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 조선의 모더니티에 대한 양가적 정서 구조 연구: <미몽>의 멜로드라마적 특징을 중심으로
A Study on Ambivalent Structures of Feeling about Modernity of Colonial Chosun -Focus on Melodramatic Feature of Sweet Dream-
영상예술연구 |
16 |
2010 |
기타예술체육
식민지 조선의 모더니티에 대한 양가적 정서 구조 연구: <미몽>의 멜로드라마적 특징을 중심으로
A Study on Ambivalent Structures of Feeling about Modernity of Colonial Chosun -Focus on Melodramatic Feature of Sweet Dream-
영상예술연구 |
|
16 |
2010 |
기타예술체육
식민지 시기 역사극의 동학농민운동 형상화 방식 연구
Study on the way of Portraying Donghak Movement in Historical Plays during Colonial Era
드라마 연구 |
32 |
2010 |
연극이론
식민지 시기 역사극의 동학농민운동 형상화 방식 연구
Study on the way of Portraying Donghak Movement in Historical Plays during Colonial Era
드라마 연구 |
|
32 |
2010 |
연극이론
식민지시대 ‘카페’에서 이루어진 춤에 대한 문화적 맥락 고찰 -1930년대 서울을 중심으로-
A Study on Cultural Text Dance of Cafe in Colonial Korea - Mainly During the 1930s in Seoul -
무용예술학연구 |
35 |
35 |
2012 |
무용
‘번역 불가능성’의 심연 -식민지 시기 김소운의 전래동요 번역(日譯)을 중심으로
An Abyss of ‘Impossibility of Translation’-Kim So-Woon’S Recognition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ranslation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번역 불가능성’의 심연 -식민지 시기 김소운의 전래동요 번역(日譯)을 중심으로
An Abyss of ‘Impossibility of Translation’-Kim So-Woon’S Recognition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ranslation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民世 安在鴻의 韓國 中世史 認識과 唯物史觀의 批判
Minse’s Understanding on the Korean Medieval History and Criticism of the Historical Materialism
史叢(사총) |
70 |
2010 |
기타역사일반
民世 安在鴻의 韓國 中世史 認識과 唯物史觀의 批判
Minse’s Understanding on the Korean Medieval History and Criticism of the Historical Materialism
史叢(사총) |
|
70 |
2010 |
기타역사일반
民世 安在鴻의 韓國 中世史 認識과 唯物史觀의 批判
Minse’s Understanding on the Korean Medieval History and Criticism of the Historical Materialism
史叢 |
70 |
2010 |
인문학
民世 安在鴻의 韓國 中世史 認識과 唯物史觀의 批判
Minse’s Understanding on the Korean Medieval History and Criticism of the Historical Materialism
史叢 |
|
70 |
2010 |
인문학
한국 전래동요의 수집과정과장르적 전범의 형성과정-애국계몽기~1920년대 미디어 소재 텍스트를 중심으로-
The Process of Collecting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Genre Model —With Focus on the Texts Contained in the Media From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to the 1920s—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전래동요의 수집과정과장르적 전범의 형성과정-애국계몽기~1920년대 미디어 소재 텍스트를 중심으로-
The Process of Collecting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Genre Model —With Focus on the Texts Contained in the Media From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to the 1920s—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시대 사계파시인들의 조선인식
The Image of Korea depicted in SHIKI-group's Poet
일본어문학 |
49 |
2010 |
일본어와문학
식민지 시대 사계파시인들의 조선인식
The Image of Korea depicted in SHIKI-group's Poet
일본어문학 |
|
49 |
2010 |
일본어와문학
일제 강점기 일본 근대시 속의 조선묘사
The Image of Korea Depicted in Modern Japan's Poet
일본어문학 |
53 |
2011 |
일본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