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

연구분야 : A030200 인문학 > 철학 > 한국철학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327

STNet ID : 9004337

한자 : 實學
영어 :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음차어 : Silhak
음차어 : Shilhak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조선시대 () [ 朝鮮時代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실심 실학 [ 實心實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다산학 [ 茶山學 ]

hasComponent (구성요소)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학행 [ 學行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이용후생 [ 利用厚生 ]

hasIssue (이슈/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실사구시 [ 實事求是 ]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무실 학풍 () [ 無實學風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박세당 () [ 朴世堂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경세치용 [ 經世致用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기학 [ 氣學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임원경제지 [ 林園經濟志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실학주의 [ 實學主義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실학 사상 [ 實學思想 ]

寡尤 洪重三의 家系와 著述活動

A Study on Hong, Jung-sam’s Family Line and Writing Activities

역사민속학 | 38 | 2012 | 역사학

영남 유학과 ‘낙중학’

嶺南儒學與 ‘洛中學’

한국학논집 | 40 | 2010 | 기타인문학

영남 유학과 ‘낙중학’

嶺南儒學與 ‘洛中學’

한국학논집 | | 40 | 2010 | 기타인문학

영남 유학과 ‘낙중학’

嶺南儒學與 ‘洛中學’

한국학논집 | 40 | 2010 | 기타인문학

영남 유학과 ‘낙중학’

嶺南儒學與 ‘洛中學’

한국학논집 | | 40 | 2010 | 기타인문학

正祖의 학문관과 공부 방법론

Jôngjo(正祖)'s View about Scholarshipand His Doctrine of Study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正祖의 학문관과 공부 방법론

Jôngjo(正祖)'s View about Scholarshipand His Doctrine of Study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유몽인의 「안변삼십이책」 연구: 조선 중기 문학에서의 ‘정치(政治)’의 한 사례로서

A Study on Yu Mong-in(柳夢寅)’s (安邊三十二策)

민족문학사연구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유몽인의 「안변삼십이책」 연구: 조선 중기 문학에서의 ‘정치(政治)’의 한 사례로서

A Study on Yu Mong-in(柳夢寅)’s (安邊三十二策)

민족문학사연구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초 문순득의 표류경험과 그 영향

Mun Sun-deuk’s Drifting Experiences and Influences in the Early 19th Century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1 | 2010 | 역사학

19세기 초 문순득의 표류경험과 그 영향

Mun Sun-deuk’s Drifting Experiences and Influences in the Early 19th Century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1 | 2010 | 역사학

梧陰 尹斗壽의 인물과 도학적 실천

Oeum Yun Dushu's Life and Practice

한국인물사연구 | 17 | 2012 | 역사학

重峯 趙憲의 學問․思想과 詩 硏究

새국어교육 | 87 | 2011 | 국어교육

星湖 李瀷의 ‘三豆會’ 小考

A study of Seongho Lee ik's Samduhoe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星湖 李瀷의 ‘三豆會’ 小考

A study of Seongho Lee ik's Samduhoe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조의 문체반정과 京華文化

Munchebanjeong of King Jeongjo and the culture of the nobilities who lived in Hanyang

한국실학연구 | 23 | 2012 | 역사학

星湖 李瀷의 대외인식과 조선의 대응방안 모색

A Study on Seongho Yi Ik's Perceptions of Foreign Countries and Joseon's Exploration of Countermeasures

한국사연구 | 152 | 2011 | 역사학

망암 변이중 선생의 학문과 실천성

Mangam Byeon Yi-jung's Learning and his Will of Doing

孔子學 | 21 | 2011 | 기타유교학

현대 한국유교의 회고와 전망

The Retrospect and Prospect of Contemporary Korean Confucianism

종교연구 | 68 | 2012 | 종교학

민중주의민속학과 우리민속학의 전망

Minjungism Folklore and the Prospect of Our Folklore

비교민속학 | 48 | 2012 | 역사학

鄭寅普가 구성한 조선후기 문화사

Cultural History of the Latter Half of Chosǒn Dynasty Organized by Jung, In-bo

역사와 담론 | 56 | 2010 | 역사학

鄭寅普가 구성한 조선후기 문화사

Cultural History of the Latter Half of Chosǒn Dynasty Organized by Jung, In-bo

역사와 담론 | | 56 | 2010 | 역사학

梧陰 尹斗壽의 인물과 도학적 실천

Oeum Yun Dushu's Life and Practice

한국인물사연구 | 17 | 2012 | 역사학

과학이라는 전통의 창출과 홍이섭의 조선시대 과학사 연구

Inventing a Scientific Tradition in Korean History: Hong Yi-Sup’s Historiography of Chosŏn

역사교육 | 118 | 2011 | 역사학

燕行使들의 間文化的 體驗에 대한 認識 樣相 考察-壬亂 收拾期 喪葬禮와 文物 認識을 중심으로-

A Thought on Awareness Aspects of Intercultural Experience by Envoys dispatched to Beijing-focused on the awarness of funeral service and rites and culture for the settlement period after Imjin Japanese Invasion-

漢文敎育硏究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燕行使들의 間文化的 體驗에 대한 認識 樣相 考察-壬亂 收拾期 喪葬禮와 文物 認識을 중심으로-

A Thought on Awareness Aspects of Intercultural Experience by Envoys dispatched to Beijing-focused on the awarness of funeral service and rites and culture for the settlement period after Imjin Japanese Invasion-

漢文敎育硏究 |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策問」에 나타난 正祖의 學問觀

King Jeongjo’s View of Learning Observed in Chaekmun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策問」에 나타난 正祖의 學問觀

King Jeongjo’s View of Learning Observed in Chaekmun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성호 이익을 바라보는 한문학 근대의 두 시선 —1929년 문광서림판 『성호사설』에 게재된 변영만과 정인보의 서문 비교 연구—

Two attitudes of Modern Sino-Korean literature toward Yi ik A comparative study of the prefaces to Seonghosaseol by two modern Sino-Korean literary men, Jeong In-bo and Byeon young-man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성호 이익을 바라보는 한문학 근대의 두 시선 —1929년 문광서림판 『성호사설』에 게재된 변영만과 정인보의 서문 비교 연구—

Two attitudes of Modern Sino-Korean literature toward Yi ik A comparative study of the prefaces to Seonghosaseol by two modern Sino-Korean literary men, Jeong In-bo and Byeon young-man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산 정약용의 탈성리학적 실학의 대성

The great achievement of Jeong yakyong's Silhak as post-neoconfucian concepts

孔子學 | 22 | 2012 | 기타유교학

斯文亂賊 論難과 四書의 再解釋 ― 朴世堂의 『思辨錄』과 金昌協의 批判을 중심으로 ―

The Criticism on the Traitor to Confucian Culture and the Reinterpretation on Four Books - Mainly about Pak Se-dang’s Sabyeon-nok and Kim Chang-hyeop’s criticism on it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다산 정약용의 인간이해와 근대성

An Analysis of the Modern Interpretation of Dasan’s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동양철학연구 | 66 | 2011 | 철학

홍대용의 학문론과 교우론

A Study of Hong Daeyong's discussion on the learning and friendly intercourse

율곡학연구 | 22 | 2011 | 기타인문학

19세기 초학교재에 나타난 아동교육관의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Views on Child Education in Nineteenth Elementary Teaching Materials

漢文古典硏究 | 22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韓日學術交流에 대한 一考-그 비대칭성을 중심으로-

DynastyA Study on Academic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Focusing on asymmetry-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

重峯 趙憲의 義理思想과 實踐精神

Chungbong Cho Hŏn's Philosophy of Fidelity and Spirits of Practice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8 | 2011 | 유교학

홍대용의 학문론과 교우론

A Study of Hong Daeyong's discussion on the learning and friendly intercourse

율곡학연구 | 22 | 2011 | 기타인문학

論≪詩經疾書≫的學術文獻價値

A study on the value of ShiJingJiShu's Academic literature

중국어문학 | 58 | 2011 | 중국어와문학

朝鮮 後期 『讀禮通考』의 수용과 영향

朝鲜后期《讀礼通考》的受容与影响

한국실학연구 | 20 | 2010 | 역사학

朝鮮 後期 『讀禮通考』의 수용과 영향

朝鲜后期《讀礼通考》的受容与影响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실학개념논쟁과 이을호의 실학관

对实学概念的论辩与李乙浩之实学观

孔子學 | 19 | 2010 | 기타유교학

실학개념논쟁과 이을호의 실학관

对实学概念的论辩与李乙浩之实学观

孔子學 | | 19 | 2010 | 기타유교학

‘주기主氣’ 개념의 딜레마, 그리고 실학實學과의 불화

On the Dilemma of the Term “主氣”, and Its Incompatability with “實學Practical Learning”

다산학 | 18 | 2011 | 인문학

정다산의 퇴계관 - [여유당전서] 시문집에 한하여 -

Tasan’s View on Teogye’s Theory

다산학 | 19 | 2011 | 인문학

현암의 다산사상 이해에 적용된 시각문제

Hyonam's viewpoint problem of applied to understand on Dasan Thought

孔子學 | 19 | 2010 | 기타유교학

현암의 다산사상 이해에 적용된 시각문제

Hyonam's viewpoint problem of applied to understand on Dasan Thought

孔子學 | | 19 | 2010 | 기타유교학

「策問」에 나타난 正祖의 學問觀

King Jeongjo’s View of Learning Observed in Chaekmun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策問」에 나타난 正祖의 學問觀

King Jeongjo’s View of Learning Observed in Chaekmun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 후기 서구식 지도의 수용과 『회입곤여만국전도』

The Introduction of European Maps in late Jeoseon Period and the Hoeip Gonyeomangukjeondo

문화역사지리 | 24 | 2 | 2012 | 인문지리학

19世紀 중반 揚州學派 劉毓崧의 實學的 通學

19世紀中半劉毓崧之實學的通學

동국사학 | 51 | 2011 | 역사학

서계 유학사상의 실학적 인식의 기초

西溪儒学思想的实学认识论基础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서계 유학사상의 실학적 인식의 기초

西溪儒学思想的实学认识论基础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기질(氣質)은 선(善)한가” : 아버지 원교의 양명학과 아들 신재의 주자학

“Is the ‘Gijil’(氣質, Innate Characters) of Everyone Good?”: Won-gyo’s Idealism and His Son Sinjae’s Realism

한국학 | 34 | 2 | 2011 | 기타인문학

“기질(氣質)은 선(善)한가” : 아버지 원교의 양명학과 아들 신재의 주자학

“Is the ‘Gijil’(氣質, Innate Characters) of Everyone Good?”: Won-gyo’s Idealism and His Son Sinjae’s Realism

한국학 | 34 | 2 | 2011 | 기타인문학

『성호사설』 『만물문』의 실학적 만물관과 자연학

<星湖僿說>「万物門」の実学的万物観と自然学

동아시아고대학 | 26 | 2011 | 기타인문학

茶山의 社會詩 연구- 敍事的 寫實性을 중심으로 -

A Study of Social Poems of Dasan: Focuses on the Narrative Reality

한국사상과 문화 | 62 | 2012 | 한국어와문학

타카하시 토오루(高橋亨)와 장지연의 한국유학사관

A Study on Takahasi Toru and Jang Ji Youn's Viewpoint o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대동철학 | 55 | 2011 | 철학

일제강점기 정다산丁茶山 재발견의 의미 -신문·잡지의 논의를 통한 시론試論-

The Meaning of Rediscovery of Tasan Cheong Yagyong in Japanese Imperialism Era

다산학 | 17 | 2010 | 인문학

일제강점기 정다산丁茶山 재발견의 의미 -신문·잡지의 논의를 통한 시론試論-

The Meaning of Rediscovery of Tasan Cheong Yagyong in Japanese Imperialism Era

다산학 | | 17 | 2010 | 인문학

茶山의 社會詩 연구- 敍事的 寫實性을 중심으로 -

A Study of Social Poems of Dasan: Focuses on the Narrative Reality

한국사상과 문화 | 62 | 2012 | 한국어와문학

박세당의 유가적 노장 해석 -노장 수용과 왜곡의 경계 그리고 그 동기에 관하여-

朴世堂の儒家的な老莊解釋について

孔子學 | 19 | 2010 | 기타유교학

박세당의 유가적 노장 해석 -노장 수용과 왜곡의 경계 그리고 그 동기에 관하여-

朴世堂の儒家的な老莊解釋について

孔子學 | | 19 | 2010 | 기타유교학

‘주기主氣’ 개념의 딜레마, 그리고 실학實學과의 불화

On the Dilemma of the Term “主氣”, and Its Incompatability with “實學Practical Learning”

다산학 | 18 | 2011 | 인문학

서계 박세당의 실학적 격물 인식 -명재 윤증과의 격물 논변을 중심으로-

西溪朴世堂实学的格物认识 - 以与明斋尹拯的格物论辩为中心

孔子學 | 19 | 2010 | 기타유교학

서계 박세당의 실학적 격물 인식 -명재 윤증과의 격물 논변을 중심으로-

西溪朴世堂实学的格物认识 - 以与明斋尹拯的格物论辩为中心

孔子學 | | 19 | 2010 | 기타유교학

19世紀 중반 揚州學派 劉毓崧의 實學的 通學

19世紀中半劉毓崧之實學的通學

동국사학 | 51 | 2011 | 역사학

일제강점기 정인보鄭寅普·안재홍安在鴻·최익한崔益翰의 다산茶山 연구

A study on Tasan by Cheong Inbo, An Jaihong, Choi Ikha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다산학 | 17 | 2010 | 인문학

일제강점기 정인보鄭寅普·안재홍安在鴻·최익한崔益翰의 다산茶山 연구

A study on Tasan by Cheong Inbo, An Jaihong, Choi Ikha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다산학 | | 17 | 2010 | 인문학

학안에서 철학사로 : 조선유학사 서술의 관점과 방식에 대한 검토

学案から哲学史へ-朝鮮儒学史叙述の観点と方式に対する一検討

한국학연구 | 23 | 2010 | 기타인문학

학안에서 철학사로 : 조선유학사 서술의 관점과 방식에 대한 검토

学案から哲学史へ-朝鮮儒学史叙述の観点と方式に対する一検討

한국학연구 | | 23 | 2010 | 기타인문학

연암소설의 민속적 성격 고찰

A Study on Folkloristic Characters in Yeonam's Novels

인문학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연암소설의 민속적 성격 고찰

A Study on Folkloristic Characters in Yeonam's Novels

인문학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박세당의 정치사상

The Political Ideology of Park Sedang

孔子學 | 19 | 2010 | 기타유교학

박세당의 정치사상

The Political Ideology of Park Sedang

孔子學 | | 19 | 2010 | 기타유교학

栗谷學과 實學의 차별성에 관한 연구 - 홍대용 등 북학파 실학을 중심으로

有關栗谷學和實學差別性的研究

한국학논집 | 43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철학 연구사에서 본 玄庵 李乙浩의 위상 ― 주체적 韓國思想史觀의 정립과 관련하여 ―

Hyunam Lee Eul Ho's Stature in the History of Studies in Korean Philosophy ― Relating to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View of History of the Korean Thought

동방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철학 연구사에서 본 玄庵 李乙浩의 위상 ― 주체적 韓國思想史觀의 정립과 관련하여 ―

Hyunam Lee Eul Ho's Stature in the History of Studies in Korean Philosophy ― Relating to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View of History of the Korean Thought

동방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학안에서 철학사로 : 조선유학사 서술의 관점과 방식에 대한 검토

学案から哲学史へ-朝鮮儒学史叙述の観点と方式に対する一検討

한국학연구 | 23 | 2010 | 기타인문학

학안에서 철학사로 : 조선유학사 서술의 관점과 방식에 대한 검토

学案から哲学史へ-朝鮮儒学史叙述の観点と方式に対する一検討

한국학연구 | | 23 | 2010 | 기타인문학

개념사와 내재적 발전: ‘실학’ 개념을 중심으로

Silhak (Practical Learning) as a Part of Autochthonous Development viewed in Terms of Conceptual History

역사학보 | 213 | 2012 | 역사학

정조의 경세론과 孝悌윤리

The national governing theory of King Jeongjo(正祖) and Hyoje(孝悌) ethics

한국실학연구 | 23 | 2012 | 역사학

애국계몽기 신소설에 나타난 공화주의 연구 -동농 이해조의 근대사상을 중심으로-

The Embrace of Western Republicanism in the New-style Novel of Haejoe Lee in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시대와 철학 | 22 | 4 | 2011 | 철학

星湖의 政治思想과 ‘儒敎主義’

Reading the Political Thought of Sungho through Hong Isup's 'Confucianism Perspective'

태동고전연구 | 26 | 2010 | 기타인문학

星湖의 政治思想과 ‘儒敎主義’

Reading the Political Thought of Sungho through Hong Isup's 'Confucianism Perspective'

태동고전연구 | 26 | | 2010 | 기타인문학

寡尤 洪重三의 家系와 著述活動

A Study on Hong, Jung-sam’s Family Line and Writing Activities

역사민속학 | 38 | 2012 | 역사학

역사의식, 실학, 근대화에 대한 북한의 인식 - 남북한 사회통합을 위한 정초 논의를 위하여

orth Korean View on Historical Consciousness, Silhak or Practical Learning, and Modernization – Discussion on Cornerstones for Social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윤리교육연구 | 27 | 2012 | 윤리교육학

湛軒 洪大容의 性理學的 見解 小考

Some thoughts on Confucian views of Damheon Hong Daeyong

漢文古典硏究 | 24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연암 박지원의 화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ory of Yeonam Park, Ji Won's Painting

조형교육 | 41 | 2011 | 미술교육

明末淸初 顔元의 학문과 사상에 대하여

Research on Yan Yuan’ s Pragmatic Thought

南冥學硏究 | 29 | 2010 | 철학

한국철학 연구사에서 본 玄庵 李乙浩의 위상 ― 주체적 韓國思想史觀의 정립과 관련하여 ―

Hyunam Lee Eul Ho's Stature in the History of Studies in Korean Philosophy ― Relating to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View of History of the Korean Thought

동방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철학 연구사에서 본 玄庵 李乙浩의 위상 ― 주체적 韓國思想史觀의 정립과 관련하여 ―

Hyunam Lee Eul Ho's Stature in the History of Studies in Korean Philosophy ― Relating to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View of History of the Korean Thought

동방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정조의 경세론과 孝悌윤리

The national governing theory of King Jeongjo(正祖) and Hyoje(孝悌) ethics

한국실학연구 | 23 | 2012 | 역사학

조선서학의 전개와 과제

Development of "Seohak" and its Problem in late Chosun Dynasty

신학과철학 | 20 | 2012 | 기타가톨릭신학

조선후기 실학파의 ‘民’에 대한 인식과 정치권력론의 새로운 지평 – 民本主義에서 民權主義로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 –

The Concept of "Min (民: People)" of the Silhak (實學: Korean Pragmatic Philosophy) School in the Late Chosun Period and the New Perspective on Discussions of Political Power

온지논총 | 31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가전체 소설 <여용국전>에 나타난 우리나라 전통화장문화

Korea Traditional Cosmetic Cultrue in the Yeoyong Guk Jeon, an Anthropomorphosized Korean Novel in the Late Chosun Dynasty

한복문화 | 15 | 1 | 2012 | 의상

실학자들의 한국고대사 연구의 의의-김정희의 진흥왕 순수비 연구를 중심으로-

The Shirhak scholars' studies on the Korean Ancient History- Focused on the Kim Chung Hee's study of Silla King Jinheung's monument stones for touring the frontiers -

한국고대사연구 | 62 | 2011 | 한국고대사

한국 양명학의 역사적 성과와 발전 방향

The historic results and the growing course of Yang-ming Studies in Korea

양명학 | 30 | 2011 | 철학

磻溪 柳馨遠의 理氣心性說과 그 실학적 단초

A Study on Bangye Yu Hyoung-won(磻溪 柳馨遠)`s Philosophical Theory and its clues of Silhak(實學)

한국사상사학 | 37 | 2011 | 역사학

조선후기 예학과 실학, 그리고 詩樂 —문체반정과 악풍반정—

Poetry and Music of Orthodox Neo-Confucianism(朱子學) and practical science(實學) in the latter term Joseon Dynasty(朝鮮)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예학과 실학, 그리고 詩樂 —문체반정과 악풍반정—

Poetry and Music of Orthodox Neo-Confucianism(朱子學) and practical science(實學) in the latter term Joseon Dynasty(朝鮮)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예학과 실학, 그리고 詩樂 —문체반정과 악풍반정—

Poetry and Music of Orthodox Neo-Confucianism(朱子學) and practical science(實學) in the latter term Joseon Dynasty(朝鮮)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예학과 실학, 그리고 詩樂 —문체반정과 악풍반정—

Poetry and Music of Orthodox Neo-Confucianism(朱子學) and practical science(實學) in the latter term Joseon Dynasty(朝鮮)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실학의 생태적 글쓰기와 그 한 양상 − 이덕무의 자연사물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

The Ecological Writing of Silhak and Its Aspects - In terms of the attitude of Duk-Mu, Lee against natural things

온지논총 | 31 | 2012 | 기타인문학

『성호사설』에 나타난 공리론과 본능적 인간관

Seongho(星湖) Yi Ik(李瀷)’s new vision of human nature in 『Seongho saseol』

한중인문학연구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

혜강 최한기의 개혁사상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Hyekang Choi Han Gi’s Reform Ideology

한국행정사학지 | 26 | 2010 | 행정사

혜강 최한기의 개혁사상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Hyekang Choi Han Gi’s Reform Ideology

한국행정사학지 | | 26 | 2010 | 행정사

한국의 실학과 근대성에 관한 논의

A Discussion on the Practical Learning and Modernity

한국민족문화 | 39 | 2011 | 기타인문학

论韩中实学思潮之异同

Common things and Differences in Korean and Chinese the Shilhak trendy

한국사상과 문화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论韩中实学思潮之异同

Common things and Differences in Korean and Chinese the Shilhak trendy

한국사상과 문화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산『논어』주석의 고증적 성향 고찰 -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asan’s research inclination of Noneo KoKumchu 『( 論語古今註』) interpretation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8 | 2011 | 원불교학

『성호사설』과 『오주연문장전산고』의 저술성향 비교검토

A Comparative Study on Academic Attributes of Seongho-saseol(星湖僿說) and Oju-Yeonmunjangjeon-Sango(五洲衍文長箋散稿)

동아시아고대학 | 26 | 2011 | 기타인문학

實學 연구의 맥락과 鄭寅普의 “依獨求實”

A coherence of study on Shilhak and “Euidokgushil―deriving practical value based on the uniqueness” written by Jung In-bo

민족문화논총 | 50 | 2012 | 기타인문학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실학관 비교

A Study about Ogyu Sorai(荻生徂徠) and Dasan(茶山)‘s Silhak

한국실학연구 | 22 | 2011 | 역사학

新實學, 그 가능성과 方向

The Potentiality of New Shilhak and Its Orientation

한국실학연구 | 22 | 2011 | 역사학

한국의 실학 연구와 『東方學志』

The Results of the Study of Silhak (實學, Practical Learning) in Korea: Focusing on the Results of the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The Dong Bang Hak Chi

동방학지 | 151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의 실학 연구와 『東方學志』

The Results of the Study of Silhak (實學, Practical Learning) in Korea: Focusing on the Results of the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The Dong Bang Hak Chi

동방학지 | | 151 | 2010 | 기타인문학

중국 실학 담론의 지형 검토 ― 사회인문학의 전망 모색과 관련하여 ―

中国实学谈论的地形检讨:以社会人文学的展望摸索为课题

중국근현대사연구 | 50 | 2011 | 중국현대사

다산『논어』주석의 고증적 성향 고찰 -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asan’s research inclination of Noneo KoKumchu 『( 論語古今註』) interpretation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8 | 2011 | 원불교학

실학자들의 역사지리관과 고조선 한사군 연구

A Study on View of Historical Geography of Sirhak Scholars and Old Chosŏn and Hansagun(Han Chinese Commanderies)

한국고대사연구 | 62 | 2011 | 한국고대사

順菴 安鼎福의 時務 인식 -『東史綱目』의 ‘按’說을 중심으로-

The current affairs recognition of Ahn Jeong bok

한국사상사학 | 34 | 2010 | 역사학

順菴 安鼎福의 時務 인식 -『東史綱目』의 ‘按’說을 중심으로-

The current affairs recognition of Ahn Jeong bok

한국사상사학 | | 34 | 2010 | 역사학

實學 연구의 맥락과 鄭寅普의 “依獨求實”

A coherence of study on Shilhak and “Euidokgushil―deriving practical value based on the uniqueness” written by Jung In-bo

민족문화논총 | 50 | 2012 | 기타인문학

燕巖 朴趾源의 士意識

Yeon-am Park Ji-won's spirit of Classical Scholar

동양한문학연구 | 34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삼한 연구-연구 추이와 특징을 중심으로-

A study on Samhan of Silhak scholas in the late Joseon Dynasty

한국고대사연구 | 62 | 2011 | 한국고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