문학 |
22 |
2012 |
기타인문학
일제말 군국가요(軍國歌謠)의 발표현황과 실태
Publishing Status and Actual Condition of Militant Songs in the Later Japanese Forced-ruling Period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日帝 强占期 漢詩 小考
The Study about the Chinese Poetry in the Japanese Ruling Era
인문과학 |
45 |
2010 |
기타인문학
日帝 强占期 漢詩 小考
The Study about the Chinese Poetry in the Japanese Ruling Era
인문과학 |
|
45 |
2010 |
기타인문학
일제강점기 화가들의 갈등과 선택 - 호남 전통화가를 중심으로 -
Painters' Conflicts and Choic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 Centering on Traditional Painters in Honam
인문과학연구 |
28 |
2011 |
기타인문학
일제강점기 가요시 장르의 문학사적 가치
The Value in a Literary History of the Gayosi Genre in Japanese Forced-ruling Period
인문연구 |
60 |
2010 |
기타인문학
일제강점기 가요시 장르의 문학사적 가치
The Value in a Literary History of the Gayosi Genre in Japanese Forced-ruling Period
인문연구 |
|
60 |
2010 |
기타인문학
日帝强占期 以文會의 結成과 活動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Imunhoi(以文會) in Japanese Occupation Period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인 단체의 연극 활동 연구 -일제강점기 동북아시아 민족 단체 및 연극 단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lay Activity of the Korean Organization -focus on the Nation group and Theatrical group in the Northeast Asia of the Japan Occupation-
한국극예술연구 |
34 |
2011 |
예술체육학
경성후생실내악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yŏngsŏng Chamber Orchestra
한국음악사학보 |
48 |
2012 |
음악학
일제강점기 국악 관련 학술적 연구 경향 고찰 - 신문잡지 게재 글에 기하여 -
A Study of Tendency on Korean Musicology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Based on the Articles on NewspaperㆍMagazine -
한국음악사학보 |
48 |
2012 |
음악학
일제강점기의 조선 불교미술 조사와 복원- 한국 불교미술 연구의 출발점 -
The Investigation and Restoration of Joseon Buddhist Ar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미술사와 시각문화 |
9 |
2010 |
미술
일제강점기의 조선 불교미술 조사와 복원- 한국 불교미술 연구의 출발점 -
The Investigation and Restoration of Joseon Buddhist Ar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미술사와 시각문화 |
|
9 |
2010 |
미술
일제 강점기 우리나라 여성의 머리모양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Process of Changes of Korean Women's Hair Styl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동양예술 |
19 |
2012 |
기타미술
1937년 일본군의 중국 난징 점령 관련 한국언론의 보도태도 :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기사를 중심으로
The report attitude of the Korean press on Nanjing, China occupation by the Japanese in 1937 : Focused on the related articles in 『Dong A Ilbo』 and 『Chosun llbo』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
14 |
1 |
2010 |
인터넷신문/방송
1937년 일본군의 중국 난징 점령 관련 한국언론의 보도태도 :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기사를 중심으로
The report attitude of the Korean press on Nanjing, China occupation by the Japanese in 1937 : Focused on the related articles in 『Dong A Ilbo』 and 『Chosun llbo』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
14 |
1 |
2010 |
인터넷신문/방송
문학을 활용한 일제 강점기 역사문화 교육-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Korean History Education leveraged by Korean Literature written ov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한국언어문화학 |
7 |
1 |
2010 |
한국어교육학
문학을 활용한 일제 강점기 역사문화 교육-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Korean History Education leveraged by Korean Literature written ov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한국언어문화학 |
7 |
1 |
2010 |
한국어교육학
文學現代性的建立:二○年代台灣文學論的啟蒙內容及其結構
The Construction Literature Modernity : Analyzing Taiwan Modern Literature Theory
한중언어문화연구 |
22 |
2010 |
중국어와문학
文學現代性的建立:二○年代台灣文學論的啟蒙內容及其結構
The Construction Literature Modernity : Analyzing Taiwan Modern Literature Theory
한중언어문화연구 |
|
22 |
2010 |
중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최승희 무용연구소 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ities of Choi Seung‐hee Dance Research Institute during the Perio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우리춤과 과학기술 |
6 |
3 |
2010 |
무용
일제강점기 최승희 무용연구소 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ities of Choi Seung‐hee Dance Research Institute during the Perio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우리춤과 과학기술 |
6 |
3 |
2010 |
무용
인구지표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도시화 성격 : 일제 강점기와 그 전후(前後) 시기의 비교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Urbanization Based on Population Indices: Compa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ith Its Front and Rear Periods
한국지역개발학회지 |
23 |
2 |
2011 |
국제/지역개발
1930년대 전반기 재조 일본인 교사의 역사교육 인식과 수업실천 양상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History Education and the Class Practice of Japanese Elementary School Teachers Living in Chosun during the early 1930's
역사문화연구 |
42 |
2012 |
역사학
일제시대 사상통제제도에 관한 역사적 고찰
A Historical Review of Thought Control System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경찰학논총 |
5 |
2 |
2010 |
경찰행정
일제시대 사상통제제도에 관한 역사적 고찰
A Historical Review of Thought Control System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경찰학논총 |
5 |
2 |
2010 |
경찰행정
일제시대 학교제도의 체계화 -제2차 조선교육령 개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of School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ed on the Enactment of the Second Chosen Educational Ordinance-
한국교육사학 |
32 |
1 |
2010 |
교육학
일제시대 학교제도의 체계화 -제2차 조선교육령 개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of School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ed on the Enactment of the Second Chosen Educational Ordinance-
한국교육사학 |
32 |
1 |
2010 |
교육학
1910년대 사립보통학교의 성격 연구
A Study on the Private Primary School in the 1910s
한국교육사학 |
33 |
2 |
2011 |
교육학
인구지표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도시화 성격 : 일제 강점기와 그 전후(前後) 시기의 비교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Urbanization Based on Population Indices: Compa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ith Its Front and Rear Periods
한국지역개발학회지 |
23 |
2 |
2011 |
국제/지역개발
일제강점기 대중가요에 나타난 가족의 양상 고찰
A Study on the Aspects of the Family in Popular Song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구비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대중가요에 나타난 가족의 양상 고찰
A Study on the Aspects of the Family in Popular Song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구비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일본인과 조선인의 온돌관*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주거 문화 관련 자료집을 중심으로-
The view on Ondol between Japanese and Korean people during the Japanese ruling era -Focused onA Source Book Related To Housing Cultureedited by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실천민속학 연구 |
18 |
2011 |
역사학
‘가족’과 ‘고향’ 모티프의 시적 양상-이용악론
A Study on Lee, Yong-ag's Poems: On Poetic Aspect of 'Family' and 'Hometown' Motifs
새국어교육 |
84 |
2010 |
국어교육
‘가족’과 ‘고향’ 모티프의 시적 양상-이용악론
A Study on Lee, Yong-ag's Poems: On Poetic Aspect of 'Family' and 'Hometown' Motifs
새국어교육 |
|
84 |
2010 |
국어교육
일제 강점기 松田甲의 한문학 연구에 대하여
A study on the Chosun-Chinese literature research of MATSUDA Kou (1868-1945)
漢文學報 |
22 |
2010 |
한문학
일제 강점기 松田甲의 한문학 연구에 대하여
A study on the Chosun-Chinese literature research of MATSUDA Kou (1868-1945)
漢文學報 |
22 |
|
2010 |
한문학
일제강점기 정다산丁茶山 재발견의 의미 -신문·잡지의 논의를 통한 시론試論-
The Meaning of Rediscovery of Tasan Cheong Yagyong in Japanese Imperialism Era
다산학 |
17 |
2010 |
인문학
일제강점기 정다산丁茶山 재발견의 의미 -신문·잡지의 논의를 통한 시론試論-
The Meaning of Rediscovery of Tasan Cheong Yagyong in Japanese Imperialism Era
다산학 |
|
17 |
2010 |
인문학
야담잡지를 통한 역사소설가로서의 김동인 재조명: 일제강점기 단군 소설화 양상과 관련하여
The reillustration of the Kim Dong-in as a historical novelist through an unofficial historical story: On the feature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period's Dangun novelization
비교문학 |
57 |
2012 |
인문학
‘가족’과 ‘고향’ 모티프의 시적 양상-이용악론
A Study on Lee, Yong-ag's Poems: On Poetic Aspect of 'Family' and 'Hometown' Motifs
새국어교육 |
84 |
2010 |
국어교육
‘가족’과 ‘고향’ 모티프의 시적 양상-이용악론
A Study on Lee, Yong-ag's Poems: On Poetic Aspect of 'Family' and 'Hometown' Motifs
새국어교육 |
|
84 |
2010 |
국어교육
한인 단체의 연극 활동 연구 -일제강점기 동북아시아 민족 단체 및 연극 단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lay Activity of the Korean Organization -focus on the Nation group and Theatrical group in the Northeast Asia of the Japan Occupation-
한국극예술연구 |
34 |
2011 |
예술체육학
일제시기 한국영화 스타일 연구: 발굴된 극영화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yle of Korean Films from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 on the Feature Films Unearthed
영상기술연구 |
1 |
16 |
2012 |
예술일반
일제식민지시기 대만 사범학교 미술교육 - 제도적 측면을 중심으로 -
A study of Art educational System at Taiwanese Normal School'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미술교육논총 |
26 |
2 |
2012 |
미술
1920년대 거제지역 청년운동 연구
Youth movement in Geoje Island in 1920’s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1 |
2012 |
역사학
일제시대 학교제도의 체계화 -제2차 조선교육령 개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of School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ed on the Enactment of the Second Chosen Educational Ordinance-
한국교육사학 |
32 |
1 |
2010 |
교육학
일제시대 학교제도의 체계화 -제2차 조선교육령 개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of School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ed on the Enactment of the Second Chosen Educational Ordinance-
한국교육사학 |
32 |
1 |
2010 |
교육학
일제시대 교육과정 제시 체계와 초등 교육과정의 변천
日帝時代における敎育課程の提示體系と初等敎育課程の變遷
교육사학연구 |
20 |
2 |
2010 |
교육사학
일제시대 교육과정 제시 체계와 초등 교육과정의 변천
日帝時代における敎育課程の提示體系と初等敎育課程の變遷
교육사학연구 |
20 |
2 |
2010 |
교육사학
일제시대 보통학교 「직업」교과의 도입과 그 성격
日帝時代における普通學校の「職業科」の導入とその性格
교육사학연구 |
21 |
2 |
2011 |
교육사학
『朝鮮の敎育硏究』를 통해 본 일제시대 초등 역사수업의 실제 양상
A Study on the Practical Aspects of Elementary History Clas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Study on the Education of Choson(朝鮮の敎育硏究)』
사회과교육연구 |
19 |
2 |
2012 |
사회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