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공산

연구분야 : B101101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한국

클래스 : 산/산맥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8616

한자 : 八公山

x01-04 산/산맥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공산 [ 公山 ]

UF (비우선어)

 

 

부악 [ 父岳 ]

B2:전체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경상북도 [ 慶尙北道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도립공원 () [ 道立公園 ]

R1:개념적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관봉 석조여래좌상

몽고 침입과 부인사 대장경의 소실

The Invasion of Mongol and the Loss of the Tripitaka at Buin Buddhist Temple

한국중세사연구 | 28 | 2010 | 역사학

몽고 침입과 부인사 대장경의 소실

The Invasion of Mongol and the Loss of the Tripitaka at Buin Buddhist Temple

한국중세사연구 | | 28 | 2010 | 역사학

대구 팔공산의 지형자원

Geomorphic Resources of Mt. Palgong, in Daegu

한국지형학회지 | 18 | 4 | 2011 | 지리학

대구 팔공산의 가치와 활용방안

The Value and Application of The Mt. Palgong in Daegu

한국지형학회지 | 19 | 2 | 2012 | 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