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도시공간의 문화 정체성과 서사성 - 서울, 안동, 광주, 전주를 분석대상으로 한 기호학 기반의 학제적 접근
Eine semiotische Untersuchung der kulturellen Identitäten und Narrativitäten von den koreanischen Städten
기호학 연구 |
30 |
2011 |
언어학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族譜, 童蒙書, 地誌, 日記類 등 책판의 성격과 가치
The Nature and Value of Woodblocks Housed in Korea Studies Advancement Center including Genealogical Tables, Dongmongseos, Jijis, and Journals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族譜, 童蒙書, 地誌, 日記類 등 책판의 성격과 가치
The Nature and Value of Woodblocks Housed in Korea Studies Advancement Center including Genealogical Tables, Dongmongseos, Jijis, and Journals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
映湖樓 차운시에 대하여
淺析映湖樓次韻詩
포은학연구 |
5 |
2010 |
기타인문학
映湖樓 차운시에 대하여
淺析映湖樓次韻詩
포은학연구 |
5 |
|
2010 |
기타인문학
단군을 배경으로 한 독립운동가 -경상도, 안동 지역을 중심으로-
DANGUN(檀君)-faith in the Background Independence Activist
仙道文化 |
11 |
2011 |
기타철학일반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문집류 책판의 성격과 가치
The Nature and Value of Woodblocks Housed in Korea Studies Advancement Center including Type of the Collections of Works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문집류 책판의 성격과 가치
The Nature and Value of Woodblocks Housed in Korea Studies Advancement Center including Type of the Collections of Works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
문화유산 관광도시의 브랜드 개성이 방문객 만족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세계 문화유산 등재 지역 안동시를 대상으로 -
The Influence of Cultural Heritage City's Brand Personality on Visitor's Satisfaction and Recommended Intention - Focusing on World Heritage Site, 'An-Dong City' -
관광연구 |
27 |
1 |
2012 |
관광학일반
響山 李晩燾의 생애와 순국
Hyangsan Lee, Man-do’s Life and His Dying for the Fatherland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7 |
2010 |
역사학
響山 李晩燾의 생애와 순국
Hyangsan Lee, Man-do’s Life and His Dying for the Fatherland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
37 |
2010 |
역사학
조선 영조대 무신란과 안동 지방의 ‘의병’
The Musin Revolt in 1728 and ‘Patriotic Soldiers’ in the Andong Area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in the Joseon Dynasty
韓國史學報 |
42 |
2011 |
역사학
鄭逑(1543-1620)의 학자․관료적 삶과 安東”使 재임
The Chung ku’s scholarly and government official life during his term as Andong busa
영남학 |
17 |
2010 |
기타인문학
鄭逑(1543-1620)의 학자․관료적 삶과 安東”使 재임
The Chung ku’s scholarly and government official life during his term as Andong busa
영남학 |
|
17 |
2010 |
기타인문학
일제강점기 안동인의 역사저술과 역사인식
Historical Description and Perception of Andonger in Japanese colonial era
국학연구 |
20 |
2012 |
기타인문학
문화콘텐츠산업의 전략적 수용과 안동 문화정체성의 재구성
The Strategic Adoption of Creative Industry and Its Impact on the Reconstruction of Cultural Identity in Andong Province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7 |
5 |
2011 |
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