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정

연구분야 : A030200 인문학 > 철학 > 한국철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14

STNet ID : 9005321

한자 : 李象靖
호(號) : 대산(大山)
호(號) : 밀암(密庵)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경문 [ 景文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재 [ 李栽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황 () [ 李滉 ]

RT_Y (◄관련어)

외증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현일 () [ 李玄逸 ]

退溪의 「陶山雜詠」의 理學的 含意와 그 전승

The implication of Toegye(退溪)'s Dosanjobyoung(陶山雜詠) in the perspective of the studyof Li(理學) and its succession

한국한문학연구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退溪의 「陶山雜詠」의 理學的 含意와 그 전승

The implication of Toegye(退溪)'s Dosanjobyoung(陶山雜詠) in the perspective of the studyof Li(理學) and its succession

한국한문학연구 |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논쟁 전․후기 退溪 四七論의 변이 양상과 退溪學派 四七論의 전개

A aspect of change of Toegye’s thought of Four Clues and Seven Emotion of the former part and the latter part of Debate and development in it of Toegye School

퇴계학논집 | 8 | 2011 | 철학

조선시대 구곡문화의 전승과 이상정의 고산구곡 경영

The Introduction of 'Nine River Bend Culture' into Korea and Lee Sang Jeong's Management of 'Kosan Seven River Bend' in Joseon Dynasty

문화역사지리 | 23 | 3 | 2011 | 인문지리학

영남선비들의 구곡경영과 최남복의 백련서사

Yongnam Sunbi's Gugok Management & Chae Nam-bok's Backryen-seosa

영남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영남선비들의 구곡경영과 최남복의 백련서사

Yongnam Sunbi's Gugok Management & Chae Nam-bok's Backryen-seosa

영남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牧隱 李穡의 역사적 위상과 영남의 餘脈

An Essay on the historical position of confucian scholar Yi-Seak(his pen name Mokeun) in the late of 14th century and Influence of the deceased at Kyonsang provice

민족문화논총 | 50 | 2012 | 기타인문학

대구의 초기 수채화단 성립과 1930년 향토회 발족배경

The Watercolor Painting Circle in Daegu and the Organization of the Hyangtohoe in 1930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23 | 2012 | 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