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유학의 『대학』 체재에 대한 이해(1) - 『대학장구』와 『고본대학』의 체재를 개정한 학자를 중심으로 -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the Great Learning in the Korean Confucianism(Ⅰ) -Laying Stress on the Scholars Revising the Structure of the Great Learning-
유교사상문화연구 |
43 |
2011 |
유교학
17C 중국인 피난민 康世爵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와 인식태도 -<강세작전>과 <강군세작묘지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terary Embodiments of and Perceptive Attitude toward Kang Se-Jak, a Chinese Refugee in the 17th Century -With a focus on (康世爵傳) and (康世爵墓誌銘)-
고소설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17C 중국인 피난민 康世爵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와 인식태도 -<강세작전>과 <강군세작묘지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terary Embodiments of and Perceptive Attitude toward Kang Se-Jak, a Chinese Refugee in the 17th Century -With a focus on (康世爵傳) and (康世爵墓誌銘)-
고소설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少論學派의 연원과 전개, 철학과 현실인식
The origin, development, philosophy and reality awareness of Soron School(少論學派)
한국철학논집 |
32 |
2011 |
한국철학일반
다산 교육론의 두 과녁 : 성인聖人과 상제上帝
Two Targets of Tasan’s Educational Theory : Saint(Shengren, 聖人) and God(Shang-ti, 上帝)
다산학 |
18 |
2011 |
인문학
박세당의 「사변록」 저술동기와 「대학」 본문 재배열 문제에 대한 검토
On the Motif and the Rearrangement of The Great Learning in Park Sedang's Sabyeonrok
한국사상과 문화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박세당의 「사변록」 저술동기와 「대학」 본문 재배열 문제에 대한 검토
On the Motif and the Rearrangement of The Great Learning in Park Sedang's Sabyeonrok
한국사상과 문화 |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老子} 주석서에서 ‘仁義’와 ‘私’ 개념의 전개
Developing of 'benevolence and justice(仁義)' and 'individual's self desire(私欲)' in Chosŏn commentators of Daodejing (道德經)
한국철학논집 |
31 |
2011 |
한국철학일반
박세당의 정치사상
The Political Ideology of Park Sedang
孔子學 |
19 |
2010 |
기타유교학
박세당의 정치사상
The Political Ideology of Park Sedang
孔子學 |
|
19 |
2010 |
기타유교학
西溪 朴世堂의 ‘三笑哲學’과 儒佛 交涉 -종교간 대화의 모색-
The ‘sam-so(三笑)’ philosophy and ideological exchange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of Seogye(西溪) Park Se - dang(朴世堂)
禪文化硏究 |
10 |
2011 |
기타불교학
斯文亂賊 論難과 四書의 再解釋 ― 朴世堂의 『思辨錄』과 金昌協의 批判을 중심으로 ―
The Criticism on the Traitor to Confucian Culture and the Reinterpretation on Four Books - Mainly about Pak Se-dang’s Sabyeon-nok and Kim Chang-hyeop’s criticism on it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西溪 朴世堂의 使行 書信과 赴燕詩
Park Se-dang (Seogye)'s Letters from an Envoy Trip and Poems for Emissary Trip to Peking (赴燕詩)
민족문화 |
37 |
37 |
2011 |
기타인문학
朴世堂 挽詩의 흐름과 표현 양상
A Study on Expression Aspect of Park Se-dang's Mansi(만시:condolatory poetry)
동방학 |
21 |
2011 |
기타인문학
박세당의 <<南華眞經註解刪補>>편찬 체재 고찰 - 내편을 중심으로
關於朴世堂《南華眞經註解刪補》編纂體裁的考察
민족문화 |
38 |
38 |
2011 |
기타인문학
서계 박세당의 ‘시왕(時王)의 정(正)’설 일고
Seogye Park Sedang's Alternative Calendar System: 'the first month of the year by the contemporary king'(時王之正)
人文科學硏究 |
28 |
2010 |
기타인문학
서계 박세당의 ‘시왕(時王)의 정(正)’설 일고
Seogye Park Sedang's Alternative Calendar System: 'the first month of the year by the contemporary king'(時王之正)
人文科學硏究 |
28 |
|
2010 |
기타인문학
朴世堂≪南華經註解刪補≫中的「生命」觀
朴世堂 『南華經註解刪補』 중의 생명관
동양문화연구 |
6 |
2010 |
기타인문학
朴世堂≪南華經註解刪補≫中的「生命」觀
朴世堂 『南華經註解刪補』 중의 생명관
동양문화연구 |
6 |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