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2080

STNet ID : 9008167

한자 : 仁祖
재위기간 : 1623-1649

y01-01 실존인물

시대

조선 중기 (朝鮮中期)

국적

조선 (朝鮮)

이론/사상

친명배금 정책 (親明排金政策)

생몰년_t

1595-1649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본명/자

 

화백 [ 和伯 ]

UF (비우선어)

본명/호

 

송창 [ 松窓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16

a01-04-02 국민 국민
a01-04-02 국민 /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R] 조선 국왕 () [ 朝鮮國王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인조실록 () [ 仁祖實錄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묘(墓)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장릉 () [ 長陵 ]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서인 () [ 西人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송시열 () [ 宋時烈 ]

RT (관련어)

모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인헌왕후 [ 仁獻王后 ]

RT (관련어)

부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인열왕후 [ 仁烈王后 ]

RT (관련어)

부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소현세자 [ 昭顯世子 ]

RT (관련어)

부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용성대군 () [ 龍城大君 ]

RT (관련어)

부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원종 () [ 元宗 ]

RT_X (관련어►)

계비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장렬왕후 () [ 莊烈王后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효종 [ 孝宗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광해군 [ 光海君 ]

X: 제외

isOppositionOf (대항/억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민회빈 [ 愍懷嬪 ]

조선시대 공물변통론에서 蒲渚趙翼의 위치와 역할

The position and role of Pochŏ Cho Ik for the reformism of the tribute tax system in Chosŏn period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공물변통론에서 蒲渚趙翼의 위치와 역할

The position and role of Pochŏ Cho Ik for the reformism of the tribute tax system in Chosŏn period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

인조대 전례논쟁을 통해 본 17세기 전반 조선 지식관료층의 정통(正統) 관념

A study on intellectual-bureaucrats’ idea of cheongt’ung(正統) in the 17th century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89 | 2011 | 사회학

오리 이원익과 두 번의 貢物變通

Yi Wŏnik and Two Tribute Tax Reforms

조선시대사학보 | 54 | 2010 | 역사학

오리 이원익과 두 번의 貢物變通

Yi Wŏnik and Two Tribute Tax Reforms

조선시대사학보 | | 54 | 2010 | 역사학

서울에 온 청의 칙사 馬夫大와 삼전도비

A Study on the Manchu Envoy Mafuta and the Samjeondobi

서울학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서울에 온 청의 칙사 馬夫大와 삼전도비

A Study on the Manchu Envoy Mafuta and the Samjeondobi

서울학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병자호란의 책임 논쟁과 기억의 서사 -인조의 기억과 ‘대항기억’으로서의 <강도몽유록>-

The debate on the responsibility about the Manchu war of 1636 and narrative of the memory -The King Injo's memory and Gangdomongyurok as the fight memory-

한국학연구 | 35 | 2010 | 기타인문학

병자호란의 책임 논쟁과 기억의 서사 -인조의 기억과 ‘대항기억’으로서의 <강도몽유록>-

The debate on the responsibility about the Manchu war of 1636 and narrative of the memory -The King Injo's memory and Gangdomongyurok as the fight memory-

한국학연구 | | 35 | 2010 | 기타인문학

대동법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공공성 관념과 현실

The idea and reality of the public represented through the Taedong Law

역사비평 | 94 | 2011 | 역사학

명청교체기 瀋陽館의 역할

The Role of Shenyang-Guan(瀋陽館) during the Ming-Ch’ing Transition

한국문화 | 50 | 2010 | 기타인문학

명청교체기 瀋陽館의 역할

The Role of Shenyang-Guan(瀋陽館) during the Ming-Ch’ing Transition

한국문화 | | 50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왕의 이중적 재현 -인조대를 중심으로-

The ambivalent representation of a king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Chosun Dynasty

한국학연구 | 40 | 2012 | 기타인문학

인조 9년(1631) 鄭澣 모반 사건과 그 의미

Jeong Han's Rebellion in the 9th Year of King Injo's Reign(1631) and Its Meanings

동양고전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인조 9년(1631) 鄭澣 모반 사건과 그 의미

Jeong Han's Rebellion in the 9th Year of King Injo's Reign(1631) and Its Meanings

동양고전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仁祖代 承政院日記 標點 事例 小考 -고리점·반점·쌍점·따옴표를 중심으로-

Review on punctuation case of Seungjeongwon ilgi in Injo Periods -Centered on period·comma·colon·quotation marks- ∼

민족문화 | 35 | 35 | 2010 | 기타인문학

仁祖代 承政院日記 標點 事例 小考 -고리점·반점·쌍점·따옴표를 중심으로-

Review on punctuation case of Seungjeongwon ilgi in Injo Periods -Centered on period·comma·colon·quotation marks- ∼

민족문화 | 35 | 35 | 2010 | 기타인문학

인조 경운궁 즉위의 정치적 의미

The accession of King Injo to throne in Gyeongun Place(慶運宮) and its Political meaning

한국인물사연구 | 15 | 2011 | 역사학

소현세자의 왕세자 교육

Crown Prince Sohyeon’s Education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