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분단

연구분야 : B020109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정치학사/정치사

클래스 : 상태/상황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0209

한자 : 韓半島分斷
영어 : Korean Peninsula division

c03-01 상태/상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x01-01 대륙(반도)명 대륙(반도)명

한반도 () [ 韓半島 ]

S:동의

UF (비우선어)

 

 

남북 분단 [ 南北分斷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분단 [ 分斷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x01-02 국가명 국가명

소련 () [ 蘇聯 ]

isAffectedBy (영향요인)

 

x01-02 국가명 국가명

미국 () [ 美國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분단 문학 () [ 分斷文學 ]

R3:시간적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8.15 해방 () [ 八一五解放 ]

간첩사건의 행위자 네트워크: 북한과의 접촉 사건에 대한 스토리텔링의 패턴과 그 변화

Act-Network Theory on Korean Spy Cases: The Analysis of Changing in Storytelling Patterns of Contact between North and South

경제와 사회 | 94 | 2012 | 사회학

행위자-연결망 이론과 분단 연구: 분단 번역의 정치와 ‘일상으로의 전환’

The Actor-Network Theory and Studies on the Korean Peninsula: Politics of Translation and ‘turn to Everyday Life’ on the Division Understanding

동향과 전망 | 83 | 2011 | 사회과학일반

제8장 한반도 분단의 성격 - 대내외적 요인 -

On the Characteristics and Establishment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통일전략 | 10 | 3 | 2010 | 북한정치/통일

제8장 한반도 분단의 성격 - 대내외적 요인 -

On the Characteristics and Establishment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통일전략 | 10 | 3 | 2010 | 북한정치/통일

분단과 전쟁의 디아스포라-재일조선인 문제를 중심으로

Korean Division and Korean Diaspora: focusing on Korean Residents in Japan

역사비평 | 91 | 2010 | 역사학

분단과 전쟁의 디아스포라-재일조선인 문제를 중심으로

Korean Division and Korean Diaspora: focusing on Korean Residents in Japan

역사비평 | | 91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