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의 ‘횡설’과 ‘수설’: 프레임으로 보는 주자의 성향과 감정 이론
Semiological Analysis of Zhu Xi's Moral Psychology
동양철학 |
37 |
2012 |
철학
조선시대 사족층의 시조와 일상성 담론
The Joseon Gentry's Discourses on Allteglichkeit and People's Daily Lives through their Sijo Works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사족층의 시조와 일상성 담론
The Joseon Gentry's Discourses on Allteglichkeit and People's Daily Lives through their Sijo Works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회암(晦庵) 주희(朱熹)의 주체의식
The Sense of Sovereignty in Chuzu
孔子學 |
18 |
2010 |
기타유교학
회암(晦庵) 주희(朱熹)의 주체의식
The Sense of Sovereignty in Chuzu
孔子學 |
|
18 |
2010 |
기타유교학
맹자의 兼善, 出仕, 정치참여
The Theory of Mencius's Political Participation and of Gyeomseon (:Sharing the Goodness)
동양고전연구 |
45 |
2011 |
기타인문학
학맥의 관점에서 본 휴암 백인걸
論學脈觀點上之休庵白仁杰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萬物一體論과 人物性同異論을 통해 본 明 儒學과 朝鮮 儒學의 비교
A Comparative Philosophic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ing and Chosun Confucianism : Focusing on Theory of ‘All creation is one body’ and The Theory of ‘Human Nature and Thing's Nature
유교사상문화연구 |
39 |
2010 |
유교학
萬物一體論과 人物性同異論을 통해 본 明 儒學과 朝鮮 儒學의 비교
A Comparative Philosophic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ing and Chosun Confucianism : Focusing on Theory of ‘All creation is one body’ and The Theory of ‘Human Nature and Thing's Nature
유교사상문화연구 |
|
39 |
2010 |
유교학
儒敎思想의 관점에서 보는 世界平和
World Peace in the Confucian View
한국사상과 문화 |
57 |
2011 |
한국어와문학
학맥의 관점에서 본 휴암 백인걸
論學脈觀點上之休庵白仁杰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삶의 재정향을 위한 성찰과 실천 - 격몽과 입지를 중심으로 -
The Reflection and Practice for Reorientation of Life -Focusing on the concepts of the 'Gyeokmong' and 'Ipgi'
율곡학연구 |
20 |
2010 |
기타인문학
삶의 재정향을 위한 성찰과 실천 - 격몽과 입지를 중심으로 -
The Reflection and Practice for Reorientation of Life -Focusing on the concepts of the 'Gyeokmong' and 'Ipgi'
율곡학연구 |
20 |
|
2010 |
기타인문학
天 개념의 이해와 事ㆍ物의 합리적 해석 -윤휴와 정약용의 天觀과 格物說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of Heaven and Rational Explicationon Events or Things - Focusing on the Theories of Yun Hyu and Jeong Yak-yong -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天 개념의 이해와 事ㆍ物의 합리적 해석 -윤휴와 정약용의 天觀과 格物說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of Heaven and Rational Explicationon Events or Things - Focusing on the Theories of Yun Hyu and Jeong Yak-yong -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조선조에서의 향약(鄕約)과 향속(鄕俗)의 연구 -관습법의 존재 양식을 찾아서-
일감법학 |
18 |
2010 |
기타법학
조선조에서의 향약(鄕約)과 향속(鄕俗)의 연구 -관습법의 존재 양식을 찾아서-
일감법학 |
|
18 |
2010 |
기타법학
주리(主理)·주기(主氣)의 함의 고찰 ― ‘타카하시 토오루의 주리·주기’에 관한 비판과 대안의 검토: 이향준 교수의 「타카하시의 고약한 은유」에 대한 논평을 겸함
主理主氣的含意考察
대동철학 |
55 |
2011 |
철학
타카하시 토오루의 조선유학사 서술의 문제점
A Study on the Pproblems of Takahachi Doloo(高橋亨)’s Depiction on a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대동철학 |
55 |
2011 |
철학
주리(主理)·주기(主氣)의 함의 고찰 ― ‘타카하시 토오루의 주리·주기’에 관한 비판과 대안의 검토: 이향준 교수의 「타카하시의 고약한 은유」에 대한 논평을 겸함
主理主氣的含意考察
대동철학 |
55 |
2011 |
철학
타카하시 토오루의 조선유학사 서술의 문제점
A Study on the Pproblems of Takahachi Doloo(高橋亨)’s Depiction on a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대동철학 |
55 |
2011 |
철학
생태적 미래와 자발적 가난 - 格物致知를 통한 인식과 수양을 중심으로 -
An Ecological Future and a Voluntary Poverty: the cognition and cultivation through investigating things and extending knowledge
동양철학 |
36 |
2011 |
철학
성리학의 기호 배치방식과 조선유학의 분기
Semiotic Frames and Divergence of Joseon Neo-Confucianism
동양철학연구 |
70 |
2012 |
철학
생태적 미래와 자발적 가난 - 格物致知를 통한 인식과 수양을 중심으로 -
An Ecological Future and a Voluntary Poverty: the cognition and cultivation through investigating things and extending knowledge
동양철학 |
36 |
2011 |
철학
퇴계 리발(理發)설의 수반론적 해명 ― 고봉과의 사단칠정 논변을 중심으로 ―
Toegye's Conception of li-fa(理發) Explained fromthe Theory of Supervenience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퇴계 리발(理發)설의 수반론적 해명 ― 고봉과의 사단칠정 논변을 중심으로 ―
Toegye's Conception of li-fa(理發) Explained fromthe Theory of Supervenience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타카하시 토오루, 배종호, 한국유학사
Takahashi, Bae Jong Ho, and Korea confucian philosophy
대동철학 |
55 |
2011 |
철학
畿湖禮學의 形成과 學風 -栗谷・龜峯의 特徵과 傳承을 중심으로-
Kiho-Lixue's Formation and Academic Feature - centering around Yulgok, Gubong‘s feature and Sakye's transmission -
유학연구 |
25 |
2011 |
철학
영남선비들의 구곡경영과 최남복의 백련서사
Yongnam Sunbi's Gugok Management & Chae Nam-bok's Backryen-seosa
영남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영남선비들의 구곡경영과 최남복의 백련서사
Yongnam Sunbi's Gugok Management & Chae Nam-bok's Backryen-seosa
영남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1900~10년대 최남선의 ‘고전/번역’ 활동과 전통에 대한 인식
Activity of ‘Translation of Classics’ and Acknowledgement of Tradition by Namsun Choi in 1900~10
동양고전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1900~10년대 최남선의 ‘고전/번역’ 활동과 전통에 대한 인식
Activity of ‘Translation of Classics’ and Acknowledgement of Tradition by Namsun Choi in 1900~10
동양고전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이이(李珥): 켄타우로스를 상상한 유학자
李珥: 想像半人馬的儒學者
철학연구 |
118 |
2011 |
철학
火車의 製造와 壬亂 情勢의 變化
The Production of Armored Artillery Vehicle(火車) and the Change of Situation during the Imjinwaeran(壬辰倭亂)
孔子學 |
21 |
2011 |
기타유교학
『醇言』에서의 ‘嗇’의 의미
‘啬’ 在《醇言》内所含有的意义
간재학논총 |
11 |
2011 |
한국유가철학
기호유학에서 金長生, 金集의 성리학적 위상
Status of Jangseng Kim and Jib Kim as Sung-Confucius Scholars in Kiho Confucianism School
대동철학 |
53 |
2010 |
철학
기호유학에서 金長生, 金集의 성리학적 위상
Status of Jangseng Kim and Jib Kim as Sung-Confucius Scholars in Kiho Confucianism School
대동철학 |
|
53 |
2010 |
철학
畿湖禮學의 形成과 學風 -栗谷・龜峯의 特徵과 傳承을 중심으로-
Kiho-Lixue's Formation and Academic Feature - centering around Yulgok, Gubong‘s feature and Sakye's transmission -
유학연구 |
25 |
2011 |
철학
우계의 ‘횡설’과 율곡의 ‘수설’: 율곡의 퇴계 비판을 겸해서 논함
Different Semiotic Frames of Toegye and Yulgok
유교사상문화연구 |
48 |
2012 |
유교학
『경제야언』의 이이 표절
U Chŏng-kyu’s plagiarism of Yi I on A Rustic’s Words on Governance(Kyŏngjeyaŏn)
철학사상 |
36 |
2010 |
철학
『경제야언』의 이이 표절
U Chŏng-kyu’s plagiarism of Yi I on A Rustic’s Words on Governance(Kyŏngjeyaŏn)
철학사상 |
|
36 |
2010 |
철학
김육 개혁사상의 연원(淵源)과 성격
Kim Yuk's Idea of the Taedongpŏp: Its Origin and Nature
韓國史學報 |
44 |
2011 |
역사학
17세기 율곡학파의 '대학' 해석 연구 ― 대전본 소주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chool of Yulgok's Daehak(大學) interpretation in the 17th century ―a analysis on small annotation of Saseodaejun(四書大全)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17세기 율곡학파의 '대학' 해석 연구 ― 대전본 소주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chool of Yulgok's Daehak(大學) interpretation in the 17th century ―a analysis on small annotation of Saseodaejun(四書大全)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퇴계와 율곡의 독서법 용어를 통한 고전독서이론의 모색
An Inquiry into the Classical Reading Theory through the Terms on Reading Method of Toegye and Yulgok
영남학 |
21 |
2012 |
기타인문학
정다산의 퇴계관 - [여유당전서] 시문집에 한하여 -
Tasan’s View on Teogye’s Theory
다산학 |
19 |
2011 |
인문학
正統과 異端, 그 역사와 본질 - 율곡을 중심으로 -
Orthodoxy and Heterodoxy, Their History and Substance : Focuses on YulGok
율곡학연구 |
21 |
2010 |
기타인문학
正統과 異端, 그 역사와 본질 - 율곡을 중심으로 -
Orthodoxy and Heterodoxy, Their History and Substance : Focuses on YulGok
율곡학연구 |
21 |
|
2010 |
기타인문학
욕망하는 본성과 도덕적 본성의 융합-茶山 丁若鏞의 嗜好說을 중심으로-
A Fusion of the Desiring Nature and the Moral Nature -Focusing on Dasan Jeong Yak-yong’s Theory of Nature-Taste-
철학연구 |
41 |
2010 |
철학
욕망하는 본성과 도덕적 본성의 융합-茶山 丁若鏞의 嗜好說을 중심으로-
A Fusion of the Desiring Nature and the Moral Nature -Focusing on Dasan Jeong Yak-yong’s Theory of Nature-Taste-
철학연구 |
|
41 |
2010 |
철학
退溪 經學을 통해 본 조선주자학의 독자성 문제 -율곡학통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Identity Issue of JuJaHak in the Jose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ToeGye KyungHak
퇴계학논집 |
8 |
2011 |
철학
17세기 율곡학파의 '대학' 해석 연구 ― 대전본 소주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chool of Yulgok's Daehak(大學) interpretation in the 17th century ―a analysis on small annotation of Saseodaejun(四書大全)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17세기 율곡학파의 '대학' 해석 연구 ― 대전본 소주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chool of Yulgok's Daehak(大學) interpretation in the 17th century ―a analysis on small annotation of Saseodaejun(四書大全)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栗谷學派의 文學觀과 詩論
Yulgok School's view of literature and its theory of poetry
율곡학연구 |
20 |
2010 |
기타인문학
栗谷學派의 文學觀과 詩論
Yulgok School's view of literature and its theory of poetry
율곡학연구 |
20 |
|
2010 |
기타인문학
栗谷 李珥(1536∼1584)의 生涯와 思想
Yulgok's lifetime and idea
한국학논총 |
38 |
2012 |
역사이론
栗谷과 重峰의 道學精神
Yulgok’s and Jungbong’s Learning of the Way
유학연구 |
26 |
2012 |
철학
‘주기主氣’ 개념의 딜레마, 그리고 실학實學과의 불화
On the Dilemma of the Term “主氣”, and Its Incompatability with “實學Practical Learning”
다산학 |
18 |
2011 |
인문학
율곡 인권사상의 현대적 의의
Contemporary View on Yulgok’s Human Rights
한국학논집 |
47 |
2012 |
기타인문학
이이(李珥)의 『순언』(醇言)과 이단의 문제-조선조 유가 지식인의 내면 풍경에 대한 한 가지 고찰-
Yi Yul-gok and the Lao-tzu-The Ambivalence of the Confucian Scholars in Chosun Confucianism-
시대와 철학 |
23 |
1 |
2012 |
철학
동서양의 감정이해 − 플라톤과 율곡을 중심으로 −
Die Auffassung der Emotion im Abendland und Ostasien - Mit Schwerpunkt auf Platon und Yulgok
동방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김육 개혁사상의 연원(淵源)과 성격
Kim Yuk's Idea of the Taedongpŏp: Its Origin and Nature
韓國史學報 |
44 |
2011 |
역사학
牛溪 成渾의 理重視的 性理說 一攷
A Study on Woogyu Sung Hon's Neo-Confucianism with Li(理) as the Focus
포은학연구 |
5 |
2010 |
기타인문학
牛溪 成渾의 理重視的 性理說 一攷
A Study on Woogyu Sung Hon's Neo-Confucianism with Li(理) as the Focus
포은학연구 |
5 |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공물변통론에서 蒲渚趙翼의 위치와 역할
The position and role of Pochŏ Cho Ik for the reformism of the tribute tax system in Chosŏn period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공물변통론에서 蒲渚趙翼의 위치와 역할
The position and role of Pochŏ Cho Ik for the reformism of the tribute tax system in Chosŏn period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
草廬 李惟泰의 『四書答問-大學』 硏究
A study on the Li yutae by Daehakdapmoon(大學答問)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草廬 李惟泰의 『四書答問-大學』 硏究
A study on the Li yutae by Daehakdapmoon(大學答問)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栗谷 李珥의 更張論에 대하여
栗谷 李珥の更張論に対し
철학∙사상∙문화 |
11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老子} 주석서에서 ‘仁義’와 ‘私’ 개념의 전개
Developing of 'benevolence and justice(仁義)' and 'individual's self desire(私欲)' in Chosŏn commentators of Daodejing (道德經)
한국철학논집 |
31 |
2011 |
한국철학일반
수몽 정엽의 생애와 성리학
守夢鄭曄的生涯和性理學
孔子學 |
18 |
2010 |
기타유교학
수몽 정엽의 생애와 성리학
守夢鄭曄的生涯和性理學
孔子學 |
|
18 |
2010 |
기타유교학
愚潭 丁時翰은 退溪를 어떻게 이해하였는가? - {四七辨證}을 중심으로
Woodam Jeong Si-han's Understanding of Toegye
한국철학논집 |
29 |
2010 |
한국철학일반
愚潭 丁時翰은 退溪를 어떻게 이해하였는가? - {四七辨證}을 중심으로
Woodam Jeong Si-han's Understanding of Toegye
한국철학논집 |
|
29 |
2010 |
한국철학일반
율곡 이이의 법치행정사상 탐구
A Research of Yulgog’s Legal Thoughts on Administration
한국행정사학지 |
29 |
2011 |
행정사
이이의 經世論의 성립과 그 정치적 배경
Yulgok(栗谷) Yi I(李珥)’s Statecraft Theory and its Political Setting
史叢(사총) |
75 |
2012 |
기타역사일반
善의 普遍性과 실현근거 관한 愚潭과 鹿門의 이해 - 理通氣局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Woo-dam(愚潭) and Nok-mun(鹿門)'s understanding about the ground of universality in the pure goodness and its bases on the realization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Yul-gok(栗谷)'s all penetrating Li and defining Ch’i
한국철학논집 |
28 |
2010 |
한국철학일반
善의 普遍性과 실현근거 관한 愚潭과 鹿門의 이해 - 理通氣局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Woo-dam(愚潭) and Nok-mun(鹿門)'s understanding about the ground of universality in the pure goodness and its bases on the realization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Yul-gok(栗谷)'s all penetrating Li and defining Ch’i
한국철학논집 |
|
28 |
2010 |
한국철학일반
타카하시의 고약한 은유
高橋亨的怪異之隱喩
대동철학 |
55 |
2011 |
철학
수몽 정엽의 생애와 성리학
守夢鄭曄的生涯和性理學
孔子學 |
18 |
2010 |
기타유교학
수몽 정엽의 생애와 성리학
守夢鄭曄的生涯和性理學
孔子學 |
|
18 |
2010 |
기타유교학
退溪 李滉의 四端七情論과 栗谷 李珥의 人心道心論에 담긴 政治哲學的 意味
The Political and Philosophical Meaning from the Teogye(退溪) Yi Hwang(李滉)’s Siduanqiqinglun(四端七情論), and Yulgok(栗谷) Yi I(李珥)’s Renxindaoxinlun(人心道心論)
한국철학논집 |
33 |
2012 |
한국철학일반
마음의 理氣와 자연의 理氣 정약용의 四端七情論爭 평가에 대한 재평가
Li-gi of Mind-heart and Li-gi of Nature: A Revaluation on Jeong Yak-yong's Evaluation on Four-Seven Debate
한국학논집 |
40 |
2010 |
기타인문학
마음의 理氣와 자연의 理氣 정약용의 四端七情論爭 평가에 대한 재평가
Li-gi of Mind-heart and Li-gi of Nature: A Revaluation on Jeong Yak-yong's Evaluation on Four-Seven Debate
한국학논집 |
|
40 |
2010 |
기타인문학
善의 普遍性과 실현근거 관한 愚潭과 鹿門의 이해 - 理通氣局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Woo-dam(愚潭) and Nok-mun(鹿門)'s understanding about the ground of universality in the pure goodness and its bases on the realization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Yul-gok(栗谷)'s all penetrating Li and defining Ch’i
한국철학논집 |
28 |
2010 |
한국철학일반
善의 普遍性과 실현근거 관한 愚潭과 鹿門의 이해 - 理通氣局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Woo-dam(愚潭) and Nok-mun(鹿門)'s understanding about the ground of universality in the pure goodness and its bases on the realization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Yul-gok(栗谷)'s all penetrating Li and defining Ch’i
한국철학논집 |
|
28 |
2010 |
한국철학일반
草廬 李惟泰의 『四書答問-大學』 硏究
A study on the Li yutae by Daehakdapmoon(大學答問)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草廬 李惟泰의 『四書答問-大學』 硏究
A study on the Li yutae by Daehakdapmoon(大學答問)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황과 이이 성리학의 차이 극복을 위한 고찰(Ⅰ)
A Study on How to Overcome the Difference of Neo-Confucianism System between Lee Hwang and Lee Yi(Ⅰ)
동서철학연구 |
57 |
2010 |
철학
이황과 이이 성리학의 차이 극복을 위한 고찰(Ⅰ)
A Study on How to Overcome the Difference of Neo-Confucianism System between Lee Hwang and Lee Yi(Ⅰ)
동서철학연구 |
|
57 |
2010 |
철학
우계 성혼의 '상우(尙友)' 지향
牛溪 成渾의 ‘尙友’ 指向
인문학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우계 성혼의 '상우(尙友)' 지향
牛溪 成渾의 ‘尙友’ 指向
인문학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牛溪 成渾의 理重視的 性理說 一攷
A Study on Woogyu Sung Hon's Neo-Confucianism with Li(理) as the Focus
포은학연구 |
5 |
2010 |
기타인문학
牛溪 成渾의 理重視的 性理說 一攷
A Study on Woogyu Sung Hon's Neo-Confucianism with Li(理) as the Focus
포은학연구 |
5 |
|
2010 |
기타인문학
韓國 知性의 傳統과 栗谷 李珥 - 道原 先生의 栗谷觀
Tradition of Korean intellectual and Yulkok Lee-Yi(李珥)
한국철학논집 |
34 |
2012 |
한국철학일반
조선후기 율곡교육사상의 전승과 변용 - 「격몽요결」을 중심으로
Transmission and transformation of educational philosophy of Yulgok in the late Choseon dynasty - focusing on「Gyeokmongyogyeol」
율곡학연구 |
22 |
2011 |
기타인문학
栗谷 人心道心說에서 道德性 實現과 現實의 關係 - 退溪學派의 栗谷 批判과 견주어 -
栗谷人心道心說的道德性實現與現實的關係
유교사상문화연구 |
46 |
2011 |
유교학
栗谷의 憂患의식과 經世論의 의의
Significance of Yulgok’s Theory on Governing and Apprehension on the Nation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栗谷의 憂患의식과 經世論의 의의
Significance of Yulgok’s Theory on Governing and Apprehension on the Nation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栗谷 李珥의 更張論에 대하여
栗谷 李珥の更張論に対し
철학∙사상∙문화 |
11 |
2011 |
기타인문학
栗谷學의 繼承과 創新
Inheriting and Creating Yul-Gok Study
유학연구 |
23 |
2010 |
철학
栗谷學의 繼承과 創新
Inheriting and Creating Yul-Gok Study
유학연구 |
23 |
|
2010 |
철학
율곡의 도학과 사회개혁
Yulgok’s Neo-Confucianism from the View of Social Reform
율곡학연구 |
21 |
2010 |
기타인문학
율곡의 도학과 사회개혁
Yulgok’s Neo-Confucianism from the View of Social Reform
율곡학연구 |
21 |
|
2010 |
기타인문학
율곡학파의 리기론
Understanding of Yulgok School's Theory of LiKi
율곡학연구 |
22 |
2011 |
기타인문학
栗谷學과 實學의 차별성에 관한 연구 - 홍대용 등 북학파 실학을 중심으로
有關栗谷學和實學差別性的研究
한국학논집 |
43 |
2011 |
기타인문학
栗谷对朱子学心性论的继承和发展
유교사상문화연구 |
46 |
2011 |
유교학
栗谷의 華夷論 認識과 그 展望
Study reconition on Hwayiron and development of its perspective of Yulgok
한중인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栗谷 李珥의 禮論과 哲學的 背景 - 誠을 중심으로 -
Lee Yi's Theory of Li and Philosophical Basis
동양철학연구 |
67 |
2011 |
철학
율곡의 조화사상에 대한 미학적 고찰
Aesthetic study on Harmony Ideology of Yulgok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율곡의 조화사상에 대한 미학적 고찰
Aesthetic study on Harmony Ideology of Yulgok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율곡학파의 리기론
Understanding of Yulgok School's Theory of LiKi
율곡학연구 |
22 |
2011 |
기타인문학
율곡 이기론의 미학적 고찰
An Aesthetic Contemplation on the Theory of Li and Ki of Yulgok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율곡의 십만양병설은 임진왜란용이 될 수 없다 -동북방의 여진 정세와 관련하여-
Lee Yul-gok's argument of nurturing 100,000 soldiers cannot be the one for Hideyoshi’s invasion of Korea called 'Imjin Waeran' -On the Status of Yeo-jin in Northeastern Area-
한일관계사연구 |
41 |
2012 |
역사학
<논윤원형소>의 글쓰기 전략
The Writing Strategy of Nonyunwonhyeongso
고전문학과 교육 |
19 |
2010 |
인문학
<논윤원형소>의 글쓰기 전략
The Writing Strategy of Nonyunwonhyeongso
고전문학과 교육 |
|
19 |
2010 |
인문학
삶의 재정향을 위한 성찰과 실천 - 격몽과 입지를 중심으로 -
The Reflection and Practice for Reorientation of Life -Focusing on the concepts of the 'Gyeokmong' and 'Ipgi'
율곡학연구 |
20 |
2010 |
기타인문학
삶의 재정향을 위한 성찰과 실천 - 격몽과 입지를 중심으로 -
The Reflection and Practice for Reorientation of Life -Focusing on the concepts of the 'Gyeokmong' and 'Ipgi'
율곡학연구 |
20 |
|
2010 |
기타인문학
율곡의 정치사상과 그 영향
Yulgok's political ideas and the influence
율곡학연구 |
20 |
2010 |
기타인문학
율곡의 정치사상과 그 영향
Yulgok's political ideas and the influence
율곡학연구 |
20 |
|
2010 |
기타인문학
栗谷의 修養工夫와 餘暇文化 렌즈교정하기
Corrective lenses of Yulgok's suyang-study theory and leisure culture
동서철학연구 |
57 |
2010 |
철학
栗谷의 修養工夫와 餘暇文化 렌즈교정하기
Corrective lenses of Yulgok's suyang-study theory and leisure culture
동서철학연구 |
|
57 |
2010 |
철학
율곡의 심성론에 대한 새로운 분석
A New Analysis of Yulgok’s Theory of Mind
양명학 |
28 |
2011 |
철학
이이의 經世論의 성립과 그 정치적 배경
Yulgok(栗谷) Yi I(李珥)’s Statecraft Theory and its Political Setting
史叢(사총) |
75 |
2012 |
기타역사일반
栗谷의 『老子』 讀法 妙處로서의 ‘道卽天道’
Yulgok, ‘Tao-Zeuk-CheonTao’, Remarkable Phrase in reading Lao-tzu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1 |
1 |
2010 |
기타인문학
栗谷의 『老子』 讀法 妙處로서의 ‘道卽天道’
Yulgok, ‘Tao-Zeuk-CheonTao’, Remarkable Phrase in reading Lao-tzu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1 |
1 |
2010 |
기타인문학
栗谷의 華夷論 硏究 -「箕子實記」를 中心으로-
A study on Hwayiron of Yulgok - focused on「Gijasilgi」-
인문과학연구 |
34 |
2012 |
기타인문학
栗谷의 「擊蒙要訣」과 「學校模範」에 나타난 體育思想
A Study on Yulgok's Physical Education thought Described in KyeokMongYoGyeol and HakKyoMoBerm
한국체육사학회지 |
15 |
2 |
2010 |
기타예술체육
栗谷의 「擊蒙要訣」과 「學校模範」에 나타난 體育思想
A Study on Yulgok's Physical Education thought Described in KyeokMongYoGyeol and HakKyoMoBerm
한국체육사학회지 |
15 |
2 |
2010 |
기타예술체육