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변록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A070000 인문학 > 유교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842

한자 : 思辨錄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통록 [ 通錄 ]

安東 金門의 지식논쟁과 지식권력의 형성 -農巖 金昌協의 학문적 입장을 중심으로-

Knowledge Debates of the Kims of Andong and the Formation of Knowledge Power: The Case of the Academic Position of Nong-am Kim Chang-hyeop

민족문화연구 | 56 | 2012 | 기타인문학

박세당의 「사변록」 저술동기와 「대학」 본문 재배열 문제에 대한 검토

On the Motif and the Rearrangement of The Great Learning in Park Sedang's Sabyeonrok

한국사상과 문화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박세당의 「사변록」 저술동기와 「대학」 본문 재배열 문제에 대한 검토

On the Motif and the Rearrangement of The Great Learning in Park Sedang's Sabyeonrok

한국사상과 문화 |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斯文亂賊 論難과 四書의 再解釋 ― 朴世堂의 『思辨錄』과 金昌協의 批判을 중심으로 ―

The Criticism on the Traitor to Confucian Culture and the Reinterpretation on Four Books - Mainly about Pak Se-dang’s Sabyeon-nok and Kim Chang-hyeop’s criticism on it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서계 유학사상의 실학적 인식의 기초

西溪儒学思想的实学认识论基础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서계 유학사상의 실학적 인식의 기초

西溪儒学思想的实学认识论基础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