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A070100 인문학 > 유교학 > 유교철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581

STNet ID : 9008173

한자 : 李栽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유재 [ 幼材 ]

UF (비우선어)

 

밀암 [ 密庵 ]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영남학파 () [ 嶺南學派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산림 (유학자) [ 山林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상정 () [ 李象靖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황 () [ 李滉 ]

RT (관련어)

부자관계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현일 () [ 李玄逸 ]

『주자가례』의 조선 시행과정과 가례주석서에 대한 연구

朝鮮における『朱子家禮』の施行過程と家禮註釋書に関する研究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주자가례』의 조선 시행과정과 가례주석서에 대한 연구

朝鮮における『朱子家禮』の施行過程と家禮註釋書に関する研究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야담집에서의 이경류 이야기의 전개와 그 의미

The Unfolding and its Meaning of Lee Kyungryu Stories in Yadam Anthologies

한국문학논총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삼관기』 이본들에 나타난 작품 구성의 특징

Frameworks of Samgwangi Versions

한국학 | 33 | 3 | 2010 | 기타인문학

『삼관기』 이본들에 나타난 작품 구성의 특징

Frameworks of Samgwangi Versions

한국학 | 33 | 3 | 2010 | 기타인문학

『이재난고』를 통해 본 황윤석의 한국 고대사 서술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Hwang Yun-seok's Description Type about Korean Ancient History through Ijaenango

전북사학 | 40 | 2012 | 역사학

이재(頤齋) 황윤석(黃胤錫)의 문학론 ― 서발(序跋)을 중심으로 ―

국어문학 | 49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재(頤齋) 황윤석(黃胤錫)의 문학론 ― 서발(序跋)을 중심으로 ―

국어문학 | 49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