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구만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702

STNet ID : 9009554

한자 : 南九萬
호(號) : 약천(藥泉)
호(號) : 미재(美齋)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운로 [ 雲路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남계하 [ 南啓夏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박세당 () [ 朴世堂 ]

RT (관련어)

친분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세화 [ 李世華 ]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유중기 [ 柳重起 ]

R5:물리적

Relative_1 (친인척)

조1-손2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남식 [ 南烒 ]

Relative_2 (친인척_역)

부1-자2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남학명 () [ 南鶴鳴 ]

17C 중국인 피난민 康世爵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와 인식태도 -<강세작전>과 <강군세작묘지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terary Embodiments of and Perceptive Attitude toward Kang Se-Jak, a Chinese Refugee in the 17th Century -With a focus on (康世爵傳) and (康世爵墓誌銘)-

고소설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17C 중국인 피난민 康世爵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와 인식태도 -<강세작전>과 <강군세작묘지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terary Embodiments of and Perceptive Attitude toward Kang Se-Jak, a Chinese Refugee in the 17th Century -With a focus on (康世爵傳) and (康世爵墓誌銘)-

고소설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少論學派의 연원과 전개, 철학과 현실인식

The origin, development, philosophy and reality awareness of Soron School(少論學派)

한국철학논집 | 32 | 2011 | 한국철학일반

17C 중국인 피난민 康世爵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와 인식태도 -<강세작전>과 <강군세작묘지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terary Embodiments of and Perceptive Attitude toward Kang Se-Jak, a Chinese Refugee in the 17th Century -With a focus on (康世爵傳) and (康世爵墓誌銘)-

고소설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17C 중국인 피난민 康世爵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와 인식태도 -<강세작전>과 <강군세작묘지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terary Embodiments of and Perceptive Attitude toward Kang Se-Jak, a Chinese Refugee in the 17th Century -With a focus on (康世爵傳) and (康世爵墓誌銘)-

고소설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약천 남구만의 형정론刑政論에 대한 다산 정약용의 비판

A Study of Chongyakyong's Critics on Namguman's Legal Idea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周易參同契考異』 南九萬本과 「參同契吐註」 연구

The Nam Guman editions of Cantongqi kaoyi, and Chamdonggye tojoo

藏書閣 | 27 | 2012 | 역사학

약천 남구만의 형정론刑政論에 대한 다산 정약용의 비판

A Study of Chongyakyong's Critics on Namguman's Legal Idea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