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연구분야 : A020200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클래스 : 시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75

STNet ID : 9000071

한자 : 朝鮮時代
영어 : period of chosun dynasty
기타 : the Joseon dynasty
기타 : Joseon period
기타 : Chosun dynasty
기타 : Joseon dynasty

x02-01 시대

대상지역

조선 (朝鮮)

대상기간_t

1392-1910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1

x02-01 시대 시대

조선 전기 (1392-) [ 朝鮮前期 ]

hasComponent (구성요소)

2

x02-01 시대 시대

조선 중기 (16세기 후-18세기 초) [ 朝鮮中期 ]

hasComponent (구성요소)

3

x02-01 시대 시대

조선 후기 () [ 朝鮮後期 ]

R1:개념적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기로소 [ 耆老所 ]

RT (관련어)

 

A02 기관/조직 기관/조직

양전청 [ 量田廳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원구단 [ 圜丘壇 ]

RT (관련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토졸 [ 吐捽 ]

RT (관련어)

 

e02-02 패턴 패턴

가체 머리 [ 歌體-- ]

RT (관련어)

배경시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다모 [ 茶母 ]

R3:시간적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x02-01 시대 시대

고려시대 () [ 高麗時代 ]

CLT:참조용어

isEraOf (시대의 대상개념)

 

 

선문오종강요사기 () [ 禪門五宗綱要私記 ]

다섯 마리 양을 탄 신선이 내려오다: ‘오양선(五羊仙)’ 이야기의 베트남, 중국, 한국에서의 변용

神仙乘着五只羊从天上而来

비교문학 | 57 | 2012 | 인문학

근대초기 재담과 로컬리티의 문제

The Locality and the Jokes of Early 20th Century Korea

구비문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영어권 중국사 개설서에 보이는 한국 관련 지도의 실태 분석

An Examination of Korea-Related Maps Seen in the Survey Books of Chinese History Written in English

동북아역사논총 | 27 | 2010 | 역사학

영어권 중국사 개설서에 보이는 한국 관련 지도의 실태 분석

An Examination of Korea-Related Maps Seen in the Survey Books of Chinese History Written in English

동북아역사논총 | | 27 | 2010 | 역사학

松隱 朴翊先生墓 出土遺物의 考古學的 解釋

An Archaeologicl Interpretation on the artefacts found from Park Ik Tomb

선사와 고대 | 33 | 2010 | 역사학

松隱 朴翊先生墓 出土遺物의 考古學的 解釋

An Archaeologicl Interpretation on the artefacts found from Park Ik Tomb

선사와 고대 | | 33 | 2010 | 역사학

창의적 체험을 위한 역사적 장소 탐방 수업 방안

Creative Teaching with Historic Places

역사교육논집 | 49 | 2012 | 역사학

조선시대 수군 진형과 함재 무기 운용

The Battle Formation andNaval Weapons Employment of the Joseon Navy

군사 | 74 | 2010 | 역사학

조선시대 수군 진형과 함재 무기 운용

The Battle Formation andNaval Weapons Employment of the Joseon Navy

군사 | | 74 | 2010 | 역사학

조선조 서사물에 나타난 기생 섹슈얼리티의 함정

The Predicament of the Kisaeng Sexuality Embedded in the Narratives of the Joseon Era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梵鐘을 통해 본 梵字

A Study on the Sanskrit in Buddhist Bells of Joseon Dynasty

역사민속학 | 36 | 2011 | 역사학

서울지역 佛敎文化의 展開 過程과 特徵 -石造美術을 中心으로-

A Study on the Features and Development of Buddhist Culture in Seoul Area -Focus on Stone Buddhist Art-

서울과 역사 | 77 | 2011 | 역사학

표상되는 조선, 동요하는 제국

The Represented Chosun, the Unstable Empire

인문연구 | 60 | 2010 | 기타인문학

표상되는 조선, 동요하는 제국

The Represented Chosun, the Unstable Empire

인문연구 | | 60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梵鐘을 통해 본 梵字

A Study on the Sanskrit in Buddhist Bells of Joseon Dynasty

역사민속학 | 36 | 2011 | 역사학

일제침략기 중국사회의 ‘한국’ 인식 - 한국관련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

Chinese Awareness of Korea in Japanese Colonial Rule - Focused on the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Korea-

진단학보 | 113 | 2011 | 역사학

『승정원일기』 속의 천변재이 기록

Weather records and Portent records of The Seungjeongwon Ilgi

사학연구 | 100 | 2010 | 역사학

『승정원일기』 속의 천변재이 기록

Weather records and Portent records of The Seungjeongwon Ilgi

사학연구 | | 100 | 2010 | 역사학

高麗末~朝鮮前期 球形浮屠 硏究

A Study on the Spherical-shaped Stupa in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Period

불교미술사학 | 13 | 2012 | 미술사

이기영 소설에 나타난 만주 로컬리티

A Study on the Locality of Lee Ki Young's Novels

한국근대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중 禪僧의 山居詩 비교 ―普雨와 憨山의 山居詩를 중심으로

Sangeoshi of Seonseung between Korea and China

불교학연구 | 31 | 2012 | 불교학

朝鮮後期 烏瓷의 개념과 특징

Conception and Features of Ohja in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역사와 담론 | 56 | 2010 | 역사학

朝鮮後期 烏瓷의 개념과 특징

Conception and Features of Ohja in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역사와 담론 | | 56 | 2010 | 역사학

무고죄의 범의에 관한 법사학적 고찰 - 조선초기 형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Mens Rea of False Accusation on the view of Korean Traditional Law

형사법의 신동향 | 36 | 2012 | 형법

조선후기 對馬島 求貿의 개념과 실태

朝鮮後期に於ける対馬による求貿の概念及びその実態

한일관계사연구 | 36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對馬島 求貿의 개념과 실태

朝鮮後期に於ける対馬による求貿の概念及びその実態

한일관계사연구 | | 36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邵雍故事圖의 유형과 표상

Genres and Representations in ShaoYungGoSaDo(Narrative painting of Shao Yung as a historical figure) during Late Joseon Dynasty

석당논총 | 49 | 2011 | 기타인문학

근세 한일 여성의 계급별 두발 장신구 고찰

Exploration on Stratified Hair-accessory of Modern Korean and Japanese Women

일본근대학연구 | 33 | 2011 | 일본문화학

근대전환기 동아시아 砂糖의 유통 구조와 변동 ― 朝鮮華商 同順泰號를 중심으로 ―

近代轉換時期東亞洲砂糖之流通結構和其變動-以朝鮮華商同順泰號爲中心-

중국근현대사연구 | 52 | 2011 | 중국현대사

飜譯本 中國古典小說의 發掘과 成果

중국어문학지 | 40 | 2012 | 중국어와문학

우리말 규범의 어제와 오늘

Standardization of Korean:Past, Present and Future

국어교육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 일본 식민지 통치모델의 轉移와 그 의미 ― ‘臺灣모델’의 關東州ㆍ朝鮮에의 적용 시도와 변용 ―

近代日本殖民统治模式之轉移与其意义

중국근현대사연구 | 53 | 2012 | 중국현대사

조선 성종 태봉(胎峰)의 풍수지리적 특징 비교 -초장지와 이장지를 중심으로-

Analysis on Feng-shui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Joseon Sungjong Taebong -Comparative Analysis of Initial & Moved Taebong-

한국학연구 | 33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성종 태봉(胎峰)의 풍수지리적 특징 비교 -초장지와 이장지를 중심으로-

Analysis on Feng-shui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Joseon Sungjong Taebong -Comparative Analysis of Initial & Moved Taebong-

한국학연구 | | 33 | 2010 | 기타인문학

17‧18세기 조선사절의 중국 예속 관찰

十七、十八世紀朝鮮使節的中國禮俗觀察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17‧18세기 조선사절의 중국 예속 관찰

十七、十八世紀朝鮮使節的中國禮俗觀察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퇴계학파의 『역학계몽』 이해

Toegye School’s Interpretation of Yi Xue Qi Meng

양명학 | 28 | 2011 | 철학

조선 중후기 유학의 가족 인식 - 霞谷 철학의 양명학적 특성과 가족 감정을 중심으로 -

Perception of “Family” in Confucianism from Middle to the End of Chosun Dynasty - Focusing on the family emotion portrayed in Ha-gok’s Philosophy -

양명학 | 25 | 2010 | 철학

조선 중후기 유학의 가족 인식 - 霞谷 철학의 양명학적 특성과 가족 감정을 중심으로 -

Perception of “Family” in Confucianism from Middle to the End of Chosun Dynasty - Focusing on the family emotion portrayed in Ha-gok’s Philosophy -

양명학 | | 25 | 2010 | 철학

조선시대 문헌의 身長 정보와 尺度 문제 - 軍籍과 檢案을 중심으로 -

Stature Data and Measurement Unit in Chosŏn Korea

古文書硏究 | 41 | 2012 | 역사학

새로 발굴된 朝鮮 活字本≪三國志通俗演義≫에 대하여

On the newly excavated printing type Sanguozhitongsuyanyi(≪三國志通俗演義≫) of Joseon Dynasty

중국어문논총 | 44 | 2010 | 중국어와문학

새로 발굴된 朝鮮 活字本≪三國志通俗演義≫에 대하여

On the newly excavated printing type Sanguozhitongsuyanyi(≪三國志通俗演義≫) of Joseon Dynasty

중국어문논총 | | 44 | 2010 | 중국어와문학

고조선의 위치와 중심지 문제에 대한 고찰

Historical Research on Gojoseon's Historical Geography

한국고대사연구 | 58 | 2010 | 한국고대사

고조선의 위치와 중심지 문제에 대한 고찰

Historical Research on Gojoseon's Historical Geography

한국고대사연구 | | 58 | 2010 | 한국고대사

魏晉時期 水軍 활동과 자연재해 ― 造船과 環境의 관계를 중심으로 ―

魏晉時期水軍活動與自然災害 ― 以造船和環境的關係爲中心 ―

중국고중세사연구 | 24 | 2010 | 역사학

魏晉時期 水軍 활동과 자연재해 ― 造船과 環境의 관계를 중심으로 ―

魏晉時期水軍活動與自然災害 ― 以造船和環境的關係爲中心 ―

중국고중세사연구 | | 24 | 2010 | 역사학

국내 크루즈산업의 문제점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blems and Development Plan of Korean Cruise Industry

한국도서연구 | 22 | 2 | 2010 | 지역학

국내 크루즈산업의 문제점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blems and Development Plan of Korean Cruise Industry

한국도서연구 | 22 | 2 | 2010 | 지역학

1930년대 후반 『삼천리』에 나타난 영화 담론 연구

A study the Movie Discourses in Chosun around 1930s Through General Magazine 'SamChunLy'

우리어문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Imagining the Chosŏ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n History(kuksa)”

사이間SAI | 8 | 2010 | 기타국문학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Imagining the Chosŏ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n History(kuksa)”

사이間SAI | | 8 | 2010 | 기타국문학

中國古典小說의 出版文化 硏究 ― 조선시대 출판본과 출판문화를 중심으로

中國古典小說的出版文化之硏究

중국어문논역총간 | 30 | 2012 | 중국어와문학

任義伯(1605~1667)의 활동과 『今是堂燕行日記』

Im Uibaek and his Yeonhaeng Ilgi, a diary of journey to Qing china

영남학 | 19 | 2011 | 기타인문학

梁啓超의 「秋風斷藤曲」 탐구 -안중근 의거를 찬미한 중국 근대 대표 지식인의 노래와 그 속내-

A Study of Liang Qichao(梁啓超)’s “Qiufengduantengqu(秋風斷藤曲)”

동아시아문화연구 | 49 | 2011 | 기타인문학

두발용 전통장신구 색채특성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lor of Korean traditional hair accessories -Focused on Chosun dynasty-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 8 | 2 | 2010 | 미용

두발용 전통장신구 색채특성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lor of Korean traditional hair accessories -Focused on Chosun dynasty-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 8 | 2 | 2010 | 미용

조선시대의 人權 문제

On the Problem of Human Rights in Chosun Dynasty

정치사상연구 | 18 | 1 | 2012 | 정치외교학

부산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발원문

The Wooden Amitabha Buddha in Busan Sunamsa Temple and Its Votive Documents

석당논총 | 48 | 2010 | 기타인문학

부산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발원문

The Wooden Amitabha Buddha in Busan Sunamsa Temple and Its Votive Documents

석당논총 | | 48 | 2010 | 기타인문학

제주도 효제문자도 연구

A Study of Hyojemunjado of Jeju Island

탐라문화 | 36 | 2010 | 기타인문학

제주도 효제문자도 연구

A Study of Hyojemunjado of Jeju Island

탐라문화 | | 36 | 2010 | 기타인문학

朝鮮王室 胎室石函의 現況과 樣式變遷

Taesil Sekham Styles of the Joseon Royal Family

문화재 | 43 | 3 | 2010 | 역사학

朝鮮王室 胎室石函의 現況과 樣式變遷

Taesil Sekham Styles of the Joseon Royal Family

문화재 | 43 | 3 | 2010 | 역사학

朝鮮時代 國王胎峰의 風水的 特性 硏究

A study for Feng-Shui characteristics of Taebong of King in the Joseon Dynasty

한국문화 | 59 | 2012 | 기타인문학

『삼천리』에 나타난 공연예술 담론 연구 ― 1930년대 전반기 간행 『삼천리』를 대상으로 ―

A study the Discourse on Performing Arts in Chosun around 1930s Through General Magazine 'SamChunLy'

우리어문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천리』에 나타난 공연예술 담론 연구 ― 1930년대 전반기 간행 『삼천리』를 대상으로 ―

A study the Discourse on Performing Arts in Chosun around 1930s Through General Magazine 'SamChunLy'

우리어문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세 왜구의 경계침탈로 본 한・일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based on the boundary disseisin of Wakou in the medieval age

한일관계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고려∼조선시대 梵字眞言이 새겨진 石造物의 현황과 의미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of things and Significance to the Stone Art of Sanskrit in Korea and Chosun Dynasty

역사민속학 | 36 | 2011 | 역사학

이양하(李敭河)의 글쓰기 환경 연구 - 교육체험과 세계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Yi, Yang-ha’s circumstances of writing - Focused on his education experience and world view -

작문연구 | 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양하(李敭河)의 글쓰기 환경 연구 - 교육체험과 세계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Yi, Yang-ha’s circumstances of writing - Focused on his education experience and world view -

작문연구 | | 10 | 2010 | 한국어와문학

형치, 법치, 그리고 덕치 : 조선의 좋은 정치[善政]

The Governances by Punishment, Law and Virtue: 'Good Politics' in Joseon Dynasty

동양문화연구 | 8 | 2011 | 기타인문학

<항장무>의 변이양상과 의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Hangjangmu'

온지논총 | 31 | 2012 | 기타인문학

15-16세기 일본의 僞使와 조선인의 송환

Japanese Impostor Identities and the Repatriation of Koreans in the Fifteenth and Sixteenth Centuries

동북아역사논총 | 28 | 2010 | 역사학

15-16세기 일본의 僞使와 조선인의 송환

Japanese Impostor Identities and the Repatriation of Koreans in the Fifteenth and Sixteenth Centuries

동북아역사논총 | | 28 | 2010 | 역사학

일본근세전기 겐로쿠문학(元禄文学)에 나타난 자타인식의 문예적 의미 고찰 시론 - 사이카쿠(西鶴)의『일본영대장(日本永代蔵)』을 중심으로 -

元禄文学に顕れる自他認識の文芸的意味考察試論 -西鶴の『日本永代蔵』を中心に-

日本思想 | 22 | 2012 | 철학

교육이념과 학교교육목적 고찰

Study on Education Ideology and School Education Purpose

한국교육문제연구 | 28 | 2 | 2010 | 기타교육학

교육이념과 학교교육목적 고찰

Study on Education Ideology and School Education Purpose

한국교육문제연구 | 28 | 2 | 2010 | 기타교육학

<항장무>의 변이양상과 의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Hangjangmu'

온지논총 | 31 | 2012 | 기타인문학

친족집단의 정치적 정당성 :세도정치의 이념적 기초 해명을 위한 시론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the Se-do Politics in Late Choseon Korea

한국학논집 | 47 | 2012 | 기타인문학

식민권력의 식민지 재현전략: 조선총독부 기관지 『朝鮮』의 사진이미지를 중심으로

Representational Strategies of Colonial Power: Focused on the photo-images in the Official Monthly Magazine of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0 | 2011 | 사회학

한반도 통일을 위한 중국의 정치적 역할

A Study on the political role of China in the Korean unification

북한학연구 | 6 | 1 | 2010 | 북한

한반도 통일을 위한 중국의 정치적 역할

A Study on the political role of China in the Korean unification

북한학연구 | 6 | 1 | 2010 | 북한

한반도 통일을 위한 중국의 경제적 역할-한반도 통일: 중국의 경제 작용

A Study on the economical role of China in the Korean unification

북한학연구 | 6 | 1 | 2010 | 북한

한반도 통일을 위한 중국의 경제적 역할-한반도 통일: 중국의 경제 작용

A Study on the economical role of China in the Korean unification

북한학연구 | 6 | 1 | 2010 | 북한

楚亭朴齊家與淸文人文學交遊考述

박제가와 청조 문인들의 교유에 대한 고찰

중국과 중국학 | 17 | 2012 | 지역학일반

고려 및 조선전기 도교의 비교와 그를 통한 고려 도교의 복원 -태일 신앙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Taoism in Goryeo and the early Joseon and the Restoration of Taoism in Goryeo

韓國史學報 | 40 | 2010 | 역사학

고려 및 조선전기 도교의 비교와 그를 통한 고려 도교의 복원 -태일 신앙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Taoism in Goryeo and the early Joseon and the Restoration of Taoism in Goryeo

韓國史學報 | | 40 | 2010 | 역사학

비교사상사의 관점에서 18세기 동아시아 유학자들의 사상세계를 논함

從比較思想史觀點論十八世紀東亞儒者的思想世界

한국실학연구 | 19 | 2010 | 역사학

비교사상사의 관점에서 18세기 동아시아 유학자들의 사상세계를 논함

從比較思想史觀點論十八世紀東亞儒者的思想世界

한국실학연구 | | 19 | 2010 | 역사학

근세 한일 여성의 계급별 두발형태 고찰

Exploration on Stratified Hairstyle of Modern Korean and Japanese Women

일본근대학연구 | 32 | 2011 | 일본문화학

From Liaodongese Refugee to Ming Loyalist: The Historiography of the Sanggok Ma, a Ming Migrant Descent Group in Late Joseon Korea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 15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청관계에 대한 편의적 이해 사례

Two Cases of Arbitrary Understandings of the Relationshipbetween Joseon and Qing China

동북아역사논총 | 35 | 2012 | 역사학

식민지 조선의 교육적 실천, 소설 속 야학의 의미

Educational action in Joseon colony, the meaning of the night school in the fictions

민족문화연구 | 52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 조선의 교육적 실천, 소설 속 야학의 의미

Educational action in Joseon colony, the meaning of the night school in the fictions

민족문화연구 | | 52 | 2010 | 기타인문학

禪師의 威風과 그 詩的 구현 —朝鮮 時代 禪詩를 중심으로—

The dignity of Seon-master and its realization of poetry. — Focusing on poem from period of Chseon(朝鮮) —

禪學(선학) | 26 | 2010 | 응용불교학

禪師의 威風과 그 詩的 구현 —朝鮮 時代 禪詩를 중심으로—

The dignity of Seon-master and its realization of poetry. — Focusing on poem from period of Chseon(朝鮮) —

禪學(선학) | | 26 | 2010 | 응용불교학

독립선언서에 표상된 한(韓)과 조선 그리고 동양-부재하는 국가, 선언으로서의 민족, 개인의 희생

Representations of ‘Han(韓),’ ‘Joseon(朝鮮),’ and ‘the East(東洋)’ in The Proclamation of Independence

사이間SAI | 8 | 2010 | 기타국문학

독립선언서에 표상된 한(韓)과 조선 그리고 동양-부재하는 국가, 선언으로서의 민족, 개인의 희생

Representations of ‘Han(韓),’ ‘Joseon(朝鮮),’ and ‘the East(東洋)’ in The Proclamation of Independence

사이間SAI | | 8 | 2010 | 기타국문학

울주지역 옹기가마 분포와 수습유물

Distribution of Onggi Kiln And Acquired Relics in Ulju

문물연구 | 19 | 19 | 2011 | 역사학

禪師의 威風과 그 詩的 구현 —朝鮮 時代 禪詩를 중심으로—

The dignity of Seon-master and its realization of poetry. — Focusing on poem from period of Chseon(朝鮮) —

禪學(선학) | 26 | 2010 | 응용불교학

禪師의 威風과 그 詩的 구현 —朝鮮 時代 禪詩를 중심으로—

The dignity of Seon-master and its realization of poetry. — Focusing on poem from period of Chseon(朝鮮) —

禪學(선학) | | 26 | 2010 | 응용불교학

조선·청조의 조공관계와 외교질서 - 『중국역대조공제도연구』의 비판적 분석

Tribute Relation and Diplomatic Order of Joseon and Ching Dynasty - Critical Analysis of 『Research on Historical Tribute Systems of China and Korea』

人文科學硏究 | 29 | 2011 | 기타인문학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과 개경 전투

Yi Song-gye's Wiwha-do retreat and Gaekyoung battle

국학연구 | 20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유물에 나타난 십장생문의 조형성 분석 - 자수품을 중심으로 -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Ten Traditional Longevity on Relics of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 With a Focus on Embroideries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12 | 1 | 2010 | 의상

조선후기 유물에 나타난 십장생문의 조형성 분석 - 자수품을 중심으로 -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Ten Traditional Longevity on Relics of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 With a Focus on Embroideries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12 | 1 | 2010 | 의상

김억의 번역론, 조선적 운율의 정초 가능성

Kim Eok's Theses on Translation: Pursuit of Authentic Korean Poetic Rhythm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억의 번역론, 조선적 운율의 정초 가능성

Kim Eok's Theses on Translation: Pursuit of Authentic Korean Poetic Rhythm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예악사상(禮樂思想)의 조형개념(造形槪念)에 관한 고찰 - 조선시대(朝鮮時代) 병산서원(屛山書院)을 중심으로 -

Reflection of the concept of the way of thinking about ACK and YEA - In the center of the Byungsan Institute of the Choseon period -

디자인학연구 | 25 | 2 | 2012 | 디자인

The Sino-Japanese War (1894-1895): Japanese National Integration and Construction of the Korean "Other"

청일전쟁(1894-1895): 일본의 국민 통합, 그리고 ‘타자’로써 조선상(像) 만들기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 17 | 1 | 2012 | 기타역사일반

구한말 서양인의 눈에 비친 조선인의 몸

Korean Body Seen by European Traveller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비교문학 | 53 | 2011 | 인문학

淸 入關 前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再編과 日本

Reorganization of East Asian International Order before 1644 and Japan

명청사연구 | 33 | 2010 | 역사학

淸 入關 前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再編과 日本

Reorganization of East Asian International Order before 1644 and Japan

명청사연구 | | 33 | 2010 | 역사학

조선시대 지도에 표현된 백두산에 대한 고찰

A Study of Mount Baekdu in the Maps of Joseon Period

문화역사지리 | 23 | 2 | 2011 | 인문지리학

조선시대 녹둔도(鹿屯島)의 역사와 영역 변화

The History of Nokdun Island(鹿屯島) and Transition of Area during the Chosun Dynasty

한국학 | 34 | 1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조대(絛帶)와 끈목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f Jodae(絛帶, Braided Belt) during Joseon Dynasty and Manufacture of the Braid

조형디자인연구 | 15 | 3 | 2012 | 공예

근대초기 한국 내 일본어 문학의 형성과 문예란의 제국주의 ―『朝鮮』(1908-11)․『朝鮮(満韓)之実業』(1905-14)의 문예란과 그 역할을 중심으로

The Studies on Formation of 'Japanese Literature' in Korea and Japanese Imperialism of 'Literary Art' Section in the Early Modern Times

외국학연구 | 14 | 1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초기 한국 내 일본어 문학의 형성과 문예란의 제국주의 ―『朝鮮』(1908-11)․『朝鮮(満韓)之実業』(1905-14)의 문예란과 그 역할을 중심으로

The Studies on Formation of 'Japanese Literature' in Korea and Japanese Imperialism of 'Literary Art' Section in the Early Modern Times

외국학연구 | 14 | 1 | 2010 | 기타인문학

문순득 행적과 기록에 관한 箚記

The Notes about the Activities of Moon Sundeuk and Related Record

동방한문학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남도고시가의 작품과 연구 동향

Works of Namdo's Old Siga and Research Trends

한국시가문화연구 | 29 | 2012 | 한국어와문학

수·위탁기업의 경영성과 분석 : 조선, 자동차, 전기전자의 거래관계를 고려하여

Analysis of Subcontract Business Performance in Consideration of Company Transactional Relations : Shipbuilding, Automobile, Electrical and Electronics

대한경영학회지 | 25 | 4 | 2012 | 경영학

晦齋 李彦迪과 良洞마을

Yi Eon Jeok and Yangdong Village

유학연구 | 26 | 2012 | 철학

사타 이네코(佐多稲子)와 조선 -「금강산에서(金剛山にて)」를 중심으로-

A study about Sataineko and Chosun -Focusing on「at the Mt. Guemkang」

일어일문학 | 51 | 2011 | 일본어와문학

조선후기 왕실호위조직의 무예에 관한 역사적 고찰

Historical Consideration on the Military arts of Royal Security Organizations in Chosun Dynasty

대한무도학회지 | 14 | 2 | 2012 | 무도학

식민지의 기억과 일본 현대 아동문학 - 전후 일본 아동문학 상황과 시카타 신의 조선체험

A War Juvenile Literature and Sikatasin' Chosun

일본어문학 | 55 | 2011 | 일본어와문학

中國에서 이루어진 朝鮮과 安南의 文學交流

Interchanges of literature accomplished in China between Joseon and Viet Nam

중국학논총 | 29 | 2010 | 중국문화학

中國에서 이루어진 朝鮮과 安南의 文學交流

Interchanges of literature accomplished in China between Joseon and Viet Nam

중국학논총 | | 29 | 2010 | 중국문화학

朝鮮時代漢語敎本≪象院題語≫的編寫特色

The feature of compile from Chinese textbook "Sang Won Je Eo" in Chosun Dynasty

중국학논총 | 33 | 2011 | 중국어와문학

魚呂之亂硏究

Catastrophe of EO-RYEO

전북사학 | 39 | 2011 | 역사학

범어사 3.1운동의 재조명

Reconsideration of 3.1 movement in Beomeosa temple

대각사상 | 14 | 2010 | 불교학

범어사 3.1운동의 재조명

Reconsideration of 3.1 movement in Beomeosa temple

대각사상 | | 14 | 2010 | 불교학

일제 강점기 일본 근대시 속의 조선묘사

The Image of Korea Depicted in Modern Japan's Poet

일본어문학 | 53 | 2011 | 일본어와문학

무로마치 왜구와 조선의 대(對)왜인 정책 -평화와 공존을 위한 조선의 선택-

The Muromatsi Wakou and the Policy Changes of Joseon Kingdoms -The Decision of Joseon Kingdoms for the Peace of East Asia-

일본연구 | 18 | 2012 | 일본어와문학

고려 말과 조선 초의 왕릉에서 찾을 수 있는 황금비와 금강비

Gold and Geumgang ratio could be find from tomb of Goryeo and Chosun Dynasty

동방학 | 21 | 2011 | 기타인문학

International Politics of Annexation :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role of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in Korean absorption by Japan

합병의 국제정치 : 일본의 한국 병합시 영국과 미국의 역할을 중심으로

동방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International Politics of Annexation :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role of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in Korean absorption by Japan

합병의 국제정치 : 일본의 한국 병합시 영국과 미국의 역할을 중심으로

동방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유교정치학으로서 퇴계의 성학과 정치 담론

Sage Learning and Political Discourse of Toegye Lee Hwang as the Politics of Confucianism

퇴계학논집 | 8 | 2011 | 철학

17세기 후반 한일간의 무기 밀수 사건에 대해서

On the Cases of Weaponary Smuggling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Late 17th Century

고전과 해석 | 8 | 2010 | 국문학사

17세기 후반 한일간의 무기 밀수 사건에 대해서

On the Cases of Weaponary Smuggling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Late 17th Century

고전과 해석 | 8 | | 2010 | 국문학사

淸代 中國의 外國人 漂流民의 救助와 送還에 대하여 ― 朝鮮人과 日本人의 사례를 중심으로 ―

The Rescue and Repatriation of Foreign Drifters by Qing China: Focusing on Cases Involving Koreans and Japanese

동북아역사논총 | 28 | 2010 | 역사학

淸代 中國의 外國人 漂流民의 救助와 送還에 대하여 ― 朝鮮人과 日本人의 사례를 중심으로 ―

The Rescue and Repatriation of Foreign Drifters by Qing China: Focusing on Cases Involving Koreans and Japanese

동북아역사논총 | | 28 | 2010 | 역사학

딘스모어 미국공사의 조선외교 인식과 활동

American Minister, Dinsmore's Activity and Understanding of Joseon Diplomacy

역사학보 | 210 | 2011 | 역사학

조선시대 지방 교방 춤 종목 연구

A Study on Types of Local Gyobang Dance in the Joseon Period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31 | 1 | 2012 | 기타인문학

先秦文獻에 기록된 古朝鮮 사회와 주민집단

Gojoseon Society and Resident Group Recorded in PreChin Literature

역사와 담론 | 61 | 2012 | 역사학

조선시대 지리지에 수록된 진산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he Jinsan in the Topographies of Joseon Period

문화역사지리 | 23 | 1 | 2011 | 인문지리학

조선 시대 의학서 언해류에 나타난 분류사의 종류와 기능

On the Study of classifiers in the Korean translations of Chinese medical books in Chosun Dynasty

우리말글 | 51 | 2011 | 한국어와문학

韓․日間國際觀光交流史に関する研究

Study of Modern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n Tourism

관광연구 | 26 | 4 | 2011 | 관광학일반

조선전기 진법으로 본 무예 무기체계 연구

A study on the system of martial arts with weaponry through military deployment in early Joseon Dynasty

한국체육사학회지 | 15 | 3 | 2010 | 기타예술체육

조선전기 진법으로 본 무예 무기체계 연구

A study on the system of martial arts with weaponry through military deployment in early Joseon Dynasty

한국체육사학회지 | 15 | 3 | 2010 | 기타예술체육

조선시대 의녀의 정체성 고찰

Dual Identity of Women Doctors in Korean History

민족문화 | 34 | 34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의녀의 정체성 고찰

Dual Identity of Women Doctors in Korean History

민족문화 | 34 | 34 | 2010 | 기타인문학

「東還封事」를 통해 본 重峯 趙憲의 改革思想

Cho Hun's thoughts of reformation in view of his thesis "Donwhan Bongsa(東還封事)"

동양문화연구 | 10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전세(田稅)의 공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quity of Land Tax in Chosun Dynasty

세무학연구 | 27 | 1 | 2010 | 회계학

조선시대 전세(田稅)의 공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quity of Land Tax in Chosun Dynasty

세무학연구 | 27 | 1 | 2010 | 회계학

허난설헌, 윤희순의 현실 대응 방식 및 스토리텔링

A method of reality correspondence and storytelling of HEO Nanseolheon and YOON Heesoon

온지논총 | 30 | 2012 | 기타인문학

16세기 조선과 野人 사이의 모피 교역의 전개

The Development of the Fur Trade between Joseon and Jurchens during the 16^th Century

한국사연구 | 152 | 2011 | 역사학

「朱仙傳」, 명대 의화본소설 「型世言」의 번역

중국어문학논집 | 73 | 2012 | 중국어와문학

사극 드라마에 나타난 조선시대 내관복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stume of Eunuches in the Palace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historical dramas

한복문화 | 13 | 2 | 2010 | 의상

사극 드라마에 나타난 조선시대 내관복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stume of Eunuches in the Palace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historical dramas

한복문화 | 13 | 2 | 2010 | 의상

조선시대 지방 교방 춤 종목 연구

A Study on Types of Local Gyobang Dance in the Joseon Period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31 | 1 | 2012 | 기타인문학

방한용 전통배자의 재현과 현대적 활용을 위한 디자인 연구

A Study on Reproduction of the Traditional Baeja and Design Methods for Modern Application -Focucing on the Winter Baeja-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 10 | 3 | 2010 | 의상

방한용 전통배자의 재현과 현대적 활용을 위한 디자인 연구

A Study on Reproduction of the Traditional Baeja and Design Methods for Modern Application -Focucing on the Winter Baeja-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 10 | 3 | 2010 | 의상

조선 초기 勳戚韓明澮의 관직 생활과 그 특징

A Case Study on a Meritorious Elite, Han Myung-hoi(韓明澮)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역사와 실학 | 43 | 2010 | 기타역사일반

조선 초기 勳戚韓明澮의 관직 생활과 그 특징

A Case Study on a Meritorious Elite, Han Myung-hoi(韓明澮)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역사와 실학 | | 43 | 2010 | 기타역사일반

만주에 관한 지식과 조선후기 사회

Knowledge on Manchuria and the Late Choson Dynasty

역사학보 | 208 | 2010 | 역사학

만주에 관한 지식과 조선후기 사회

Knowledge on Manchuria and the Late Choson Dynasty

역사학보 | | 208 | 2010 | 역사학

1920~30년대 朝鮮과 滿洲國의 王道儒學

A Study on ‘Wangdao(王道)’ in Colonial Korea and Manchukuo(滿洲國) during the 1920-30s.

한국학연구 | 22 | 2010 | 기타인문학

1920~30년대 朝鮮과 滿洲國의 王道儒學

A Study on ‘Wangdao(王道)’ in Colonial Korea and Manchukuo(滿洲國) during the 1920-30s.

한국학연구 | | 22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과 일본의 銀 유통 교섭(1697~1711)

The Negotiations over Silver Circulation between Choson Korea and Japan 1697~1711

한일관계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朝鮮時代土壙墓調査方法에 대한 一考

Consideration on the Investigation of Pit Tombs of the Joseon Dynasty

야외고고학 | 11 | 2011 | 고고학

의궤에 보인 준화의 형태와 의미

Meanings and Forms of Junwha Presented in Uigue

남북문화예술연구 | 10 | 2012 | 기타예술일반

조선후기의 무과제도와 한국의 근대성

The Late Chosŏn Military Examination System and Korean Modernity

한국문화 | 51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의 무과제도와 한국의 근대성

The Late Chosŏn Military Examination System and Korean Modernity

한국문화 | | 51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사대부 묘역의 무인석상 복식에 대한 고찰

Study on the costumes of military officer appeared on the stone statues standing at the Noblemen’s tomb during the Joseon Dynasty

한복문화 | 15 | 2 | 2012 | 의상

조선시대 군왕 행장의 찬술 방식과 미의식

A Study on the Compilation Methods and Aesthetic Consciousness of Records of a Deceased King in Joseon

동방한문학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과 명‧청시기의 토지 매매문서 비교 연구

Comparative research on the real-estate documents of Chosun dynasty(Korea) and Ming/Ching(China) dynasty

국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과 명‧청시기의 토지 매매문서 비교 연구

Comparative research on the real-estate documents of Chosun dynasty(Korea) and Ming/Ching(China) dynasty

국학연구 | | 17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自挽詩의 類型的 특성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lf-Elegy in Chosun Dynasty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自挽詩의 類型的 특성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lf-Elegy in Chosun Dynasty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 시조왕릉의 정자각 내부 의물 연구

A Study on the Ritual Artifacts within a T-shaped Building in front of the Royal Mausoleums for the Founder of the Joseon Dynasty

조형디자인연구 | 15 | 2 | 2012 | 공예

교류의 경로와 풍경-일본 고토렛토[五島列島]를 중심으로-

Networks and Landscape in Korean-Japanese Relations during the Chosŏn Period: The Gotō Islands in Japan

『도서문화』 | 36 | 2010 | 기타인문학

교류의 경로와 풍경-일본 고토렛토[五島列島]를 중심으로-

Networks and Landscape in Korean-Japanese Relations during the Chosŏn Period: The Gotō Islands in Japan

『도서문화』 | | 36 | 2010 | 기타인문학

경상도지역 조선시대 자기가마의 구조변화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nge of porcelain kiln of Chosun Dynasty in Gyeongsang Province

고문화 | 79 | 2012 | 역사학

世祖의 ‘樂章’ 革新運動과 그 守成의 美學

A Study on the aesthetics of The guard(守成) and a reform movement of the movement(樂章) for The klng Sae-jo(世祖)

동방한문학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막스 베버 공순(恭順) 사상으로 바라본 조선시대 남-여 관계에 대한 인식

Based on M. Weber’s Piety Conception, the Cognition of Chosŏn Society’s Man-Woman Relationship

철학사상 | 38 | 2010 | 철학

막스 베버 공순(恭順) 사상으로 바라본 조선시대 남-여 관계에 대한 인식

Based on M. Weber’s Piety Conception, the Cognition of Chosŏn Society’s Man-Woman Relationship

철학사상 | | 38 | 2010 | 철학

조선의 월남에 대한 인식 - 월남에 대한 『조선왕조실록』의 기술을 중심으로

Choson's recognition about Vietnam in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한국사상과 문화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중기 지식인들의 회화관(繪畵觀)

The Intellectuals' View of Paintings in the Middle Joseon Period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8 | 2011 | 유교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邑號陞降에 대한 일고찰 ― 강원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uphoseunggang in the Joseon Era - with Gangwondo as the center -

사림 | 42 | 2012 | 역사학

사대부가사의 서술방식과 그 의미

The aspects of the discourse theory in Sadaebu-kasa

국제언어문학 | 24 | 2011 | 기타동양어문학

조선조의 예치(禮治)와 ‘기강(紀綱)’확립의 정치

The Relevance between the Ritual Politics and the Establishment of Discipline in the Chosun Dynasty

대한정치학회보 | 18 | 3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19세기 말 서양선교사의 조선에 대한 관찰과 인식-『교무잡지(敎務雜誌)』를 중심으로 한 고찰 -

A Study on the Western Missionaries' Perception and Observation of Chosu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hinese Recorder and Missionary Journal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1 | 1 | 2012 | 동양정치사상

조선시대 의서에 나타난 병명에 대하여 -구급방류를 중심으로-

The names of disease in the medical books in Chosun dynasty - Focusing on sorts of Gugeupbang -

국어사연구 | 11 | 2010 | 국어사

조선시대 의서에 나타난 병명에 대하여 -구급방류를 중심으로-

The names of disease in the medical books in Chosun dynasty - Focusing on sorts of Gugeupbang -

국어사연구 | | 11 | 2010 | 국어사

조선시대 한글 문헌의 간행 경위와 배포 양상 연구-'소통'의 관점을 중심으로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Hangeul Texts in Chosun Dynasty: Communication in Hangeul.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한글 문헌의 간행 경위와 배포 양상 연구-'소통'의 관점을 중심으로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Hangeul Texts in Chosun Dynasty: Communication in Hangeul.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지방관아에서의 공연양상 고찰

A study of confirm the loca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in the Joseon Dynasty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지방관아에서의 공연양상 고찰

A study of confirm the loca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in the Joseon Dynasty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못 다 한 사랑과 그리움의 노래-悼亡詩의 전통과 미-

Songs of Unfinished Love and Missing—Tradition and Beauty of Domangsi—

동방한문학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못 다 한 사랑과 그리움의 노래-悼亡詩의 전통과 미-

Songs of Unfinished Love and Missing—Tradition and Beauty of Domangsi—

동방한문학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 단종의 가봉태실에 대한 문헌·고고학적 검토

A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Study on Gabong Taesil of King Dangjong in Joseon

문화재 | 45 | 3 | 2012 | 역사학

朝鮮前期 豆滿江流域에 나타나는두 개의 ‘朝鮮’

Two of the ‘Joseon’ in the Tumen River basin in early Joseon

명청사연구 | 37 | 2012 | 역사학

조선시대의 토지사유제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Land Ownership System in premodern Korean Society

집합건물법학 | 9 | 2012 | 기타법학

조선시대 도자제기(祭器)에 나타난 목적과 적합성 연구

A study on purpose and suitability shown in ceramic ritual vessels of Joseon

기초조형학연구 | 11 | 4 | 2010 | 예술일반

조선시대 도자제기(祭器)에 나타난 목적과 적합성 연구

A study on purpose and suitability shown in ceramic ritual vessels of Joseon

기초조형학연구 | 11 | 4 | 2010 | 예술일반

조선시대 사천왕상 존명의 변화

Historical Changes in the Naming of the Four Heavenly Kings

미술사학연구 | 265 | 265 | 2010 | 미술

명종의 친정체제(親政體制) 강화와 회화(繪畵)

The Strengthening of the Sovereign Power of King Myeongjong and Paintings in the Years 1559 Through 1567 of King Myeongjong’s Reign

미술사와 시각문화 | 11 | 2012 | 미술

A Comparison of Firearms Used in the Shinmiyangyo

辛未洋擾 당시 사용된 화약무기 비교

민족문화논총 | 44 | 2010 | 기타인문학

A Comparison of Firearms Used in the Shinmiyangyo

辛未洋擾 당시 사용된 화약무기 비교

민족문화논총 | | 44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초기 가평 현등사(懸燈寺) 삼층석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ree-Story Stone Pagoda of Hyeondeungsa Templ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아시아문화연구 | 18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초기 가평 현등사(懸燈寺) 삼층석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ree-Story Stone Pagoda of Hyeondeungsa Templ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아시아문화연구 | 18 | | 2010 | 기타인문학

日本人으로 僞裝한 琉球人의 濟州 漂着-1821년 恒運 등 20명의 표착 사건-

Ryukyuans Who Landed at Cheju Island and Claimed to be Japanese: The 1821 Castaway Incident

한일관계사연구 | 37 | 2010 | 역사학

日本人으로 僞裝한 琉球人의 濟州 漂着-1821년 恒運 등 20명의 표착 사건-

Ryukyuans Who Landed at Cheju Island and Claimed to be Japanese: The 1821 Castaway Incident

한일관계사연구 | | 37 | 2010 | 역사학

조선 16세기 신도비 비액 전서 연구

Study on the Zhuanshu(篆書) from the epitaph of the gravestones in the 16th century in Joseon dynasty

민족문화논총 | 49 | 2011 | 기타인문학

韓末 朝鮮의 對英修交 考察

A Study on Treaty of Chosun and Great Britain in Late Chosun Dynasty

전북사학 | 40 | 2012 | 역사학

고조선의 실존문제: 상식적 탐색

The Existence of the Old Choson : An Approach with Common Sense

단군학연구 | 25 | 25 | 2011 | 기타역사학

順天 松廣寺 木造觀音菩薩坐像 腹藏物 調査와 意義

A Study on the wood seated Avalokitesvara of SongKwang-temple in Suncheon

문화사학 | 37 | 2012 | 문화사(역사학)

조선시대 서해 북단 해역의 경계와 島嶼 문제 ― 海浪島와 薪島를 중심으로 ―

The Maritime Border Issue of the North-western Coast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Offshore Islands - Focused on the Case of the Haerangdo Island and the Sindo Island -

명청사연구 | 36 | 2011 | 역사학

Field Survey of the United States 1871 Line of March in Korea

조선에서의 1871년 US 진군로 조사

민족문화논총 | 48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전기 두만강유역 ‘女眞 藩籬・藩胡’의 형성과 성격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Jurchen Fence・boundary Jurchens’ in Tumen River basin

韓國史學報 | 41 | 2010 | 역사학

조선전기 두만강유역 ‘女眞 藩籬・藩胡’의 형성과 성격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Jurchen Fence・boundary Jurchens’ in Tumen River basin

韓國史學報 | | 41 | 2010 | 역사학

조선시대 금군에 대한 고찰

The Study on the Geumgun in Joseon Dynasty

한국체육사학회지 | 16 | 1 | 2011 | 기타예술체육

중근세 일본인의 조선에 대한 경계인식 고찰

A Study on Japanese cognition of boundary sector about Joseon in the Medieval age and the Modern age

한일관계사연구 | 39 | 2011 | 역사학

조선 명종대 豆滿江 以北지역에 대한 ‘鎭’ 설치 시도 -伊應巨島의 子母鎭 설치와 女眞과의 분쟁을 중심으로-

Attempt to install ‘Jin’ in north of the Tumen River during the period of king Myeongjong in Joseon -Focused on installation of Jamo­Jin in Yieunggeo Island and a dispute with Jurchen-

한일관계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조선전기 女眞 僞使의 발생과 處理 問題에 대한 고찰

A Study on Occurrence of and Dealing with False Ambassadors of the Jurchen During the Early Years of Joseon Dynasty

사학연구 | 100 | 2010 | 역사학

조선전기 女眞 僞使의 발생과 處理 問題에 대한 고찰

A Study on Occurrence of and Dealing with False Ambassadors of the Jurchen During the Early Years of Joseon Dynasty

사학연구 | | 100 | 2010 | 역사학

鄕藥에서 東醫로 : 『향약집성방』의 의학이론과 고유 의술

From Hyangyak to Dongui : The Medical Theory of the Hyangyakjipseongbang and Korean Traditional Medical Practice

역사학보 | 212 | 2011 | 역사학

조선시대 역학서를 통해 본 중국어 분류어휘 교육의 의의 -『老乞大』와 유해류 역학서의 상업어휘를 중심으로-

중국어교육과 연구 | 12 | 2010 | 중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역학서를 통해 본 중국어 분류어휘 교육의 의의 -『老乞大』와 유해류 역학서의 상업어휘를 중심으로-

중국어교육과 연구 | | 12 | 2010 | 중국어와문학

초월적 기표로서 “조용한 아침” -퍼시발 로웰의 『조선-조용한 아침의 나라』

19세기 영어권 문학 | 14 | 1 | 2010 | 영어와문학

초월적 기표로서 “조용한 아침” -퍼시발 로웰의 『조선-조용한 아침의 나라』

19세기 영어권 문학 | 14 | 1 | 2010 | 영어와문학

朝鮮時代 中國 古典小說의 飜譯 槪況 硏究

The study on translation conditions of Chinese classic novels in the Cho-seon(朝鮮) Dynasty

중국소설논총 | 35 | 2011 | 중국어와문학

히노 게이조(日野啓三)와 조선 · 한국

Hino Keizo and Korea

일본어문학 | 54 | 2011 | 일본어와문학

조선시대 사랑채 유형별 사용자의 영역에 따른 공간 분석

Spatial Analysis of the Sarang-Chae of the Chosun Era for Each Type of User Domain

디자인학연구 | 24 | 3 | 2011 | 디자인

일제강점기 일제 관료의 ‘조선인의 일본어학습 능력’에 대한 인식 고찰

The Study of Awareness of colonial officials ‘Koreans’ ability to learn Japanese' in Colonial Rule

일본어문학 | 51 | 2010 | 일본어와문학

일제강점기 일제 관료의 ‘조선인의 일본어학습 능력’에 대한 인식 고찰

The Study of Awareness of colonial officials ‘Koreans’ ability to learn Japanese' in Colonial Rule

일본어문학 | | 51 | 2010 | 일본어와문학

잡지 『朝鮮』(1908-1911)에 나타난 기독교와 배일사상 ―샤쿠오 순조의 『朝鮮』 기고문을 중심으로―

Christianity and Anti-Japanese Idea in the Magazine Joseon

일본근대학연구 | 29 | 2010 | 일본문화학

잡지 『朝鮮』(1908-1911)에 나타난 기독교와 배일사상 ―샤쿠오 순조의 『朝鮮』 기고문을 중심으로―

Christianity and Anti-Japanese Idea in the Magazine Joseon

일본근대학연구 | | 29 | 2010 | 일본문화학

잡지『조선』(1908〜1911)에서의 ‘가정’의 역할과 ‘한인(韓人)’가정에 대한 인식

雑誌『朝鮮』における‘家庭’(1908~1911)の役割と‘韓人’家庭に対する認識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 | 16 | 2010 | 일본문화학

잡지『조선』(1908〜1911)에서의 ‘가정’의 역할과 ‘한인(韓人)’가정에 대한 인식

雑誌『朝鮮』における‘家庭’(1908~1911)の役割と‘韓人’家庭に対する認識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 | | 16 | 2010 | 일본문화학

조선시대 釋迦說法圖의 범본 일본 四天王寺 소장 1587년 <석가설법도>

A Norm of the Paintings of Shakyamuni’s Preaching in the Joseon Dynasty

한국학 | 35 | 2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각 도별 인구 및 전답과 조세부담액 분석

Provincial Population and Farmland in the Joseon Dynasty and Analysis of Tax Burden

세무학연구 | 27 | 3 | 2010 | 회계학

조선시대 각 도별 인구 및 전답과 조세부담액 분석

Provincial Population and Farmland in the Joseon Dynasty and Analysis of Tax Burden

세무학연구 | 27 | 3 | 2010 | 회계학

조선시대 한문학에 나타난 인간과 자연의 관계 방식에 대하여

The Ecological Perspective of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 and Its Contemporary Significance

한국학논집 | 41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한문학에 나타난 인간과 자연의 관계 방식에 대하여

The Ecological Perspective of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 and Its Contemporary Significance

한국학논집 | | 41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시대의 번역 표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lation Notation in Joseon Dynasty

코기토 | 72 | 2012 | 기타인문학

朝鮮 世祖代의 佛敎美術 硏究

A Study on the Buddhism Art in the King SeJo periods of Chosun Dynasty

한국학연구 | 26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