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현상, 그리고 희망 혹은 희망고문: 상식, 정의, 공유의 관점에서 본 2012년의 한국 정치
The Ahn Cheol-su Phenomenon and Hope or Hope Torture 2012 Korean Politics from the Perspective of Common Sense, Justice and Sharing
경제와 사회 |
93 |
2012 |
사회학
‘조선/한국전쟁’ 혹은 ‘분열/분단’ ― 기억의 승인을 둘러싸고
'Chosun War/Korean War' or 'Split/Partition' ― in regard to approval of memory
대동문화연구 |
79 |
2012 |
기타인문학
내부망명자의 고독 - 안수길 후기소설에 나타난 ‘망명의식’의 문제를 중심으로
An Emigrant's Political Solitude: About the Sense of Emigration in Ahn Su-gil's late works
한국문학논총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분단극복사론’의 첫 성과 『조선민족혁명당과 통일전선』
The First Theoretical Attempt to Overcome the Division of Korea-The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of Korea and the United Front-
한국사연구 |
149 |
2010 |
역사학
‘분단극복사론’의 첫 성과 『조선민족혁명당과 통일전선』
The First Theoretical Attempt to Overcome the Division of Korea-The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of Korea and the United Front-
한국사연구 |
|
149 |
2010 |
역사학
Writing at the Ideological Frontline of the Cold War:The Individual and the Divided Nation in Choi In-Hoon’s The Square and Uwe Johnson’s Speculations about Jakob
냉전의 최전선에서의 글쓰기-최인훈의『광장』과 우베 욘존의『야콥을 둘러싼 추측들』에서의 개인과 분단국가
사이間SAI |
11 |
2011 |
기타국문학
탈식민적 분단국가의 재생산: 남북한과 아일랜드-북아일랜드의 사회적 장벽 비교
Reproduction of Post-Colonial Divided States: A Comparative Analysis on Social Partition between Two Koreas and Ireland-Northern Ireland
한국과 국제정치 |
28 |
3 |
2012 |
정치외교학
냉전의 ‘이종적 연결망’으로서 ‘평화의 댐’ 사건: 행위자-연결망 이론을 통한 경험적 추적
‘Peace Dam’ as One of the Heterogeneous Network Affairs of the Cold War: Empirical Traces through ANT
동향과 전망 |
83 |
2011 |
사회과학일반
<굿바이 레닌>과 <간 큰 가족>의 스토리텔링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torytelling on Goodbye, Lenin and A Family with a Big Liver
문학과 영상 |
12 |
1 |
2011 |
영상문학
비판적 한국학의 탐색 - 한국학과 사회인문학의 대화 -
A Research for Critical Korean Studies - Dialogue between Korean Studies and Social Humanities -
역사와 실학 |
44 |
2011 |
기타역사일반
푸에블로호 사건과 한미관계
Pueblo incident and Korea-U.S. relations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85 |
2010 |
사회학
푸에블로호 사건과 한미관계
Pueblo incident and Korea-U.S. relations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
85 |
2010 |
사회학
2009 개정 교육과정 한국사 교과서 현대사 부분 분석
An Analysis of Description on Modern Korean History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역사교육 |
116 |
2010 |
역사학
2009 개정 교육과정 한국사 교과서 현대사 부분 분석
An Analysis of Description on Modern Korean History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역사교육 |
|
116 |
2010 |
역사학
김학수의 트라우마, 그 기억 속의 역사
Kim Hak-su's Trauma, History in his Memory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22 |
2011 |
미술
동독이주민에 대한 서독정부의 성공적 대응정책에 관한 일고
Eine Studie für die Flüchtlingspolitik des Westdeutschlandes
세계헌법연구 |
18 |
2 |
2012 |
법학
분단의 아비투스에 관한 철학적 성찰
Philosophical Reflection on the Habitus of Division
시대와 철학 |
21 |
3 |
2010 |
철학
분단의 아비투스에 관한 철학적 성찰
Philosophical Reflection on the Habitus of Division
시대와 철학 |
21 |
3 |
2010 |
철학
분단극복의 민족적 과제와 코리안 디아스포라
National task of Overcoming the Division and Korean diaspora
대동철학 |
58 |
2012 |
철학
한국 정치의 특수성에 관한 연구 서설: 분단, 압축성장, 단일사회 문화
An Analytical Framework for the Particularity of Korean Politics: National Division, Compressed Growth, and Singular-Society Culture
비교민주주의연구 |
7 |
1 |
2011 |
정치권력/정치과정
분단 상처와 치유의 상상력- 하근찬 소설을 중심으로 -
Wounds of the Division and Imagination of Healing -With Focus on Ha Geun-chan’s Novels-
우리말글 |
52 |
2011 |
한국어와문학
분단과 헌법 - 1948년 헌법을 중심으로 -
Division and Constitutional Law
민주법학 |
43 |
2010 |
법학
분단과 헌법 - 1948년 헌법을 중심으로 -
Division and Constitutional Law
민주법학 |
|
43 |
2010 |
법학
분단과 한국의 외교: 주변 4강과의 정상회담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the Division on Korean Foreign Policy: An Analysis on Summit Meeting with Surrounding Four Powers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분단과 한국의 외교: 주변 4강과의 정상회담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the Division on Korean Foreign Policy: An Analysis on Summit Meeting with Surrounding Four Powers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민족적 시각에서 보는 통일담론
Discuss Reunification under the Perspective of Ethnology
통일인문학 |
50 |
2010 |
기타인문학
민족적 시각에서 보는 통일담론
Discuss Reunification under the Perspective of Ethnology
통일인문학 |
50 |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