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연구분야 : B101101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한국

클래스 : 도시/구/동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29

STNet ID : 1000088

한자 : 慶州
기타 : Gyeongju

x01-03 도시/구/동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nName (현재)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경주시 () [ 慶州市 ]

S:동의

UF (비우선어)

 

 

경주 지역 [ 慶州地域 ]

UF (비우선어)

 

 

경주 지방 [ 慶州地方 ]

S:전후

PT (이전명)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경주부 [ 慶州府 ]

B2:전체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남동부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경상북도 [ 慶尙北道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고도 () [ 古都 ]

R1:개념적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경주국립공원 () [ 慶州國立公園 ]

RT (관련어)

 

 

경주구황리금제여래좌상 () [ 慶州九黃里金製如來坐像 ]

RT (관련어)

 

 

경주구황리금제여래입상 () [ 慶州九黃里金製如來立像 ]

RT (관련어)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삼기 팔괴 [ 三奇八怪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경북 동해안 방언 [ 慶北東海岸方言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신라 흥덕왕릉 [ 新羅興德王陵 ]

RT (관련어)

 

 

경주 석빙고 [ 慶州石氷庫 ]

RT (관련어)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왕경 [ 王京 ]

R2:기능적

isManagedBy (관리 주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경주 영장 [ 慶州營將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서면 [ 西面 ]

합일(合一)에의 열망과 경주(신라)의 신화적 형상화 - 김동리 장편 역사소설 「삼국기」(상편), 「대왕암」(하편)을 중심으로

A Desire for Unity and Mythical Embodiment of Gyeongju(Silla) - Focusing on Kim, Dong-Lee’s full-length historical novels - “Samgukgi” (the first volume) and “Daewangam” (the last volume)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경주 관광도시 브랜드 경쟁력 강화를 위한 SWOT-AHP 분석

SWOT-AHP Analysis for Gyeongju Tourist City Brand Competitiveness Strength

관광레저연구 | 23 | 7 | 2011 | 관광학

첨성대 옛 기록의 분석

신라문화 | 39 | 2012 | 역사학

문화경관 연출을 위한 에코뮤지엄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경주시의 문화경관 분석을 중심으로 -

Study on Construction Ecomuseum for to produce a cultural landscape - With a analysis of cultural landscape in Gyeongju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 34 | 2011 | 기타예술체육

新羅 八部衆 圖像 전개에 있어 雙塔의 역할

Role of Twin Pagodas in Iconography development of Silla’s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新羅 八部衆 圖像 전개에 있어 雙塔의 역할

Role of Twin Pagodas in Iconography development of Silla’s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학교 교가에 담겨 있는 풍수적 요소 연구 -경주시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Feng-Shui Elements Represented in the School Songs in Gyeong-Ju City

인문과학연구논총 | 33 | 2 | 2012 | 기타인문학

17세기 경주 유향소의 위상: 경주이씨 양월문중 소장 고문서의 분석

The Status of Gyongju Yuhyangso in 17th Century: Analyzing the Old Documents in the Yangwol Family of Gyongju Yi Clan

古文書硏究 | 41 | 2012 | 역사학

慶州 月城·蚊川 題詠詩 硏究

A study of poems that sang of Weolseong and Muncheon in Kyungju

신라문화 | 36 | 2010 | 역사학

慶州 月城·蚊川 題詠詩 硏究

A study of poems that sang of Weolseong and Muncheon in Kyungju

신라문화 | | 36 | 2010 | 역사학

경주 지역 설화의 양상과 특성 − 특히 『한국구비문학대계』와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ales in Gyeongju(경주) - focusing on and

동방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경주 지역 설화의 양상과 특성 − 특히 『한국구비문학대계』와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ales in Gyeongju(경주) - focusing on and

동방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경주의 유난곡과 동도국악원의 활동

Yu Nangok and Dongdogugagwon

한국음악연구 | 49 | 2011 | 음악학

아이덴티티의 장소로서의 경주

Kyongju as a Place of Identity

한국문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아이덴티티의 장소로서의 경주

Kyongju as a Place of Identity

한국문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