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연구분야 : B101101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한국
B160401 사회과학 > 지리학 > 지역지리학 > 한국지리

클래스 : 도시/구/동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79

STNet ID : 1000027

한자 : 鬱陵島
기타 : Ulleungdo
기타 : Ulleung Island
기타 : 송도(松島: 마쓰시마)
기타 : 죽도(竹島: 다케시마)

x01-03 도시/구/동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종상 화산 () [ 鐘狀火山 ]

hasProperty (특성/속성)

 

 

삼무오다 [ 三無五多 ]

S:전후

PT (이전명)

 

 

무릉도 () [ 武陵島 ]

PT (이전명)

 

 

우릉도 () [ 于陵島 ]

B2:전체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경상북도 [ 慶尙北道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해식애 [ 海蝕崖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화산 지형 [ 火山地形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화산섬 () [ 火山-- ]

N2:부분

containsSubstance (구성물질(자연물))

 

 

나리 분지 ()

R1:개념적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안용복 () [ 安龍福 ]

CLT:참조용어

Location_ST (지명_대상)

 

 

성인봉 () [ 聖人峰 ]

한일 간 역사전쟁 : 독도 그 불편한 진실- 독도 영유권 문제를 둘러싼 한・일 양국 간 정부입장(Ⅰ・Ⅱ)에 대한 검토-

日韓歴史戦争:独島,その不都合な真実 -独島領有権問題をめぐる韓日両国間政府の立場(Ⅰ・Ⅱ)の検討-

韓國史學史學報 | 25 | 2012 | 역사학

연해주 및 동해북부 항로에 대한 연구 -고대를 중심으로

Tatar route and East Sea northern part route of East Asia's ocean space

이사부와 동해 | 1 | 2010 | 역사학

연해주 및 동해북부 항로에 대한 연구 -고대를 중심으로

Tatar route and East Sea northern part route of East Asia's ocean space

이사부와 동해 | 1 | | 2010 | 역사학

고대 동해안 지역의 정치적 동향과 우산국

신라문화 | 39 | 2012 | 역사학

한국의 화산지형 연구

Volcanic landforms in Korea

한국지형학회지 | 18 | 4 | 2011 | 지리학

이사부 생애와 활동의 역사적 의의

Biography of Isabu and historical implications of his activities

이사부와 동해 | 1 | 2010 | 역사학

이사부 생애와 활동의 역사적 의의

Biography of Isabu and historical implications of his activities

이사부와 동해 | 1 | | 2010 | 역사학

동남제도개척사 김옥균의 활동과 영토·영해 인식 - 울릉도·독도 인식을 중심으로 -

The Activities and Territorial Understanding of Kim Ok Gyun: The Land-Opening Official for the Southeastern Islands

동북아역사논총 | 36 | 2012 | 역사학

근세 돗토리번(鳥取藩) 町人의 울릉도 도해

Tottori Domain Merchants' Travel to Ulleungdo in the Tokugawa Period

한일관계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1900년대 초 일본 측 조선어업 조사 자료에 보이는 독도

Dokdo which appeared in materials on Joseon fisheries research carried out by Japan in the early 1900s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1 | 2012 | 역사학

6~7세기 고고자료로 본 동해안과 울릉도

The East Coast and Ulleungdo based on the archeological data of the 6~7th century

이사부와 동해 | 1 | 2010 | 역사학

6~7세기 고고자료로 본 동해안과 울릉도

The East Coast and Ulleungdo based on the archeological data of the 6~7th century

이사부와 동해 | 1 | | 2010 | 역사학

6~7세기 고고자료로 본 동해안과 울릉도

The East Coast and Ulleungdo based on the archeological data of the 6~7th century

이사부와 동해 | 1 | 2010 | 역사학

6~7세기 고고자료로 본 동해안과 울릉도

The East Coast and Ulleungdo based on the archeological data of the 6~7th century

이사부와 동해 | 1 | | 2010 | 역사학

중・근세 조선인의 島嶼 경영과 경계인식 고찰

The management of islands and boundary perception of medieval and modern Joseon

한일관계사연구 | 39 | 2011 | 역사학

러ㆍ일의 울도군 침탈과 대한제국의 대응 연구 -울도군수 심흥택의 보고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unty Governor who Name is Sim Heungtag Report, Those Time of Invasion of Russia and Japan to the Island of Ulleung

군사 | 80 | 2011 | 역사학

독도영유권의 역사적 문헌에 대한 선행연구의 검토 - 조선전기 이전까지를 중심으로 -

A Review on the Precedent Study of the historical records of Dokdo Sovereignty

한국해법학회지 | 32 | 2 | 2010 | 법학

독도영유권의 역사적 문헌에 대한 선행연구의 검토 - 조선전기 이전까지를 중심으로 -

A Review on the Precedent Study of the historical records of Dokdo Sovereignty

한국해법학회지 | 32 | 2 | 2010 | 법학

일본의 독도 인식에 관한 연구 -「일로청한 명세신도」에 그려진 국경과 독도의 귀속을 중심으로 한 고찰-

A Study on Dokdo Recognition of Japan - Focused on the Dokdo Attribution and Border Drawn in the 「New Map of Japan, Russia, China, and Korea(日露淸韓明細新圖)」-

한국지도학회지 | 10 | 1 | 2010 | 지도학

일본의 독도 인식에 관한 연구 -「일로청한 명세신도」에 그려진 국경과 독도의 귀속을 중심으로 한 고찰-

A Study on Dokdo Recognition of Japan - Focused on the Dokdo Attribution and Border Drawn in the 「New Map of Japan, Russia, China, and Korea(日露淸韓明細新圖)」-

한국지도학회지 | 10 | 1 | 2010 | 지도학

‘은주시청합기’(隱州視聽合記)의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A Review on Precedent Study of the “Onshu Shicho Goki”7

세계지역연구논총 | 28 | 1 | 2010 | 정치외교학

‘은주시청합기’(隱州視聽合記)의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A Review on Precedent Study of the “Onshu Shicho Goki”7

세계지역연구논총 | 28 | 1 | 2010 | 정치외교학

우산국 '우해왕'전선의 스토리콘텐츠 개발과 활용방안

A study on how to Develop and Use the Story Contents of the legend of 'King Woohae' in the Kingdom of Woosa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우산국 '우해왕'전선의 스토리콘텐츠 개발과 활용방안

A study on how to Develop and Use the Story Contents of the legend of 'King Woohae' in the Kingdom of Woosa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安龍福 연구현황과 과제

Research Status and Future Subjects on An, Yong-Bok

경주사학 | 34 | 34 | 2011 | 기타인문학

울진 대풍헌 현판

Signboards of Uljin Daepungheon

대구사학 | 98 | 2010 | 역사학

울진 대풍헌 현판

Signboards of Uljin Daepungheon

대구사학 | 98 | | 2010 | 역사학

일제강점기 역사지리서에 반영된 울릉도 및 독도 인식

Perception of Ulleungdo and Dokdo in Historical Geography Books from the Time of Japanese Imperial Rule over Korea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7 | 2011 | 역사학

한일 양국에서 누가 먼저 ‘독도’를 인지하였는가 -일본 외무성의 竹島 홍보 팸플릿의 포인트 1, 2 비판-

Who Recognized Dokdo First, Japan or Korea?

민족문화논총 | 44 | 2010 | 기타인문학

한일 양국에서 누가 먼저 ‘독도’를 인지하였는가 -일본 외무성의 竹島 홍보 팸플릿의 포인트 1, 2 비판-

Who Recognized Dokdo First, Japan or Korea?

민족문화논총 | | 44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對馬藩의 조선 교섭과 1693년 울릉도 영속시비

Tsushima Domain in Diplomatic Negotiations with Joseon and the Territory Dispute over Ulleungdo in 1693

동북아역사논총 | 37 | 2012 | 역사학

17세기말, 안용복 사건을 통해 본 조일간의 해륙경계분쟁

Land and Sea Boundary Dispute between Chosun and Japan through the Case of An Yong-bok in the End of 17th Century

한일관계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三國~統一新羅期 鬱陵島 橫口式石室墳 硏究

A Study on the Ulleungdo's Horizontal Entrance Outer Stone Coffin Tomb In Three Kingdoms - Unifed Silla Period

문물연구 | 17 | 17 | 2010 | 역사학

三國~統一新羅期 鬱陵島 橫口式石室墳 硏究

A Study on the Ulleungdo's Horizontal Entrance Outer Stone Coffin Tomb In Three Kingdoms - Unifed Silla Period

문물연구 | 17 | 17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對馬藩의 조선 교섭과 1693년 울릉도 영속시비

Tsushima Domain in Diplomatic Negotiations with Joseon and the Territory Dispute over Ulleungdo in 1693

동북아역사논총 | 37 | 2012 | 역사학

조선시대 ‘空島政策’의 허구성과 ‘搜討制’ 분석

A study on the falsehood of 'Gongdo Policy' and 'Sooto System' in Chosun Dynast

이사부와 동해 | 1 | 2010 | 역사학

조선시대 ‘空島政策’의 허구성과 ‘搜討制’ 분석

A study on the falsehood of 'Gongdo Policy' and 'Sooto System' in Chosun Dynast

이사부와 동해 | 1 | | 2010 | 역사학

우산국 '우해왕'전선의 스토리콘텐츠 개발과 활용방안

A study on how to Develop and Use the Story Contents of the legend of 'King Woohae' in the Kingdom of Woosa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우산국 '우해왕'전선의 스토리콘텐츠 개발과 활용방안

A study on how to Develop and Use the Story Contents of the legend of 'King Woohae' in the Kingdom of Woosa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해안 항포구의 자연환경 입지분석을 통한 우산국 정벌의 출항지 검토

A Study on the Outport for the conquest of Usanguk through the Location Analysis of Natural Environment in the Port of the East Coast

한국지형학회지 | 17 | 3 | 2010 | 지리학

동해안 항포구의 자연환경 입지분석을 통한 우산국 정벌의 출항지 검토

A Study on the Outport for the conquest of Usanguk through the Location Analysis of Natural Environment in the Port of the East Coast

한국지형학회지 | 17 | 3 | 2010 | 지리학

조선후기 울릉도 수토제 운용의 실상

Jurisdictional Operation of Inspection of Ulrungdo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대구사학 | 103 | 2011 | 역사학

18~19세기 전반 朝日 양국의 울릉도 도해 양상

Joseon and Japan’s Crossing the Sea to Ulleungdo from the Eighteenth Century through the Nineteenth Century

동양사학연구 | 118 | 2012 | 역사학

고대 동해안 지역의 정치적 동향과 우산국

신라문화 | 39 | 2012 | 역사학

울릉도 민가의 공간구성과 거주관행

Spatial Composition and Residence Practices of Traditional Houses in Ulleung Island

비교민속학 | 43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