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론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학파/종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2695

한자 : 老論
한자 : 老論
기타 : Noron

y06-03 학파/종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노서 [ 老西 ]

UF (비우선어)

 

 

노론파 [ 老論派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기호학파 () [ 畿湖學派 ]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서인 () [ 西人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붕당 정치 [ 朋黨政治 ]

N2:부분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창집 () [ 金昌集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홍석보 () [ 洪錫輔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이명 [ 李頤命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조태채 () [ 趙泰采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서문중 () [ 徐文重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송시열 () [ 宋時烈 ]

R1:개념적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a01-04-04 인간(사회계층) /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경화세족 [ 京華世族 ]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벽파 [ 僻派 ]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묵호룡 [ 睦虎龍 ]

hasOpposition (대항/억제)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부사공신 [ 扶社功臣 ]

hasOpposition (대항/억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사도세자 () [ 思悼世子 ]

hasOpposition (대항/억제)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소론 [ 少論 ]

大院君執政期 朝鮮社會의 變化와 發展 : James B. Palais의 “Politics and Policy in Traditional Korea”에 대한 서평 논문

Changes and Developments of the Chosŏn Society in the Daewongun Period: A book review of the James B. Palais’s “Politics and Policy in Traditional Korea”

한국학연구 | 24 | 2011 | 기타인문학

사화의 극복, 여성의 숨은 힘

Overcoming the calamity of literati, the hidden power of the woman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2 | 2011 | 한국어와문학

肅宗 45년, 국왕의 耆老所 입소 경위와 그 정치적 함의 - 세자(景宗) 代理聽政의 명분적 보강 -

Sukjong/肅宗's Entrance into the Chamber of Elders(耆老所), and the Political Meaning of that decision - Justifying the Crown-prince(Gyeongjong/景宗)'s Overseeing of the Governance -

역사문화연구 | 43 | 2012 | 역사학

정암正菴 이현익李顯益의 『논어論語』 해석 연구 ― 자료 소개와 「논어설論語說」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Four Books by Jeongam Yi Hyeonik ―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materials and analysis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정암正菴 이현익李顯益의 『논어論語』 해석 연구 ― 자료 소개와 「논어설論語說」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Four Books by Jeongam Yi Hyeonik ―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materials and analysis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肅宗 45년, 국왕의 耆老所 입소 경위와 그 정치적 함의 - 세자(景宗) 代理聽政의 명분적 보강 -

Sukjong/肅宗's Entrance into the Chamber of Elders(耆老所), and the Political Meaning of that decision - Justifying the Crown-prince(Gyeongjong/景宗)'s Overseeing of the Governance -

역사문화연구 | 43 | 2012 | 역사학

肅宗 45년, 국왕의 耆老所 입소 경위와 그 정치적 함의 - 세자(景宗) 代理聽政의 명분적 보강 -

Sukjong/肅宗's Entrance into the Chamber of Elders(耆老所), and the Political Meaning of that decision - Justifying the Crown-prince(Gyeongjong/景宗)'s Overseeing of the Governance -

역사문화연구 | 43 | 2012 | 역사학

<전우치전>의 대중화 양상과 그 소설사적 의미

The Study on Popularize Aspects and Its Meanings in the Novel-history in

어문학 | 115 | 2012 | 한국어와문학

유만주의 윤선도 시조 한역의 배경과 양상 -<어부사시사>와 <만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ackground and Patterns of Yu Man-Ju's Translation of Yun Seon-Do's Shijo Works into Chinese

한국시가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圃隱 후손의 경남 서부지역 정착과 활동

Settlement in the West area of Gyeongnam and activity of descendants of Poeun(圃隱) in Chosun Dynasty

포은학연구 | 7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圃隱 후손의 경남 서부지역 정착과 활동

Settlement in the West area of Gyeongnam and activity of descendants of Poeun(圃隱) in Chosun Dynasty

포은학연구 | 7 | 2011 | 기타인문학

18세기 후반기 정국동향과 호남 鄕儒 黃胤錫의 官職 任免

The Trends of the Political Situation and Hwang Yoon-seok's Career as Goverment offical in the 18th century

전북사학 | 39 | 2011 | 역사학

松山 權載奎의 蘆沙學 繼承과 嶺南地域에서의 活動

Songsan Gwon Jae Gyu's Succession of Nohsa Discipline and His Pursuits In the Yeongnam Region

南冥學硏究 | 34 | 2012 | 철학

김원행의 학문과 석실서원에서의 강학활동

A Study on the Academic View and Learning of Kim Won Haeng in Seoksik Seowon

동방학 | 22 | 2012 | 기타인문학

영조대 정국 동향과 호남지식인 황윤석의 학맥과 관료생활

Hwang Yoon-seok(黃胤錫)'s Scholastic Vein and Career as Government official and the trends of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Reign of Yeongjo(英祖)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

영조대 정국 동향과 호남지식인 황윤석의 학맥과 관료생활

Hwang Yoon-seok(黃胤錫)'s Scholastic Vein and Career as Government official and the trends of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Reign of Yeongjo(英祖)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

어느 영남 남인의 유배경험과 글쓰기 행위의 실제 - 新野 李仁行(1758~1833)의 渭原․長淵 유배시절 중심으로 -

The Reality of writing and the Exile Experience of the Yeong-Nam Southerners -Based on Lee In-Haeng's (1758~1833) exile life in Wione and Jangyeon-

영주어문 | 23 | 2012 | 기타국문학

어느 영남 남인의 유배경험과 글쓰기 행위의 실제 - 新野 李仁行(1758~1833)의 渭原․長淵 유배시절 중심으로 -

The Reality of writing and the Exile Experience of the Yeong-Nam Southerners -Based on Lee In-Haeng's (1758~1833) exile life in Wione and Jangyeon-

영주어문 | 23 | 2012 | 기타국문학

조선후기 西人 ㆍ 老論의 풍속인식과 그 기원

Recognition of Folk Lore taken by Seoin and Noron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and its origin

사학연구 | 102 | 2011 | 역사학

尤庵 宋時烈의 禮訟의 特徵과 意味

유학연구 | 26 | 2012 | 철학

노론의 학통적 맥락에서 본 송시열 초상화찬

老論的學統前後連上宋時烈的肖像畵贊

열상고전연구 | 35 | 2012 | 기타국문학

18세기 노론계 문인의 미의식

The Aesthetical Sense of Noron Party in the 18th Century

동방한문학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震溟 權攇의 文氣와 天機

A Study on Jin Myeong(震溟) Kwon Heon(權攇) Moon-gi(文氣) and Cheon-gi(天機)

동방한문학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震溟 權攇의 文氣와 天機

A Study on Jin Myeong(震溟) Kwon Heon(權攇) Moon-gi(文氣) and Cheon-gi(天機)

동방한문학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老․少 分岐期의 學的 地形과 南九萬 계열 소론계의 문학비평

The Literary Criticism of Nam Gu-man and His Disciples in Relation to the Seperation of Seoin Party

고전과 해석 | 10 | 2011 | 국문학사

구한말, 일제시대의 사회변화와 강루리 안동권씨의 대응

Response of Kangruri Andong Kwon Family to Social Changes in the Latter Era of Chosun Dynasty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南冥學硏究 | 34 | 2012 | 철학

구한말, 일제시대의 사회변화와 강루리 안동권씨의 대응

Response of Kangruri Andong Kwon Family to Social Changes in the Latter Era of Chosun Dynasty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南冥學硏究 | 34 | 2012 | 철학

18세기 노론계 문인의 미의식

The Aesthetical Sense of Noron Party in the 18th Century

동방한문학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노론의 연원과 전개, 철학사상과 현실인식

An origin and development, the thought and understanding of actual world of Noron

한국철학논집 | 32 | 2011 | 한국철학일반

노론의 연원과 전개, 철학사상과 현실인식

An origin and development, the thought and understanding of actual world of Noron

한국철학논집 | 32 | 2011 | 한국철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