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姬別子圖>에 대한 조선후기 문사들의 인식
The viewpoint of the literatis of late Joseon regarding the painting ‘Farewell of Wen-chi’
석당논총 |
52 |
2012 |
기타인문학
<文姬別子圖>에 대한 조선후기 문사들의 인식
The viewpoint of the literatis of late Joseon regarding the painting ‘Farewell of Wen-chi’
석당논총 |
52 |
2012 |
기타인문학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의 정치활동과 경세론(經世論)
Kosan Yoon Sun-do in 17th century : From Critic To Calamity
韓國史學報 |
46 |
2012 |
역사학
회암(晦庵) 주희(朱熹)의 주체의식
The Sense of Sovereignty in Chuzu
孔子學 |
18 |
2010 |
기타유교학
회암(晦庵) 주희(朱熹)의 주체의식
The Sense of Sovereignty in Chuzu
孔子學 |
|
18 |
2010 |
기타유교학
肅宗 45년, 국왕의 耆老所 입소 경위와 그 정치적 함의 - 세자(景宗) 代理聽政의 명분적 보강 -
Sukjong/肅宗's Entrance into the Chamber of Elders(耆老所), and the Political Meaning of that decision - Justifying the Crown-prince(Gyeongjong/景宗)'s Overseeing of the Governance -
역사문화연구 |
43 |
2012 |
역사학
정암正菴 이현익李顯益의 『논어論語』 해석 연구 ― 자료 소개와 「논어설論語說」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Four Books by Jeongam Yi Hyeonik ―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materials and analysis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의 정치활동과 경세론(經世論)
Kosan Yoon Sun-do in 17th century : From Critic To Calamity
韓國史學報 |
46 |
2012 |
역사학
정암正菴 이현익李顯益의 『논어論語』 해석 연구 ― 자료 소개와 「논어설論語說」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Four Books by Jeongam Yi Hyeonik ―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materials and analysis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肅宗朝의 死六臣 追崇과 書院祭享
An Essay on the posthumous conferment of honours to Six leaders of the plot to restore the deposed King Tanjong and their sacrificial rite at Confucian Shrine
한국학논총 |
33 |
2010 |
역사이론
肅宗朝의 死六臣 追崇과 書院祭享
An Essay on the posthumous conferment of honours to Six leaders of the plot to restore the deposed King Tanjong and their sacrificial rite at Confucian Shrine
한국학논총 |
33 |
|
2010 |
역사이론
肅宗 45년, 국왕의 耆老所 입소 경위와 그 정치적 함의 - 세자(景宗) 代理聽政의 명분적 보강 -
Sukjong/肅宗's Entrance into the Chamber of Elders(耆老所), and the Political Meaning of that decision - Justifying the Crown-prince(Gyeongjong/景宗)'s Overseeing of the Governance -
역사문화연구 |
43 |
2012 |
역사학
肅宗 45년, 국왕의 耆老所 입소 경위와 그 정치적 함의 - 세자(景宗) 代理聽政의 명분적 보강 -
Sukjong/肅宗's Entrance into the Chamber of Elders(耆老所), and the Political Meaning of that decision - Justifying the Crown-prince(Gyeongjong/景宗)'s Overseeing of the Governance -
역사문화연구 |
43 |
2012 |
역사학
기해예송을 통해 본 17세기 중반 조선 지식관료들의 家와 國 관념
A Study on Chosun's Intellectual-Bureaucrats' idea of 'ga(家)' and 'guk(國)' through ‘KihaeYesong(己亥禮訟)' in the mid-17th century
한국학연구 |
32 |
2010 |
기타인문학
기해예송을 통해 본 17세기 중반 조선 지식관료들의 家와 國 관념
A Study on Chosun's Intellectual-Bureaucrats' idea of 'ga(家)' and 'guk(國)' through ‘KihaeYesong(己亥禮訟)' in the mid-17th century
한국학연구 |
|
32 |
2010 |
기타인문학
17세기 율곡학파의 '대학' 해석 연구 ― 대전본 소주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chool of Yulgok's Daehak(大學) interpretation in the 17th century ―a analysis on small annotation of Saseodaejun(四書大全)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17세기 율곡학파의 '대학' 해석 연구 ― 대전본 소주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chool of Yulgok's Daehak(大學) interpretation in the 17th century ―a analysis on small annotation of Saseodaejun(四書大全)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기해예송을 통해 본 17세기 중반 조선 지식관료들의 家와 國 관념
A Study on Chosun's Intellectual-Bureaucrats' idea of 'ga(家)' and 'guk(國)' through ‘KihaeYesong(己亥禮訟)' in the mid-17th century
한국학연구 |
32 |
2010 |
기타인문학
기해예송을 통해 본 17세기 중반 조선 지식관료들의 家와 國 관념
A Study on Chosun's Intellectual-Bureaucrats' idea of 'ga(家)' and 'guk(國)' through ‘KihaeYesong(己亥禮訟)' in the mid-17th century
한국학연구 |
|
32 |
2010 |
기타인문학
濂湖 許澮의 시문학 연구
A Study on Poetry by Yeom-ho(濂湖) Heo Hoe(許澮)
동양고전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濂湖 許澮의 시문학 연구
A Study on Poetry by Yeom-ho(濂湖) Heo Hoe(許澮)
동양고전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17세기 율곡학파의 '대학' 해석 연구 ― 대전본 소주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chool of Yulgok's Daehak(大學) interpretation in the 17th century ―a analysis on small annotation of Saseodaejun(四書大全)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17세기 율곡학파의 '대학' 해석 연구 ― 대전본 소주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chool of Yulgok's Daehak(大學) interpretation in the 17th century ―a analysis on small annotation of Saseodaejun(四書大全)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17세기 碑誌文 창작양상 고찰 -4종의 南冥神道碑를 중심으로-
A Study on Historical Awareness of Epitaph Writers in the 17th Century -focused on four Nammyeng-epitaphs-
동방한문학 |
51 |
2012 |
한국어와문학
정암正菴 이현익李顯益의 『논어論語』 해석 연구 ― 자료 소개와 「논어설論語說」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Four Books by Jeongam Yi Hyeonik ―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materials and analysis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草廬 李惟泰의 『四書答問-大學』 硏究
A study on the Li yutae by Daehakdapmoon(大學答問)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草廬 李惟泰의 『四書答問-大學』 硏究
A study on the Li yutae by Daehakdapmoon(大學答問)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17세기 碑誌文 창작양상 고찰 -4종의 南冥神道碑를 중심으로-
A Study on Historical Awareness of Epitaph Writers in the 17th Century -focused on four Nammyeng-epitaphs-
동방한문학 |
51 |
2012 |
한국어와문학
기해예송을 통해 본 17세기 중반 조선 지식관료들의 家와 國 관념
A Study on Chosun's Intellectual-Bureaucrats' idea of 'ga(家)' and 'guk(國)' through ‘KihaeYesong(己亥禮訟)' in the mid-17th century
한국학연구 |
32 |
2010 |
기타인문학
기해예송을 통해 본 17세기 중반 조선 지식관료들의 家와 國 관념
A Study on Chosun's Intellectual-Bureaucrats' idea of 'ga(家)' and 'guk(國)' through ‘KihaeYesong(己亥禮訟)' in the mid-17th century
한국학연구 |
|
32 |
2010 |
기타인문학
17세기 율곡학파의 '대학' 해석 연구 ― 대전본 소주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chool of Yulgok's Daehak(大學) interpretation in the 17th century ―a analysis on small annotation of Saseodaejun(四書大全)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17세기 율곡학파의 '대학' 해석 연구 ― 대전본 소주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chool of Yulgok's Daehak(大學) interpretation in the 17th century ―a analysis on small annotation of Saseodaejun(四書大全)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栗谷學派의 文學觀과 詩論
Yulgok School's view of literature and its theory of poetry
율곡학연구 |
20 |
2010 |
기타인문학
栗谷學派의 文學觀과 詩論
Yulgok School's view of literature and its theory of poetry
율곡학연구 |
20 |
|
2010 |
기타인문학
만동묘와 화양서원 입지의 풍수적 특징 분석
An Analysis on Feng-shui Features in the Location of Mandongmyo and Hwa-yang Seowon
한국문화연구 |
22 |
2012 |
기타인문학
金長生과 宋時烈의 未發知覺論
金長生与宋時烈的未發知覺論
유교사상문화연구 |
39 |
2010 |
유교학
金長生과 宋時烈의 未發知覺論
金長生与宋時烈的未發知覺論
유교사상문화연구 |
|
39 |
2010 |
유교학
만동묘와 화양서원 입지의 풍수적 특징 분석
An Analysis on Feng-shui Features in the Location of Mandongmyo and Hwa-yang Seowon
한국문화연구 |
22 |
2012 |
기타인문학
草廬 李惟泰의 『四書答問-大學』 硏究
A study on the Li yutae by Daehakdapmoon(大學答問)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草廬 李惟泰의 『四書答問-大學』 硏究
A study on the Li yutae by Daehakdapmoon(大學答問)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尤菴과 同春堂의 書藝 硏究
A Aesthetic Study of Woo-Am and Dong-Chun-Dang's Calligraphy
서예학연구 |
19 |
2011 |
서예
<화양로졍긔>의 특징과 작자 의식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writer's Consciousness in
인문과학연구 |
28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忠烈公 宋象賢 敍事’의 사회문화적 성격
The Social and Cultural Nature of the Narrative of Song Sang Hyun(宋象賢) in the late Joseon Dynasty
역사와 세계 |
40 |
2011 |
기타역사일반
<화양로졍긔>의 특징과 작자 의식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writer's Consciousness in
인문과학연구 |
28 |
2011 |
기타인문학
당의(黨議)와 예송(禮訟)의 정치사상: 그것은 부질없는 논변이었을까?
Political Implications of Disputes on the Royal Mourning Dress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Seventeenth Century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9 |
1 |
2010 |
동양정치사상
당의(黨議)와 예송(禮訟)의 정치사상: 그것은 부질없는 논변이었을까?
Political Implications of Disputes on the Royal Mourning Dress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Seventeenth Century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9 |
1 |
2010 |
동양정치사상
玉吾齋 宋相琦의 漢詩世界
Ogoje-Song, Sang-ki's World of Chinese Poetry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
17세기 조선 학자들의 尊王論과 老少分岐 (I) -管仲에 대한 인식과 勳戚 문제를 중심으로-
十七世紀朝鮮學者的尊王論與老少分岐 (I)
동국사학 |
50 |
2011 |
역사학
正祖의 <大老祠碑>(1787년) 前面 篆書 연구
On the Seal Characters of King Chong-jo's Daerosabi (in 1787)
서예학연구 |
16 |
2010 |
서예
正祖의 <大老祠碑>(1787년) 前面 篆書 연구
On the Seal Characters of King Chong-jo's Daerosabi (in 1787)
서예학연구 |
|
16 |
2010 |
서예
玉吾齋 宋相琦의 漢詩世界
Ogoje-Song, Sang-ki's World of Chinese Poetry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
栗谷學의 繼承과 創新
Inheriting and Creating Yul-Gok Study
유학연구 |
23 |
2010 |
철학
栗谷學의 繼承과 創新
Inheriting and Creating Yul-Gok Study
유학연구 |
23 |
|
2010 |
철학
肅宗代 前半 懷尼是非와 蕩平論 -윤선거・윤증의 논리를 중심으로-
Hoeni sibi(懷尼是非, Arguments between Song Siyŏl and Yun Chŭng) and the T΄angp΄yŏngnon(蕩平論, theory of impartiality) during the early reign of King Sukchong-with a special focus on the logic of Yun Sŏn´gŏ and Yun Chŭng-
한국사연구 |
148 |
2010 |
역사학
肅宗代 前半 懷尼是非와 蕩平論 -윤선거・윤증의 논리를 중심으로-
Hoeni sibi(懷尼是非, Arguments between Song Siyŏl and Yun Chŭng) and the T΄angp΄yŏngnon(蕩平論, theory of impartiality) during the early reign of King Sukchong-with a special focus on the logic of Yun Sŏn´gŏ and Yun Chŭng-
한국사연구 |
148 |
2010 |
역사학
주자와 우암의 미발설 비교 연구-미발시 괘상(卦象) 배속의 문제를 중심으로-
朱子与尤庵未发说比较研究
철학연구 |
43 |
2011 |
철학
春秋大義와 禮訟의 기억 - 宋時烈과 魏伯珪 -
Synaptic Memories : Song Si-Yeol and Wie Baek-Gyu
태동고전연구 |
27 |
2011 |
기타인문학
노론의 연원과 전개, 철학사상과 현실인식
An origin and development, the thought and understanding of actual world of Noron
한국철학논집 |
32 |
2011 |
한국철학일반
노론의 학통적 맥락에서 본 송시열 초상화찬
老論的學統前後連上宋時烈的肖像畵贊
열상고전연구 |
35 |
2012 |
기타국문학
宋時烈의 <次康節首尾吟韻>에 구현된 몇 가지 특질
Seeing Korean literary person Song Zi and Chinese culture from
열상고전연구 |
33 |
2011 |
기타국문학
노론의 연원과 전개, 철학사상과 현실인식
An origin and development, the thought and understanding of actual world of Noron
한국철학논집 |
32 |
2011 |
한국철학일반
율곡의 정치사상과 그 영향
Yulgok's political ideas and the influence
율곡학연구 |
20 |
2010 |
기타인문학
율곡의 정치사상과 그 영향
Yulgok's political ideas and the influence
율곡학연구 |
20 |
|
2010 |
기타인문학
노론의 연원과 전개, 철학사상과 현실인식
An origin and development, the thought and understanding of actual world of Noron
한국철학논집 |
32 |
2011 |
한국철학일반
율곡학파의 리기론
Understanding of Yulgok School's Theory of LiKi
율곡학연구 |
22 |
2011 |
기타인문학
尤菴과 同春堂의 書藝 硏究
A Aesthetic Study of Woo-Am and Dong-Chun-Dang's Calligraphy
서예학연구 |
19 |
2011 |
서예
주자와 우암의 미발설 비교 연구-미발시 괘상(卦象) 배속의 문제를 중심으로-
朱子与尤庵未发说比较研究
철학연구 |
43 |
2011 |
철학
조선후기 사상사에서 명재 윤증의 위상
The Status of Yun Chŭng in the Philosophical History of Late Chosŏn The Status of Yun Chung in the Philosophical History of Late Chosŏn
민족문화 |
37 |
37 |
2011 |
기타인문학
우암 송시열의 춘추대의사상
A Study on the Confucian Thought of Righteousness in U-Am Song Si-Yeol
국제정치연구 |
14 |
2 |
2011 |
사회과학
尤庵 宋時烈의 禮訟의 特徵과 意味
유학연구 |
26 |
2012 |
철학
송시열과 박상현의 미발 논변: 미발과 기질의 관계 문제를 중심으로
Debate on Mibal(未發) between Song Si-Yeol and Park Sang-Hyun: Focusing on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Mibal in Relation to Kijil(氣質)
철학사상 |
36 |
2010 |
철학
송시열과 박상현의 미발 논변: 미발과 기질의 관계 문제를 중심으로
Debate on Mibal(未發) between Song Si-Yeol and Park Sang-Hyun: Focusing on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Mibal in Relation to Kijil(氣質)
철학사상 |
|
36 |
2010 |
철학
春秋大義와 禮訟의 기억 - 宋時烈과 魏伯珪 -
Synaptic Memories : Song Si-Yeol and Wie Baek-Gyu
태동고전연구 |
27 |
2011 |
기타인문학
우암 송시열의 춘추대의사상
A Study on the Confucian Thought of Righteousness in U-Am Song Si-Yeol
국제정치연구 |
14 |
2 |
2011 |
사회과학
<孟子或問精義通攷>와 尤庵 宋時烈의 學術精神
and U-am(尤庵) Song Si-yeol(宋時烈)’s Academic Mind
한국한문학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孟子或問精義通攷>와 尤庵 宋時烈의 學術精神
and U-am(尤庵) Song Si-yeol(宋時烈)’s Academic Mind
한국한문학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宋時烈 文學의 影響源과 異端的 面貌
Song,SiYeol's Literature; its Origin and Heterodox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2010 |
한문비평
宋時烈 文學의 影響源과 異端的 面貌
Song,SiYeol's Literature; its Origin and Heterodox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
2010 |
한문비평
宋時烈의 <次康節首尾吟韻>에 구현된 몇 가지 특질
Seeing Korean literary person Song Zi and Chinese culture from
열상고전연구 |
33 |
2011 |
기타국문학
송시열과 박상현의 미발 논변: 미발과 기질의 관계 문제를 중심으로
Debate on Mibal(未發) between Song Si-Yeol and Park Sang-Hyun: Focusing on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Mibal in Relation to Kijil(氣質)
철학사상 |
36 |
2010 |
철학
송시열과 박상현의 미발 논변: 미발과 기질의 관계 문제를 중심으로
Debate on Mibal(未發) between Song Si-Yeol and Park Sang-Hyun: Focusing on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Mibal in Relation to Kijil(氣質)
철학사상 |
|
36 |
2010 |
철학
우암 의리학의 율곡 淵源과 後援 - 石潭과 石室
Two Sources Of Songsiyeol's Righteousness Philosophy - Seokdam And Seoksil
율곡학연구 |
21 |
2010 |
기타인문학
우암 의리학의 율곡 淵源과 後援 - 石潭과 石室
Two Sources Of Songsiyeol's Righteousness Philosophy - Seokdam And Seoksil
율곡학연구 |
21 |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