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학십도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A030000 인문학 > 철학
A070000 인문학 > 유교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609

한자 : 聖學十圖

y02-01 문헌명

저작자

이황 (李滉)

시대1

조선 중기 (朝鮮中期)

장르/유형

상소 (上疏)

이론/사상1

성리학 (性理學)

저작년_t

1568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진성학십도차병도 [ 進聖學十圖箚幷圖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1 문헌명 문헌명

퇴계전서 () [ 退溪全書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퇴계문집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도설 [ 圖說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성학 [ 聖學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2-01 문헌명 문헌명

입학도설 [ 入學圖說 ]

슐라이어마허의‘경건’과 퇴계의 ‘지경’(持敬)에 관한 연구-아는 것과 행하는 것을 넘어서

A Comparative Study of the Piety of F. Schleiermacher and “Keeping of Piety”(持敬) of Toegye(退溪) - Beyond Knowing and Doing

한국조직신학논총 | 33 | 2012 | 조직신학

유교정치학으로서 퇴계의 성학과 정치 담론

Sage Learning and Political Discourse of Toegye Lee Hwang as the Politics of Confucianism

퇴계학논집 | 8 | 2011 | 철학

퇴계의 敬사상에 있어서 몸의 문제

The Problem of Body in Toegye's Concept of 'Kyoung'

유학연구 | 25 | 2011 | 철학

<聖學十図>と江戶儒學 - 「白鹿洞書院揭示」と「聖學圖」を中心としてて -

<성학십도>와 강호유학 - 「백록동서원게시」와 「성학도」를 중심으로 -

퇴계학논총 | 16 | 2010 | 기타인문학

<聖學十図>と江戶儒學 - 「白鹿洞書院揭示」と「聖學圖」を中心としてて -

<성학십도>와 강호유학 - 「백록동서원게시」와 「성학도」를 중심으로 -

퇴계학논총 | | 16 | 2010 | 기타인문학

退溪先生 『聖學十圖』의 成德之敎

The Teachings of Virtue: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of Toegye

퇴계학논집 | 9 | 2011 | 철학

退溪 <聖學十圖>와 生態主義 敎育原理 - 上5圖를 中心으로 -

Toegye's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and Principles of Ecological Education - especially presented at top 5 diagrams -

퇴계학논총 | 16 | 2010 | 기타인문학

退溪 <聖學十圖>와 生態主義 敎育原理 - 上5圖를 中心으로 -

Toegye's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and Principles of Ecological Education - especially presented at top 5 diagrams -

퇴계학논총 | | 16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