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단 문학

연구분야 : A100600 인문학 > 문학 > 문학장르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6068

STNet ID : 1002573

한자 : 分斷文學
독일어 : Teilungsliteratur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남북한 문학 () [ 南北韓文學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한반도 분단 [ 韓半島分斷 ]

hasIssue (이슈/주제)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분단 [ 分斷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통일 문학 [ 統一文學 ]

박완서와 근대문학사 -서사의 힘으로 1990년대에 맞선 작가-

Park Wan-suh and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Challenging the 1990s' Post-Modernism with the Power of Narrative-

여성문학연구 | 25 | 2011 | 한국어와문학

백석 문학 연구의 현황과 문학사적 균열의 지점

Status of Baek Seok Literature Research and Point of Literary Crack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통일문학 담론의 반성과 분단문학의 기원 재검토

Examination of the Discussion for the Unification Literature and Reconsideration of the Origin for the Division Literature

민족문학사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통일문학 담론의 반성과 분단문학의 기원 재검토

Examination of the Discussion for the Unification Literature and Reconsideration of the Origin for the Division Literature

민족문학사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6.25전쟁시 연구와 분단문학 극복

Korean War-poetry and an Effort to overcome Polarized Literature

한국문학논총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6.25전쟁시 연구와 분단문학 극복

Korean War-poetry and an Effort to overcome Polarized Literature

한국문학논총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분단 상처와 치유의 상상력- 하근찬 소설을 중심으로 -

Wounds of the Division and Imagination of Healing -With Focus on Ha Geun-chan’s Novels-

우리말글 | 52 | 2011 | 한국어와문학

황석영 소설의 ‘한국’ 번역과 혼종성: 『손님』을 중심으로

Cultural Translation of ‘Korea’ and Hybridity in Hwang, Sok-yong’s Novel ―Focused on The Guest

비평문학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분단체제에 대한 2000년대 한국소설의 서사적 응전

Narrative Challenge of Korean Novel in the 2000s for the Divided Systems

한국문학논총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

북한 소설에 나타난 6.25전쟁 전후 서울과 평양의 도시 이미지

Comparison of the Images of Seoul and Pyeongyang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as Manifested in the North Korean Novels

북한연구학회보 | 15 | 2 | 2011 | 정치외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