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연구분야 : B160401 사회과학 > 지리학 > 지역지리학 > 한국지리

클래스 : 대륙(반도)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271

STNet ID : 9000683

한자 : 韓半島
영어 : the Korean Peninsula

x01-01 대륙(반도)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조선반도 [ 朝鮮半島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반도 [ 半島 ]

N2:부분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2 국가명 국가명

대한민국 () [ 大韓民國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마식령산맥 () [ 馬息嶺山脈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경상북도 [ 慶尙北道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A02 기관/조직 기관/조직

주변 4강 () [ 周邊四强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한반도 분단 [ 韓半島分斷 ]

RT_Y (◄관련어)

관련 지역

d04-04 전략/전술 전략/전술

안정화작전 () [ 安定化作戰 ]

South Korea’s Strategy for North Korean Contingency : Beyond Interventions of China and the United States

한국의 북한급변사태 대비 전략 : 중국과 미국의 개입을 넘어서

신아세아 | 18 | 3 | 2011 | 정치외교학

Russia's Security Priorities in Northeast Asia

동북아에서의 러시아의 안보 현안들

전략연구 | 19 | 55 | 2012 | 정치외교학

三國史記의 氣象異變考

A Study on the climate articles of Samguksagi

민족문화논총 | 45 | 2010 | 기타인문학

三國史記의 氣象異變考

A Study on the climate articles of Samguksagi

민족문화논총 | | 45 | 2010 | 기타인문학

전근대 동아시아와 전란, 그리고 변경인

The Pre-modern East Asia and the War, People on the Frontier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근대 동아시아와 전란, 그리고 변경인

The Pre-modern East Asia and the War, People on the Frontier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제6장 북한 급변 시나리오의 비판적 고찰

An Analysis on Major North Korea Collapse Scenarios

통일전략 | 10 | 2 | 2010 | 북한정치/통일

제6장 북한 급변 시나리오의 비판적 고찰

An Analysis on Major North Korea Collapse Scenarios

통일전략 | 10 | 2 | 2010 | 북한정치/통일

오스트리아 중립화 문화가 남북한에 주는 함의와 교훈

A Study on a Lesson of Austria Neutrality Culture Giving to South and North Korea

남북문화예술연구 | 6 | 2010 | 기타예술일반

오스트리아 중립화 문화가 남북한에 주는 함의와 교훈

A Study on a Lesson of Austria Neutrality Culture Giving to South and North Korea

남북문화예술연구 | | 6 | 2010 | 기타예술일반

중국조선족의 초국가적 활동과 한반도 - 디아스포라의 초국가적 성격에 관한 시각을 중심으로

Diaspora’s Transnational Nature and the Home Country: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Korean and Korean Peninsula

평화학연구 | 13 | 1 | 2012 | 정치외교학

China’s Position on Korea’s Unification

한국동북아논총 | 15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China’s Position on Korea’s Unification

한국동북아논총 | 15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上古時期 韓半島와 日本列島間 주민이동 및 교류양상에 관한 검토

The examination about an inhabitants'migration and interchanging aspect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s at ancient times

한국학연구 | 34 | 2010 | 기타인문학

上古時期 韓半島와 日本列島間 주민이동 및 교류양상에 관한 검토

The examination about an inhabitants'migration and interchanging aspect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s at ancient times

한국학연구 | | 34 | 2010 | 기타인문학

Human Security In Global Governance: Implications for the East Asian Region Focusing on South Korea

글로벌 거버넌스와 인간안보: 한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함의

Oughtopia (오토피아) | 26 | 2 | 2011 | 기타정치외교학

클라우제비츠 “무게중심” 개념 분석과 유형별 중심의 한반도에서의 적용

Analysis on Clausewitz's Concept of "Center of Gravity" and the Application of Each Type of Center of Gravity to the Korean Peninsula

국가전략 | 17 | 4 | 2011 | 정치외교학

이슬람 동방전파의 유형연구(중국과 한반도를 중심으로)

A Study of Islamic Propagation Type to Orient

한국이슬람학회논총 | 22 | 1 | 2012 | 종교학

중국의 한반도 군사개입 전략에 대한 역사적 고찰

A Historical Research on the Korean Peninsula Military Intervention Strateg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군사 | 76 | 2010 | 역사학

중국의 한반도 군사개입 전략에 대한 역사적 고찰

A Historical Research on the Korean Peninsula Military Intervention Strateg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군사 | | 76 | 2010 | 역사학

미국의 아시아 올인정책

US “all-in” in Asia policy

전략연구 | 19 | 55 | 2012 | 정치외교학

국가보훈과 한반도 통일 - ‘국가보훈학’의 개념정립과 관련하여 -

The Veterans Welfare and the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 On Setting up the Concept of the Studies of Veterans Welfare

민족사상 | 5 | 1 | 2011 | 한국정치사상

한국형 블록버스터 영화의 한국 민족주의적 특성: <공동경비구역 JSA>와 <한반도>를 중심으로

The Korean Nationalist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Blockbuster Films: Focusing on and

한국언론정보학보 | 59 | 3 | 2012 | 신문방송학

분단체제에 대한 2000년대 한국소설의 서사적 응전

Narrative Challenge of Korean Novel in the 2000s for the Divided Systems

한국문학논총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의 통일 정책 평가와 과제

Multi Dimensional Engagement Approach toward North Korea

신아세아 | 17 | 4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의 통일 정책 평가와 과제

Multi Dimensional Engagement Approach toward North Korea

신아세아 | 17 | 4 | 2010 | 정치외교학

‘문선명 총재-김일성 주석 단독회담’의 역사적 의미와 평가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Assessment on the Summit-level Meeting between Moon Sun-myung (President of FFWPU) and Kim Il-sung (Leader of North Korea / Eternal President of DPRK)

평화학연구 | 13 | 1 | 2012 | 정치외교학

한국 · 일본 · 중국 3자 전쟁 모델 : 패권이론에 의한 역사성과 교훈

Hegemony and Historical-Comparative Perspectives on Wars in a 3 State Northeast Asian System

정치·정보연구 | 13 | 1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 · 일본 · 중국 3자 전쟁 모델 : 패권이론에 의한 역사성과 교훈

Hegemony and Historical-Comparative Perspectives on Wars in a 3 State Northeast Asian System

정치·정보연구 | 13 | 1 | 2010 | 정치외교학

러시아의 대(對)동북아 석유·가스 공급망 구축: 국제∙지역정치적 의미 및 영향에 대한 네트워크 세계정치론적 이해

Global Network Politics of Russia’s Oil and Gas Pipeline Network Construction toward Northeast Asia

국제정치논총 | 52 | 3 | 2012 | 정치외교학

제6장 이명박 정부의 출범 이후 통일환경의 변화에 따른 통일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Desirable Direction to Unification Education in Changing Political Environment

통일전략 | 10 | 3 | 2010 | 북한정치/통일

제6장 이명박 정부의 출범 이후 통일환경의 변화에 따른 통일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Desirable Direction to Unification Education in Changing Political Environment

통일전략 | 10 | 3 | 2010 | 북한정치/통일

한반도 간행 일본어잡지에 나타난 조선문예물 번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orean Literature Translated in Japanese Magazine during Colonial Piriod

일본연구 | 33 | 2012 | 일본어와문학

China, the Nuclear Problem, and Prospect of the Peninsular: Persistent Dilemmas with a Promising Future

중국, 핵문제, 그리고 한반도의 전망 : 약속된 장래와 영구적 딜레마

Journal of China Studies | 8 | 2010 | 중국

China, the Nuclear Problem, and Prospect of the Peninsular: Persistent Dilemmas with a Promising Future

중국, 핵문제, 그리고 한반도의 전망 : 약속된 장래와 영구적 딜레마

Journal of China Studies | | 8 | 2010 | 중국

제7장 9‧11 테러 이후 미국의 안보전략과 대북정책

The Security Strategy and North Korean Policy of the United States after September 11

통일전략 | 10 | 1 | 2010 | 북한정치/통일

제7장 9‧11 테러 이후 미국의 안보전략과 대북정책

The Security Strategy and North Korean Policy of the United States after September 11

통일전략 | 10 | 1 | 2010 | 북한정치/통일

한반도 평화공동체와 안병무의 민중공동체

Peace Community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Minjung Community

신학연구 | 48 | 2 | 2011 | 기독교신학

탈식민적 분단국가의 재생산: 남북한과 아일랜드-북아일랜드의 사회적 장벽 비교

Reproduction of Post-Colonial Divided States: A Comparative Analysis on Social Partition between Two Koreas and Ireland-Northern Ireland

한국과 국제정치 | 28 | 3 | 2012 | 정치외교학

한국과 돈황의 교류 및 상호인식

韓國和敦煌的交流與相互認識

동아인문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미일동맹과 한국의 안보

The U.S. - Japan Alliance and Korean Security

전략연구 | 17 | 50 | 2010 | 정치외교학

미일동맹과 한국의 안보

The U.S. - Japan Alliance and Korean Security

전략연구 | 17 | 50 | 2010 | 정치외교학

한반도 세석기제작 작업공정과 돌감이용 양상

Microlithic Technology and Raw Materials Use in Korea

호서고고학 | 26 | 2012 | 기타고고학

North Korean Military Capability and its Nuclear Program: Assessment and Prediction

북한의 군사력과 핵 프로그램: 진단과 전망

신아세아 | 18 | 4 | 2011 | 정치외교학

제2차 세계대전기 중국정부의 전후 한반도 처리 구상과 임정승인 논의

The Chinese Government's Problems of Korean Peninsula Readjustment and Discussion of Approval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the 2nd World War

진단학보 | 111 | 2011 | 역사학

해수면 변동으로 본 한반도 홀로세(Holocene) 기후변화

Holocene climate characteristics in Korean Peninsula with the special reference to sea level changes

한국지형학회지 | 18 | 4 | 2011 | 지리학

“朝鮮半島新和平構想”與朝韓關係

한반도 신평화구상과 남북관계

동북아연구 | 25 | 1 | 2010 | 국제관계/협력

“朝鮮半島新和平構想”與朝韓關係

한반도 신평화구상과 남북관계

동북아연구 | 25 | 1 | 2010 | 국제관계/협력

韓半島非核化への重層的アプローチ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다층적 접근

법학연구 | 14 | 1 | 2011 | 법학

일제침략기 중국사회의 ‘한국’ 인식 - 한국관련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

Chinese Awareness of Korea in Japanese Colonial Rule - Focused on the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Korea-

진단학보 | 113 | 2011 | 역사학

中美關系变化와 韓半島平和

The Chang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 and China and the Peace in Korean Peninsula

사회과학연구 | 23 | 3 | 2012 | 사회과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