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식애

연구분야 : B160301 사회과학 > 지리학 > 자연지리학 > 지형학
B160302 사회과학 > 지리학 > 자연지리학 > 기후학

클래스 : 자연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8211

한자 : 海蝕崖
영어 : sea cliff

e04-03 자연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해식절벽 [ 海蝕絶壁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파도

isCausedBy (원인)

 

b02-01 완화(감소/축소/쇠퇴) 완화(감소/축소/쇠퇴)
b02-01 완화(감소/축소/쇠퇴) /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해안 침식 [ 海岸浸蝕 ]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관광지 [ 觀光地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울릉도 () [ 鬱陵島 ]

hasInstance (사례)

 

 

태종대 [ 太宗臺 ]

다중시기 항공사진과 현장조사를 통한 해안침식 변화 연구: 태안반도를 사례로

A Study on the Erosion and Retreat of Sea-Cliff through the Multi-temporal Aerial Photograph Data and Field Survey: The Case Study of Taean Peninsula, Korea

한국지형학회지 | 17 | 4 | 2010 | 지리학

다중시기 항공사진과 현장조사를 통한 해안침식 변화 연구: 태안반도를 사례로

A Study on the Erosion and Retreat of Sea-Cliff through the Multi-temporal Aerial Photograph Data and Field Survey: The Case Study of Taean Peninsula, Korea

한국지형학회지 | 17 | 4 | 2010 | 지리학

침식기준목 측정을 통한 안면도 둔두리 해식애의 단기간 침식 변화

The Short-term Erosion and Retreat Change of Sea-cliff in Anmyeondo Dundu-ri through the Datum-point Measurement

기후연구 | 7 | 2 | 2012 | 기후학

침식기준목을 이용한 파도리 해식애 사면의 침식·후퇴율 산정

Estimating on the Erosion and Retreat Rates of Sea-cliff Slope Using the Datum-point in Pado-ri, the Western Coast of Korea

한국지형학회지 | 19 | 3 | 2012 | 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