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 체제

연구분야 : B020000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826

STNet ID : 2000152

한자 : 冷戰體制
영어 : The Cold War System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c03-05 정치/국제 / x02-02 기간 기간

냉전 () [ 冷戰 ]

S:동의

UF (비우선어)

 

 

냉전 구조

R1:개념적

isCausedBy (원인)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제2차 세계대전 () [ 第二次世界大戰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사회주의 () [ 社會主義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자본주의 () [ 資本主義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전방위 외교 [ 全方位外交 ]

RT (관련어)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평화 체제 [ 平和體制 ]

RT (관련어)

관련 국가

x01-02 국가명 국가명

소련 () [ 蘇聯 ]

RT (관련어)

관련 국가

x01-02 국가명 국가명

미국 () [ 美國 ]

RT (관련어)

관련 사건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베트남 전쟁 () [ --戰爭 ]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탈냉전 체제 [ 脫冷戰體制 ]

X: 제외

isOppositionOf (대항/억제)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비동맹 [ 非同盟 ]

미군정하 흥사단 계열 지식인의 냉전 인식과 국가건설 구상

Nation-Building Plan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Cold War among Liberal Intellectuals of the Young Korean Academy under the American Military Regime

한국사상사학 | 38 | 2011 | 역사학

1960~70년대 한국의 대중사회화와 대중문화의 정치적 의미

The Process of Becoming Mass Society and the Political Meaning of Popular Culture in 1960s~1970s' Korea

상허학보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강남개발과 강북의 탄생과정 고찰

The Birth of Gangbuk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Gangnam

서울학연구 | 41 | 2010 | 기타인문학

강남개발과 강북의 탄생과정 고찰

The Birth of Gangbuk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Gangnam

서울학연구 | | 41 | 2010 | 기타인문학

중국의 한국 4・19 혁명에 대한 인식 -『人民日報』를 중심으로-

China’s View on the April 19th Movement of Korea

史叢(사총) | 71 | 2010 | 기타역사일반

중국의 한국 4・19 혁명에 대한 인식 -『人民日報』를 중심으로-

China’s View on the April 19th Movement of Korea

史叢(사총) | | 71 | 2010 | 기타역사일반

냉전체제 형성기(1945~1948) 中華民國의 한국인식 - 국민당 언론의 한국 기사를 중심으로 -

China’s Understanding toward Korea in the Formative Period (1945~1948) of the Cold War System : Focusing on Korea-related Reports of Chinese Nationalist Party Mass Media

동북아역사논총 | 29 | 2010 | 역사학

두 근대의 마주침, ‘급진 민주주의’와 ‘중국 특색의 민주주의’

Encounter of two modern, ‘Radical Democracy’ and ‘Chinese-style Democracy’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 22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