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증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068

STNet ID : 1000697

한자 : 尹拯
시호(諡號) : 문성(文成)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본명/자

 

자인 [ 子仁 ]

UF (비우선어)

본명/호

 

명재 [ 明齋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산림 (유학자) [ 山林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한국 학자 [ 韓國學者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임상덕 [ 林象德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남계하 [ 南啓夏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민이승 (1649-1698) [ 閔以升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박세당 () [ 朴世堂 ]

RT (관련어)

 

 

가례원류시말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성혼 (1535-1598) [ 成渾 ]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소론 [ 少論 ]

RT (관련어)

부/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윤행교 [ 尹行敎 ]

X: 제외

isOppositionOf (대항/억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송시열 () [ 宋時烈 ]

肅宗代 前半 懷尼是非와 蕩平論 -윤선거・윤증의 논리를 중심으로-

Hoeni sibi(懷尼是非, Arguments between Song Siyŏl and Yun Chŭng) and the T΄angp΄yŏngnon(蕩平論, theory of impartiality) during the early reign of King Sukchong-with a special focus on the logic of Yun Sŏn´gŏ and Yun Chŭng-

한국사연구 | 148 | 2010 | 역사학

경암 윤동수의 은둔자적 생애와 한시세계

Life History As a Hermit and Sino-Korean Poetry World of Kyung Am Dong-Soo Yoon

한국인물사연구 | 13 | 2010 | 역사학

경암 윤동수의 은둔자적 생애와 한시세계

Life History As a Hermit and Sino-Korean Poetry World of Kyung Am Dong-Soo Yoon

한국인물사연구 | | 13 | 2010 | 역사학

17세기 조선 학자들의 尊王論과 老少分岐 (I) -管仲에 대한 인식과 勳戚 문제를 중심으로-

十七世紀朝鮮學者的尊王論與老少分岐 (I)

동국사학 | 50 | 2011 | 역사학

조선후기 사상사에서 명재 윤증의 위상

The Status of Yun Chŭng in the Philosophical History of Late Chosŏn The Status of Yun Chung in the Philosophical History of Late Chosŏn

민족문화 | 37 | 37 | 2011 | 기타인문학

少論學派의 연원과 전개, 철학과 현실인식

The origin, development, philosophy and reality awareness of Soron School(少論學派)

한국철학논집 | 32 | 2011 | 한국철학일반

서계 박세당의 실학적 격물 인식 -명재 윤증과의 격물 논변을 중심으로-

西溪朴世堂实学的格物认识 - 以与明斋尹拯的格物论辩为中心

孔子學 | 19 | 2010 | 기타유교학

서계 박세당의 실학적 격물 인식 -명재 윤증과의 격물 논변을 중심으로-

西溪朴世堂实学的格物认识 - 以与明斋尹拯的格物论辩为中心

孔子學 | | 19 | 2010 | 기타유교학

박세당의 유가적 노장 해석 -노장 수용과 왜곡의 경계 그리고 그 동기에 관하여-

朴世堂の儒家的な老莊解釋について

孔子學 | 19 | 2010 | 기타유교학

박세당의 유가적 노장 해석 -노장 수용과 왜곡의 경계 그리고 그 동기에 관하여-

朴世堂の儒家的な老莊解釋について

孔子學 | | 19 | 2010 | 기타유교학

정재 박태보의 학문적 입장과 특질 - 명재 윤증과의 학문적 교유를 중심으로 -

定斋朴泰辅的学问立場和特質 - 以与明斋尹拯的学问交遊为中心 -

동서철학연구 | 55 | 2010 | 철학

정재 박태보의 학문적 입장과 특질 - 명재 윤증과의 학문적 교유를 중심으로 -

定斋朴泰辅的学问立場和特質 - 以与明斋尹拯的学问交遊为中心 -

동서철학연구 | | 55 | 2010 | 철학

명재 윤증의 성리설 -인심도심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Neo-Confucian Philosophy of Yun Jeung

민족문화 | 37 | 37 | 2011 | 기타인문학

明齋 尹拯과 霞谷 鄭齊斗의 交遊

The association between Yun jeng and Jung je du

시대와 철학 | 21 | 1 | 2010 | 철학

明齋 尹拯과 霞谷 鄭齊斗의 交遊

The association between Yun jeng and Jung je du

시대와 철학 | 21 | 1 | 2010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