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도

연구분야 : B160401 사회과학 > 지리학 > 지역지리학 > 한국지리

클래스 : 도시/구/동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8

STNet ID : 1000086

한자 : 慶尙道
영어 : Gyeongsang Province

x01-03 도시/구/동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전후

PT (이전명)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영남도 [ 嶺南道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X01 지명 지명

하삼도 () [ 下三道 ]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X01 지명 지명

남도 () [ 南道 ]

N2:부분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경상남도 [ 慶尙南道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울산광역시 [ 蔚山廣域市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대구광역시 () [ 大邱廣域市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부산광역시 () [ 釜山廣域市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경상북도 [ 慶尙北道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경상도읍지 [ 慶尙道邑志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영남읍지 [ 嶺南邑志 ]

RT (관련어)

 

X01 지명 지명

영향현 [ 英陽縣 ]

RT (관련어)

 

 

영남 지방 () [ 嶺南地方 ]

조선 전기 공납용 백자제작에 따른 분청사기 양식변화

Evolution of the Buncheong Wares in the Early Joseon Period as the White Porcelain Takes over the Taxation Supply

미술사학 | 24 | 2010 | 미술

조선 전기 공납용 백자제작에 따른 분청사기 양식변화

Evolution of the Buncheong Wares in the Early Joseon Period as the White Porcelain Takes over the Taxation Supply

미술사학 | 24 | | 2010 | 미술

단군을 배경으로 한 독립운동가 -경상도, 안동 지역을 중심으로-

DANGUN(檀君)-faith in the Background Independence Activist

仙道文化 | 11 | 2011 | 기타철학일반

사회경제사의 측면에서 본 조선시대 경상도의 성쇠

Rise and Fall of Gyeongsang-do Province Seen in Socio-Economic Perspective during Joseon Dynasty

대구사학 | 108 | 2012 | 역사학

17세기 경상도지역 공물수취체제와 영남대동법의 실시

Collection System of Tributary Payment in Kind in Gyeongsang District and Implementation of Yeongnam Daedong Law in the 17th Century

韓國史學報 | 46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