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연구분야 : A020205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근대사

클래스 : 인간(성별)
인간(역할)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3114

STNet ID : 9000436

한자 : 日本軍慰安婦
영어 : Comfort Women

a01-02-01 인간(성별)

성별3

여자

a01-06-03 인간(역할)

성별

여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군위안부 () [ 軍慰安婦 ]

UF (비우선어)

 

 

군대 위안부 [ 軍隊慰安婦 ]

UF (비우선어)

 

 

종군위안부 () [ 從軍慰安婦 ]

UF (비우선어)

 

 

위안부 () [ 慰安婦 ]

UF (비우선어)

 

 

여자정신근로대 () [ 女子挺身勤勞隊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성 노예 [ 性奴隸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정신대 () [ 挺身隊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5-02 조약/협약 조약/협약

청구권협정 () [ 請求權協定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제스처 인생 [ --人生 ]

RT (관련어)

 

 

위안부 문제 [ 慰安婦問題 ]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일본군 () [ 日本軍 ]

RT (관련어)

 

x02-01 시대 시대

일제강점기 () [ 日帝强占期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일본 제국주의 [ 日本帝國主義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켈러 [Keller, Nora Okja]

RT (관련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 日本軍慰安婦被害者 ]

RT (관련어)

 

 

특약다실 () [ 特約茶室 ]

1910년 ‘한일병합조약’ 체결강제의 역사적 진실규명과 국제법적 조명

Considerations of the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from the Viewpoint of Historical Truth and International Law

국제법학회논총 | 55 | 4 | 2010 | 법학

≪아리랑≫의 오리엔탈리즘과 디아스포라

Orientalism and Diaspora of Arirang

현대소설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제규범의 집행에서의 협력적 관계의 중요성

Cooperative Approach for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Norms

국제법학회논총 | 55 | 4 | 2010 | 법학

국제규범의 집행에서의 협력적 관계의 중요성

Cooperative Approach for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Norms

국제법학회논총 | 55 | 4 | 2010 | 법학

한일청구권협정의 국제법적 문제점에 대한 재검토

Reexamination of the Problems of the Korea-Japan Agreement on Settlement of Claim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Law

외법논집 | 35 | 4 | 2011 | 법학

사회운동과 언론의 프레임 정렬: 일본군 ‘위안부’ 이슈에 대한 집합행위프레임을 중심으로

Frame Alignment between Social Movements andthe News Media: Collective Action Frames ofthe Japanese ‘Comfort Women’ Issue

미디어, 젠더 & 문화 | 19 | 2011 | 신문방송학

Surviving  the  Diverse  Temperatures  of  Waters  in Korea  and  the U.S.:  Ishle Yi Park’s  The  Temperature  of  This  Water

한국과 미국의 다양한 물의 온도에서 살아남기: 박이슬의 『이 물의 온도』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3 | 2010 | 기타인문학

Surviving  the  Diverse  Temperatures  of  Waters  in Korea  and  the U.S.:  Ishle Yi Park’s  The  Temperature  of  This  Water

한국과 미국의 다양한 물의 온도에서 살아남기: 박이슬의 『이 물의 온도』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3 | 2010 | 기타인문학

한일관계에서 시민사회의 역할과 뉴거버넌스

The Role of Civil Society and New Governance in Korea-Japan Relations

아태연구 | 18 | 2 | 2011 | 사회과학일반

Conquest, Occupation and Ethnic Cleansing -“Official” Rape and Sexual Violence in Times of War or Armed Conflict

전쟁과 국가정책에 의한 성노예 - 위안부 문제를 중심으로

법학연구 | 14 | 1 | 2011 | 법학

일본군 성노예 (위안부) 범죄와 강제실종에 의한 인도에 반한 죄

Japanese Sex Slaves and Crime against Humanity of Enforced Disappearance

법학논집 | 17 | 1 | 2012 | 기타법학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법적 검토 재고

A Legal Reappraisal on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법제연구 | 39 | 2010 | 법학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법적 검토 재고

A Legal Reappraisal on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법제연구 | | 39 | 2010 | 법학

일본군‘위안부’ 문제가 인도주의 문제인가? —한・일 정부의 최근 입장에 대하여—

Is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a Humanitarian Problem? — On the Recent Positions of the Korean and the Japanese Governments

민주법학 | 49 | 2012 | 법학

일본군 ‘위안부’ 기념관의 ‘위안부’ 재현과 기억 정치

Representation of the ‘Comfort Women’ and the politics of memory in the memorial halls for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한국학연구 | 35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군 ‘위안부’ 기념관의 ‘위안부’ 재현과 기억 정치

Representation of the ‘Comfort Women’ and the politics of memory in the memorial halls for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한국학연구 | | 35 | 2010 | 기타인문학

2011년 8월 30일 헌법재판소 결정 준수를 위한 정부의 대일외교 ― 헌법상 인권보호 의무 이행을 위한 중재제도를 비롯한 국제법적 조치의 활용 가능성 고찰 ―

The Korean Government's Japan Diplomacy for the Observance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of 30 August 2011 - A Study on the Possible Utilization of International Legal Measures including Inter-state Arbitr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Obligation to Protect Human Rights under the Constitution -

법학연구 | 22 | 3 | 2012 | 기타법학

일본군‘위안부’ 문제와 한ㆍ일 청구권협정에서의 중재절차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and the Prospect of Arbitration under the Settlement Agreement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민주법학 | 48 | 2012 | 법학

어린이/청소년 문학에 재현된 일본군 위안부 연구 - 정념 교육을 통한 공감의 공동체의 생산방식에 관하여

Represented Comfort Women Study in the Children/ Adolescents's Literature.

동남어문논집 | 1 | 33 | 2012 | 기타국어학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법적 검토 재고

A Legal Reappraisal on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법제연구 | 39 | 2010 | 법학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법적 검토 재고

A Legal Reappraisal on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법제연구 | | 39 | 2010 | 법학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있어서 역사와 법적 책임

History and Legal Responsibility in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민주법학 | 45 | 2011 | 법학

“Working  through  Trauma”:  Comfort Womenʹs  Self‐Representation  in  the  Nazen  Moksori  Trilogy

“트라우마 작업하기”:  <낮은 목소리>  3부작에 나타난 일본군 위안부의 자아표현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3 | 2010 | 기타인문학

“Working  through  Trauma”:  Comfort Womenʹs  Self‐Representation  in  the  Nazen  Moksori  Trilogy

“트라우마 작업하기”:  <낮은 목소리>  3부작에 나타난 일본군 위안부의 자아표현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3 | 2010 | 기타인문학

생애사를 통해 본 일본군‘위안부’의 삶과 기억의 재구성

The reconstruction of the life and memory of the life history as seen through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사회과학연구 | 26 | 3 | 2010 | 기타사회과학

생애사를 통해 본 일본군‘위안부’의 삶과 기억의 재구성

The reconstruction of the life and memory of the life history as seen through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사회과학연구 | 26 | 3 | 2010 | 기타사회과학

<위안부>의 표상과 전쟁 체험: 후루사와 이와미의 경우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Comfort Women’ and War Experience: in the Case of Iwami Furusawa

현대미술사연구 | 28 | 2010 | 미술사

<위안부>의 표상과 전쟁 체험: 후루사와 이와미의 경우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Comfort Women’ and War Experience: in the Case of Iwami Furusawa

현대미술사연구 | | 28 | 2010 | 미술사

일본군위안부역사관: 성별화된 민족주의와 재현의 정치학

The Museum of Sexual Slavery by Japanese Military: Gendered Nationalism and Politics of Representation

현대미술사연구 | 28 | 2010 | 미술사

일본군위안부역사관: 성별화된 민족주의와 재현의 정치학

The Museum of Sexual Slavery by Japanese Military: Gendered Nationalism and Politics of Representation

현대미술사연구 | | 28 | 2010 | 미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