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 침식

연구분야 : B160100 사회과학 > 지리학 > 지리학일반

클래스 : 완화(감소/축소/쇠퇴)
상태/상황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2343

한자 : 海岸浸蝕
영어 : beach erosion

b02-01 완화(감소/축소/쇠퇴)

c03-01 상태/상황

원인_t

해안의 모래와 자갈이 바람, 파도 및 물 흐름에 의해 씻겨짐.

결과_t

해안이 조금씩 후퇴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사빈 [ 砂濱 ]

isStateOf (상태의 대상)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해안 [ 海岸 ]

resultsIn (산물/결과)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해식애 [ 海蝕崖 ]

다중시기 항공사진과 현장조사를 통한 해안침식 변화 연구: 태안반도를 사례로

A Study on the Erosion and Retreat of Sea-Cliff through the Multi-temporal Aerial Photograph Data and Field Survey: The Case Study of Taean Peninsula, Korea

한국지형학회지 | 17 | 4 | 2010 | 지리학

다중시기 항공사진과 현장조사를 통한 해안침식 변화 연구: 태안반도를 사례로

A Study on the Erosion and Retreat of Sea-Cliff through the Multi-temporal Aerial Photograph Data and Field Survey: The Case Study of Taean Peninsula, Korea

한국지형학회지 | 17 | 4 | 2010 | 지리학

VRS/RTK GPS 측량을 통한 태안해안국립공원 해빈과 해안사구의 지형변화 - 학암포와 안면 해안을 사례로-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beach and dune of The Taeanhaean National Park using VRS/RTK GPS - a case of Hakampo and Anmyeon beach-

한국지형학회지 | 19 | 2 | 2012 | 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