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A020000 인문학 > 역사학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403
한자 : 解放期
영어 : liberation period
영어 : period of liberation
용어관계 |
관련용어 |
|||
유형 |
관계명 |
관계속성 |
클래스명 |
용어명 |
R3:시간적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
|
|
『신시론』의 작품들에 나타난 모더니즘 성격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odernistic Poetry in The Sinsiron
우리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식민과 해방; 두 ‘탑’ 사이의 거리 -발굴 작품을 중심으로 본 오장환의 해방기 시-
Colonization and Liberation; Distance between Two 'Pagodas' -Oh, Jang-hwan's poems in the liberation period, focusing on unearthed ones-
어문논집 | 64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태준 : 해방기 중간파 문학자의 초상
Yi Tae-Jun: A Portrait of the Neutral Literator in the Liberation Period
한국현대문학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태준 : 해방기 중간파 문학자의 초상
Yi Tae-Jun: A Portrait of the Neutral Literator in the Liberation Period
한국현대문학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시를 통해 본 ‘귀환’문제 고찰 : 강제징용을 중심으로
解放初期诗歌中的归还情节 : 强迫征用为中心
한국학연구 | 25 | 2011 | 기타인문학
해방기 시의 정전화 양상 -≪시집≫과 ≪현대조선명시선≫을 중심으로-
The Canonizing Features of the Poems in the Period of Liberation -focusing on the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시의 정전화 양상 -≪시집≫과 ≪현대조선명시선≫을 중심으로-
The Canonizing Features of the Poems in the Period of Liberation -focusing on the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1970년대 이전의 노인교육 발전과정 연구
The study of Developmental Process of Education for Old Adult before 1970s.
교육연구논총 | 32 | 1 | 2011 | 교육사회학
김영석 소설 연구 -생산의 문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Kim Young Seok’s Novels
현대소설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영석 소설 연구 -생산의 문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Kim Young Seok’s Novels
현대소설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시에 나타난 가족 충동과 그 의미
A Study on the Family Impulsion and its Meaning Mention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1945∼50)
어문학 | 112 | 2011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시에 나타난 윤리의식과 국가의 문제 -오장환과 서정주의 해방기 시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The Problems of Ethical Consciousness and the Nation represented in poems in the Liberating period. -Based upon the comparison between Oh Jang-whan's and Seo Jung-joo's poems
어문론총 | 56 | 2012 | 한국어와문학
해방 이후 문학 장의 재편과 이태준 -「해방전후」와 「먼지」를 중심으로-
The reorganization of the literary field after the Liberation and Lee, Tae-joon
어문논집 | 64 | 2011 | 한국어와문학
박남수론:한 월남 문인의 이력과 ‘純粹’의 이면 ― 수기와 전집 미수록 시를 중심으로
Essay of Park, Nam–Soo : The History of Writer who goes to South Korea and Hidden Side of His ‘Purity’ – Focus on the Memoirs and not Included Works of Park, Nam–Soo’s Complete Works
한국시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박인환 시의 정치적 아우라와 전향의 반향
The Political Aura of Park In-hwan’s Poems and the Response of his Ideological Conversion in the Liberation Period
반교어문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중립의 꿈 1945~1968 ― 냉전 너머의 아시아, 혹은 최인훈론을 위한 시론
The Vision of Neutralism 1945~1968 : Asia Beyond the Cold War Regime, or Notes on Choi In-hoon's Fictions
상허학보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인천의 지역문학과 매체
Regional Literature and Sociology of Media at Incheo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영주어문 | 19 | 2010 | 기타국문학
해방기 인천의 지역문학과 매체
Regional Literature and Sociology of Media at Incheo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영주어문 | 19 | | 2010 | 기타국문학
설정식의 초기 시 연구
A Study of Seol Jung Shik's early Poetries
한국문예비평연구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탈식민의 욕망과 상상력의 결여 -해방기 ‘경성대학’을 중심으로-
A Study on Post-Colonial Desire and Lack of Imagination -the case of Kyungsung University in the Liberation Period-
한국문학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 현대시교육의 형성 과정 연구
Historical Studies on the Foundation of Korean Modern Poetry Education
국어교육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환멸의 정조와 상상적 탈주: 정비석의 해방기 소설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Feelings of disillusionment and the Imaginative escape in the Period of Emancipation - Focused on Cheong, Bi-seok's novels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출판시장에서 이광수의 위상
Yi Gwang-su's Positions and Values of Publication Market after Liberation to 1950.
민족문화연구 | 52 | 2010 | 기타인문학
해방기 출판시장에서 이광수의 위상
Yi Gwang-su's Positions and Values of Publication Market after Liberation to 1950.
민족문화연구 | | 52 | 2010 | 기타인문학
해방기 신석정의 방황과 시적 편력
Shin, Seog-jeong's Wandering and Poetic Involvement in the Liberation Period
한국시학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해방 후 문화적 본질주의 글쓰기 양상 연구 -김동리의 [백민] 활동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a writing aspect on cultural essentialism after the liberatio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 후 문화적 본질주의 글쓰기 양상 연구 -김동리의 [백민] 활동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a writing aspect on cultural essentialism after the liberatio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의 변화와 여성 교양인의 운명 -김남천의 연작소설 <사랑의 수족관>과 <1945년 8.15>에 대하여-
Changes In the Age of Liberation and Destiny of Educated Women -Study on Kim, Nam-Cheon's Novels
여성문학연구 | 25 | 2011 | 한국어와문학
해방 후 김기림의 한글 전용 논의에 대하여(Ⅰ) - 논의의 맥락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On the Discussion on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of Kim Girim in the Liberation Period(Ⅰ)
우리어문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배반’으로서의 국가 혹은 ‘난민’으로서의 인민: 해방기 귀환의 지정학과 귀환자의 정치성
The State's Betrayal or People as Refugees: The Geopolitics of Repatriation and the Politicity of the Repatriates in the Period of Liberation
상허학보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배반’으로서의 국가 혹은 ‘난민’으로서의 인민: 해방기 귀환의 지정학과 귀환자의 정치성
The State's Betrayal or People as Refugees: The Geopolitics of Repatriation and the Politicity of the Repatriates in the Period of Liberation
상허학보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시의 자연표상과 이념
Natural Representation and Ideologie 0f Poetry in the Period of Liberation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시의 자연표상과 이념
Natural Representation and Ideologie 0f Poetry in the Period of Liberation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혁명가를 바라보는 여성작가의 시선 -지하련의 「도정」, 한무숙의 「허물어진 환상」을 중심으로
Feministic Perspective of Revolutionists; Overturn of Male-centered Revolution Epics —With Focus on the Texts of Ji Ha-ryeon and Han Mu-sook—
반교어문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아동문학교육 연구
Research on the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of Korean Liberation Period
청람어문교육 | 41 | 2010 | 국어교육
해방기 아동문학교육 연구
Research on the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of Korean Liberation Period
청람어문교육 | | 41 | 2010 | 국어교육
해방기 순수문학 논쟁에 드러나는 탈근대성 연구
A Study on the Post-modernity that Appears in a Pure Literary Debate in Liberation Time
겨레어문학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탐정소설 연구
A Study on Publication Situation and Peculiarities of Detective Story Books in Publication Market from the Liberation to Korean War
동양학 | 48 | 2010 | 기타인문학
해방기 탐정소설 연구
A Study on Publication Situation and Peculiarities of Detective Story Books in Publication Market from the Liberation to Korean War
동양학 | | 48 | 2010 | 기타인문학
영화 광고를 통해 본 해방기 영화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Films of the Liberation Era Appeared in Cinema Advertising
아시아문화연구 | 26 | 2012 | 기타인문학
해방기 역사소재 대중극 연구 -김춘광, 박로아의 희곡을 중심으로-
A Study on Popular Drama on the basis of history in the Era of Liberation
한국연극학 | 1 | 44 | 2011 | 연극
중간파 시 논쟁과 김광균의 시론
Centrist Poetic Debates and Kim Kwang-gyun’s Poetics
배달말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시의 공간 표상 방식 연구
A Study on Spatial Representation in Poems of the Liberation Period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희곡의 청년담론 연구
A Study on Youth Discourse in the Era of Liberation's Play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자전적 소설의 고백과 주체 재생의 플롯 ― 채만식 「민족의 죄인」, 이기영 「형관」 연구
The Plot of Confession and Subject Recovery in Autobiographical Novels in the Era of Korean Liberation - A Study on 「The Sinner of the People」 by Chae Man-sik, and 「The Crown of Thorns」 by Lee Gi-yeong
우리어문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해방직후 초창기 좌익 비평에 드러난 파시즘 극복 방향의 의미
Implications of Conquest Course against Fascism Presented the Left Commentators's Critiques in the Beginning of the Liberation Era
한국문예비평연구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한국 시의 미학과 윤리 ― 오장환과 설정식을 중심으로
Aesthetics and ethics of Liberation Periods' poetry
한국시학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시에 나타난 시와 시인의 위상
The status of poetry and poets appeared in the liberation period
한국시학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귀환의 양상 고찰
A Study on Aspects of Repatriation in Novels under the Period of Liberation
현대소설연구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극장의 영화 상영 활동에 대한 고찰
A Consideration on the Activity Aspects of Movie Theatres in Liberation Era
동방학지 | 158 | 2012 | 기타인문학
해방기 <<응향>>사건 연구-자기비판과 검열의 문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
배달말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북한의 문예대중화 운동과 시론
Literary Popularization Movement and Poetics in North Korea in the Period of National Liberation (1945-50)
한국근대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여성 혁명가의 귀환, 그 이후 -해방기 여성혁명가의 형상과 가족 서사
Return of Woman Revolutionaries and Afterward -The Figuration and Family Epics of Woman Revolutionaries in the Liberation Period-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여성 혁명가의 귀환, 그 이후 -해방기 여성혁명가의 형상과 가족 서사
Return of Woman Revolutionaries and Afterward -The Figuration and Family Epics of Woman Revolutionaries in the Liberation Period-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시의 세대론
Generation Discussion in Poems of the Liberation Period
한국시학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문학가동맹 ‘詩部’의 시 대중화 운동과 시론
Movement for Popularizing Poetry and Poetics of 'Poetry Division' in Korean Writer's Allianc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한국시학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김동리 문학 연구 ― 담론의 지향성과 정치성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Kim, Dong-ri’s literature at ‘the time of Liberati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ientation of his discourse and politics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시단의 청록파와 전위시인파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Blue Deer School and the Progressive Poet-Group on the Poems in the Liberation Period
한국문예비평연구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해방과 기억의 정치학 -해방기 기억 서사 연구-
Liberation and Politics of Memory - A study on the Memory Narratives of Liberation Period -
한국문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과 기억의 정치학 -해방기 기억 서사 연구-
Liberation and Politics of Memory - A study on the Memory Narratives of Liberation Period -
한국문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장덕조 소설에 나타난 여성성의 위장과 전유 -잡지 게재 소설을 중심으로-
Camouflage and Metonymy of Femininity in Jang Deok-jo’s works of the post-Liberation era -Based on her novels published in the magazines-
한중인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북한 문학예술의 강령과 창작의 실제 -서사문학과 공연예술을 중심으로-
Mission statement and the realization of creative on North Korea Art and Literature of the Liberation Period -Epic literature and performing arts around
우리어문연구 | 42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