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연구분야 : B101101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한국

클래스 : 도시/구/동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3

한자 : 慶尙北道

x01-03 도시/구/동명

위치

대한민국 (大韓民國)

면적_t

19026.06㎢

인구_t

2,696,554(2013년)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경북 [ 慶北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X01 지명 지명

대구 경북 [ 大邱慶北 ]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경상도 [ 慶尙道 ]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x01-01 대륙(반도)명 대륙(반도)명

한반도 () [ 韓半島 ]

N2:부분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영덕현 [ 盈德縣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용궁읍치 [ 龍宮 邑治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군위현 [ 軍威縣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금릉군 [ 金陵郡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영양읍 [ 英陽邑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고령현 [ 高靈縣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영덕읍 [ 盈德邑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성주군 [ 星州郡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군위읍 [ 軍威邑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청하현 [ 淸河縣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자인현 [ 慈仁縣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봉화현 [ 奉化縣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영일군 [ 迎日郡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풍기군 [ 豊基郡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경주부 [ 慶州府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울릉도 () [ 鬱陵島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울진현 [ 蔚珍縣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인동부 [ 仁同府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의성현 [ 義城縣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현풍현 [ 玄風縣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의흥현 [ 義興縣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함창현 [ 咸昌縣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오미 마을 [ 五美--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하양현 [ 河陽縣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5 바다/강/호수명 바다/강/호수명

심곡지 [ 深谷池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함창읍 [ 咸昌邑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예천현 [ 醴泉縣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평해군 [ 平海郡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예안현 [ 禮安縣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침곡리 [ 針谷里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신녕현 [ 新寧縣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4 산/산맥명 산/산맥명

팔공산 [ 八公山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용궁현 [ 龍宮縣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상주목 [ 尙州牧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경주군 [ 慶州郡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남동부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경주 () [ 慶州 ]

R1:개념적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경북 동해안 방언 [ 慶北東海岸方言 ]

RT (관련어)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지례현 [ 知禮縣 ]

교육전문직 인사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인식 분석: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An Inquiry on the Personal Administration System of Educational Supervisors

초등교육연구 | 23 | 4 | 2010 | 교육학

교육전문직 인사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인식 분석: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An Inquiry on the Personal Administration System of Educational Supervisors

초등교육연구 | 23 | 4 | 2010 | 교육학

도농 간 고교 교육격차 및 교육균형 발전방안에 대한 교사인식 분석

The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 on High School Educational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and Educational Balance Development Way

한국교원교육연구 | 27 | 1 | 2010 | 교육학

도농 간 고교 교육격차 및 교육균형 발전방안에 대한 교사인식 분석

The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 on High School Educational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and Educational Balance Development Way

한국교원교육연구 | 27 | 1 | 2010 | 교육학

농지연금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경상북도를 대상으로-

An Analysis on Economic Effects of Farmland Annuity -Focused on Gyeongsangbuk-do-

한국지방자치연구 | 14 | 2 | 2012 | 기타행정학

경북지역 수출중소기업의 수출지원제도 활용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Export Assistance Programsfor SMEs in Gyeongsangbuk-do

관세학회지 | 12 | 2 | 2011 | 무역학

경상북도 도자산업의 육성방안 연구 -도자기 지원센터 건립방안을 중심으로-

Possible Ways to Foster Local Ceramic Industry in Gyeongbuk Province: Based on Practical Plans for the Establishment of Ceramic Industry Assistance Center

한국도자학연구 | 7 | 2 | 2011 | 기타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