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

연구분야 : A020411 인문학 > 역사학 > 서양사 > 러시아사

클래스 : 국가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6749

한자 : 蘇聯

x01-02 국가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 [ --社會主義聯邦共和國 ]

UF (비우선어)

 

 

소비에트 사회 주의 공화국 연방 [ --社會主義共和國聯邦 ]

UF (비우선어)

 

 

소비에트 사회 주의 공화국 [ --社會主義共和國 ]

UF (비우선어)

 

 

구소련 [ 舊蘇聯 ]

UF (비우선어)

약어

 

USSR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북방 삼각 관계 [ 北方三角關係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사회주의 국가 () [ 社會主義國家 ]

R1:개념적

affects (영향)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한반도 분단 [ 韓半島分斷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소련 위협론 [ --威脅論 ]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소련 점령 지역 [ 蘇聯占領地域 ]

RT (관련어)

 

x01-02 국가명 국가명

러시아 () [Russia]

RT (관련어)

 

A02 기관/조직 기관/조직

소련 기업 [ 蘇聯企業 ]

RT (관련어)

관련 국가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냉전 체제 () [ 冷戰體制 ]

R2:기능적

produces (대상 개념)

 

 

폴란드 침공 [Invasion of Poland]

CLT:참조용어

isNationalityOf  

 

 

소련작가동맹 () [ 蘇聯作家同盟 ]

러시아와 일본의 쿠릴섬 문제: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을 중심으로

The Issue of the Kurile Islands between Russia and Japan:A Case of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군사 | 74 | 2010 | 역사학

러시아와 일본의 쿠릴섬 문제: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을 중심으로

The Issue of the Kurile Islands between Russia and Japan:A Case of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군사 | | 74 | 2010 | 역사학

러시아와 일본의 쿠릴섬 문제: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을 중심으로

The Issue of the Kurile Islands between Russia and Japan:A Case of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군사 | 74 | 2010 | 역사학

러시아와 일본의 쿠릴섬 문제: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을 중심으로

The Issue of the Kurile Islands between Russia and Japan:A Case of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군사 | | 74 | 2010 | 역사학

Democratic Process of Mongolian Political Parties

몽골 정당 민주화 과정

사회과학연구 | 22 | 4 | 2011 | 사회과학일반

해방기 시의 공간 표상 방식 연구

A Study on Spatial Representation in Poems of the Liberation Period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How Afghanistan was broken: The disaster of the Soviet intervention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15 | 3 | 2012 | 지역학

폴란드 제2공화국 하에서 농민당의 외교정책 연구

A Study on the Polish People’s Party’s Foreign Policy(1918-1939)

EU연구 | 27 | 2010 | 지역학

폴란드 제2공화국 하에서 농민당의 외교정책 연구

A Study on the Polish People’s Party’s Foreign Policy(1918-1939)

EU연구 | | 27 | 2010 | 지역학

폴란드 제2공화국 하에서 농민당의 외교정책 연구

A Study on the Polish People’s Party’s Foreign Policy(1918-1939)

EU연구 | 27 | 2010 | 지역학

폴란드 제2공화국 하에서 농민당의 외교정책 연구

A Study on the Polish People’s Party’s Foreign Policy(1918-1939)

EU연구 | | 27 | 2010 | 지역학

현대 러시아의 한국전쟁 관련 연구사적 검토

Historiography of Korean war(1950-1953) in Russia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25 | 2010 | 기타인문학

현대 러시아의 한국전쟁 관련 연구사적 검토

Historiography of Korean war(1950-1953) in Russia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 25 | 2010 | 기타인문학

North Korea’s Quest for Nuclear Weapons: New Historical Evidence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 10 | 1 | 2010 | 지역학

North Korea’s Quest for Nuclear Weapons: New Historical Evidence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 10 | 1 | 2010 | 지역학

미국의 두 표상 - 해방기 북조선 문학의 미국에 대한 인식 연구 -

The Two Symbol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 A Study on Awareness of it by Literature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n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

한국문예비평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냉전기 한국 지식인의 소련 인식 — 반공 이데올로그의 저작을 중심으로

The Korean Intellectual's Perception of Soviet Union in the Cold War eras: An analysis of Anti-communist Ideologue's Writings

아시아문화연구 | 19 | 2010 | 기타인문학

냉전기 한국 지식인의 소련 인식 — 반공 이데올로그의 저작을 중심으로

The Korean Intellectual's Perception of Soviet Union in the Cold War eras: An analysis of Anti-communist Ideologue's Writings

아시아문화연구 | 19 | | 2010 | 기타인문학

고려인 강제 이주 원인과 민족 정체성

The reasons for deportation of Korean Diaspora of Russia·CIS and identity of races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35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고려인 강제 이주 원인과 민족 정체성

The reasons for deportation of Korean Diaspora of Russia·CIS and identity of races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 35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제2차 세계대전 후 폴란드와 한국에서의 정부 수립과정 비교

A Comparison of Government Establishment in Poland and Korea after World War II

대구사학 | 100 | 2010 | 역사학

제2차 세계대전 후 폴란드와 한국에서의 정부 수립과정 비교

A Comparison of Government Establishment in Poland and Korea after World War II

대구사학 | 100 | | 2010 | 역사학

중앙아시아 한인의 공동작품집 『조선시집』에 나타난 민족적 정체성 고찰

A Study on the national identity in the Poetical works of Chosun

우리말글 | 52 | 2011 | 한국어와문학

북한이 수용한 ‘사회주의 쏘련’의 이미지

The Image of ‘the Socialist Soviet Union’ Received by North Korea

통일문제연구 | 22 | 2 | 2010 | 정치외교학

북한이 수용한 ‘사회주의 쏘련’의 이미지

The Image of ‘the Socialist Soviet Union’ Received by North Korea

통일문제연구 | 22 | 2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전쟁기 소련의 유엔 안보리 불출석과‘드러나지 않은’ 개입

Soviet Union’s Absence from UN Security Council during the Korea War and Undisclosed Intervention

중소연구 | 34 | 3 | 2010 | 사회과학

한국전쟁기 소련의 유엔 안보리 불출석과‘드러나지 않은’ 개입

Soviet Union’s Absence from UN Security Council during the Korea War and Undisclosed Intervention

중소연구 | 34 | 3 | 2010 | 사회과학

북‐중‐소 삼각관계가 6ㆍ25전쟁 과정과 전후 북한외교 행태에 미친 영향 :기밀해제문서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Sino-Soviet-North Korean Triangular Relations on the Course of the Korean War and Postwar North Korean Foreign Relations: Evidence from Declassified Documents

한국학 | 33 | 3 | 2010 | 기타인문학

북‐중‐소 삼각관계가 6ㆍ25전쟁 과정과 전후 북한외교 행태에 미친 영향 :기밀해제문서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Sino-Soviet-North Korean Triangular Relations on the Course of the Korean War and Postwar North Korean Foreign Relations: Evidence from Declassified Documents

한국학 | 33 | 3 | 2010 | 기타인문학

러시아(소련)의 대한민국임시정부 인식

Soviet Russia’s Evaluation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역사문화연구 | 35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과 소련의 역할 -1949년 3월 조소 양국 정부의 협상을 중심으로-

The Role of Soviet Union in the Korean War

대구사학 | 100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과 소련의 역할 -1949년 3월 조소 양국 정부의 협상을 중심으로-

The Role of Soviet Union in the Korean War

대구사학 | 100 | | 2010 | 역사학

소련의 북한 정치세력에 대한 정책: 1945-1948

Soviet Policy toward the North Korean Politics: 1945-1948

21세기정치학회보 | 20 | 1 | 2010 | 정치외교학

소련의 북한 정치세력에 대한 정책: 1945-1948

Soviet Policy toward the North Korean Politics: 1945-1948

21세기정치학회보 | 20 | 1 | 2010 | 정치외교학

사회주의 도시와 사적 영역

The Socialist City and the Private Sphere

중소연구 | 36 | 2 | 2012 | 사회과학

훈령으로 본 소련의 미소공동위원회 전략

The Soviet strategies on the American-Soviet Joint Commission reviewed through the Soviet Directions

역사문제연구 | 14 | 2 | 2010 | 역사학

훈령으로 본 소련의 미소공동위원회 전략

The Soviet strategies on the American-Soviet Joint Commission reviewed through the Soviet Directions

역사문제연구 | 14 | 2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