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혼

연구분야 : A070000 인문학 > 유교학
A030204 인문학 > 철학 > 한국철학 > 한국유가철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82

STNet ID : 1000014

한자 : 成渾
시호(諡號) : 문간(文簡)
호(號) : 묵암(默庵)
호(號) : 우계(牛溪)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호원 [ 浩原 ]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서인 () [ 西人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성리학자 () [ 性理學者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윤근수 [ 尹根壽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장생 () [ 金長生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유몽인 (1559-1623) [ 柳夢寅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황 () [ 李滉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이 () [ 李珥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홍이상 [ 洪履祥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윤증 () [ 尹拯 ]

R5:물리적

Relative_2 (친인척_역)

조손관계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성직 (1586-1680) [ 成稷 ]

주자의 ‘횡설’과 ‘수설’: 프레임으로 보는 주자의 성향과 감정 이론

Semiological Analysis of Zhu Xi's Moral Psychology

동양철학 | 37 | 2012 | 철학

학맥의 관점에서 본 휴암 백인걸

論學脈觀點上之休庵白仁杰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우계의 ‘횡설’과 율곡의 ‘수설’: 율곡의 퇴계 비판을 겸해서 논함

Different Semiotic Frames of Toegye and Yulgok

유교사상문화연구 | 48 | 2012 | 유교학

성리학의 기호 배치방식과 조선유학의 분기

Semiotic Frames and Divergence of Joseon Neo-Confucianism

동양철학연구 | 70 | 2012 | 철학

우계(牛溪) 성혼(成渾) 사상의 심학적 요소

牛溪成渾思想的心学要素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우계(牛溪) 성혼(成渾) 사상의 심학적 요소

牛溪成渾思想的心学要素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우계학파(牛溪學派)의 학맥과 학풍

The Academic Root and Tradition of Woogye School

유학연구 | 25 | 2011 | 철학

우계 성혼의 '상우(尙友)' 지향

牛溪 成渾의 ‘尙友’ 指向

인문학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